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지속적인 증가 추세, 특히 0~6세 발생 높음
   * 2017년 52주(12.24.∼12.30.) 102명 → 2018년 4주(1.21.∼1.27.) 158명
   * 2018년 4주, 0~6세 77.2% 차지
◇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집단감염 주의 필요
◇ 올바른 손씻기 및 안전한 식생활 지키기 등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의 신고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로타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과 물을 섭취하였거나, 환자 접촉을 통한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한 감염병으로, 주로 겨울철에서 봄철까지 발생하며,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1~3일 안에 구토, 발열,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남


  ○ 장관감염증 표본감시기관(192개소)의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18년 4주(1.21.~1.27.)에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환자 수는 총 158명으로 2017년 52주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연령별로 0~6세가 77.2%로 높았다.
      * ’17년 52주(12.24.~12.30.) 102명
  ○ 급성설사질환 실험실 감시 결과 5세 이하의 설사환자에서 최근 5주간 로타바이러스 양성률*(9.9%)은 이전 5년 평균 양성률(8.3%)보다 높게 나타났다.
     * 양성률은 전체 수집된 환자의 검체 중 로타바이러스 양성이 확인된 검체의 비율

  ○ 또한, 2017년 장관감염증 집단발생 역학조사 결과, 유행 사례 중 68%(13/19건)가 산후조리원/신생아실에서 발생하여, 집단생활을 하는 유․소아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는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및 어린이집 등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관리 주의를 당부하였다.

  ○ 아울러,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및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환자 구토물 처리 시 소독 등 집단 시설의 철저한 환경 관리를 강조하였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수칙>

 

 


  ◇ 올바른 손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 배변 후, 조리 전, 기저귀 간 후 등
  ◇ 안전한 식생활 지키기
    ∘ 끓인 물 마시기
    ∘ 음식물은 반드시 익혀서 먹기
    ∘ 집단시설에서 액체분유 사용 권장
  ◇ 환자와 접촉 제한
  ◇ 환자의 구토물, 접촉환경, 사용한 물건 등에 대한 염소 소독하기
    ∘ 염소 (5,000~20,000ppm 농도) 소독하기



[ 보건복지부 2018-02-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699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4.28
2698 면세 SHOPPING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2.04.28
2697 제이엔유샾 / JNUSHOP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04.27
2696 전화금융사기 범죄피해 증가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2.04.26
2695 조각투자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4.20
2694 "가정 내 작업공구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2.04.19
2693 특정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는 사기의심 사이트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4.18
2692 본격적인 영농기,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04.14
2691 인체 접촉성 합성수지·합성가죽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04.13
2690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04.11
2689 ‘킨더(Kinder)’ 초콜릿 해외직구 구매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22.04.11
2688 일부 조화 제품에서 환경에 유해한 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4.05
2687 DEHP 과다 함유해 어린이 생식 건강 위험있는 튜브형 피크닉 테이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2.04.04
2686 프탈레이드 과다 함유로 어린이 건강 위험있는 Ohuhu 어린이 악기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04.04
2685 표시사항 요건 미준수해 화상 및 화재 위험있는 Hestia Canada 휴대용 난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2.04.04
2684 솔기 파손돼 질식 위험있는 손목 딸랑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4.04
2683 파손되며 소형 부품 발생해 질식 위험 있는 Earsoon 목욕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4.04
2682 포장 비닐 얇아 질식 위험있는 목욕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2.04.04
2681 크기가 너무 작아 질식 위험있는 장난감 자동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22.04.04
2680 라벨 미표기된 성분[수은, 납] 함유한 Goree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2.04.04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