•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브라질 황열 환자 발생 증가에 따라 출국 전 황열 예방접종 실시 당부

브라질 여행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 준수 당부

브라질에서 귀국 시 건강상태질문서 제출

귀국 후 6일 이내 발열, 두통, 권태감, 두통 등의 증상 발현의 경우 의료기관 방문 시 해외여행력 알리기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현재 브라질에서 황열 환자 발생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브라질 여행객은 출국 전 10일 이내에 황열 백신을 접종하고 모기물림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황열은 주로 남아메리카 및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에서 감염된 숲모기(Aedes)*에 물려 전파되는 급성열성질환이며 주 증상은 발열, 두통, 근육통이고 대부분은 호전되나 10~20%에서는 중증으로 진행한다.

* 주요 매개체인 이집트숲모기는 국내 미서식

<브라질 ´16 / ´17절기 및 ´17 / ´18절기 황열 환자 발생 현황>

브라질 황열 감염환자는 ´17년 12월 이후 급증하고 있어 ´18년 1월 30일자로 213명이 확진(사망 81)되었다.

* 의심환자 주요 발생 : 8개주(상파울루, 미나스제라이스주, 리우데자네이루, 디스트리토페드럴, 이스피리투산투주, 고이아스주, 바이아주, 마투그로수두술주)

황열은 브라질 내에서 풍토병으로 매년 12월부터 다음해 5월까지 주로 발생하고 있어 당분간 황열 감염 사례 발생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황열은 백신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고 1회 접종 시 평생 면역력을 획득하므로 브라질 등 황열 유행지역으로 여행하는 해외여행객은 출국 10일 전까지 반드시 백신 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황열 백신 접종기관: 전국 5개 국립검역소 및 38개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의료기관

또한, 현지에서는 긴 옷을 입고 모기기피제를 사용하며, 방충망이 있는 숙소를 이용하는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귀국 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하고 귀국 후 6일 이내에 의심증상이 생기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으며 해외여행력을 알려줄 것과 1달간 헌혈을 금지할 것을 당부하였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국제공인 예방접종지정기관 확대(26개소→38개소) 운영으로 전년 대비 황열 예방접종 수요가 급증하여 ’18년 1월 한 달 동안 일부 지역 내 의료기관의 경우 백신 수급관리가 원활하지 못하였으나,

2월 2일부터 황열 예방백신이 순차적으로 국제공인 예방접종기관으로 배정됨으로써 예방접종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밝히며, 예방접종 가능 기관은 ☎1339 콜센터로 문의하도록 안내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2-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74 벽면에서 떨어질 위험 있는 Dulton 벽시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9.28
3073 단추형 전지 삼킴 위험 있는 DIY 테라리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9.28
3072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커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9.28
3071 산악사고, 산불 등 위험 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9.28
3070 화로용 ‘에탄올 연료’ 화재 위험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8
3069 피부 쥐젖(연성 섬유종), 함부로 제거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9.28
3068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4)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9.27
3067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3)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9.27
3066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2)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9.27
3065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1)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9.27
3064 벤젠 검출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9.27
3063 알레르기 유발물질(우유) 미표시한 초콜릿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7
3062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등 견과류, 참깨) 미표시한 스무디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27
3061 식품첨가제(식용색소, 산화방지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씨리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9.27
3060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경관식 음료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9.27
3059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4)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9.27
3058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3)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9.27
3057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9.27
3056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27
3055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우유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27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