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지속적인 증가 추세, 특히 0~6세 발생 높음
   * 2017년 52주(12.24.∼12.30.) 102명 → 2018년 4주(1.21.∼1.27.) 158명
   * 2018년 4주, 0~6세 77.2% 차지
◇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집단감염 주의 필요
◇ 올바른 손씻기 및 안전한 식생활 지키기 등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의 신고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로타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과 물을 섭취하였거나, 환자 접촉을 통한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한 감염병으로, 주로 겨울철에서 봄철까지 발생하며,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1~3일 안에 구토, 발열,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남


  ○ 장관감염증 표본감시기관(192개소)의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18년 4주(1.21.~1.27.)에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환자 수는 총 158명으로 2017년 52주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연령별로 0~6세가 77.2%로 높았다.
      * ’17년 52주(12.24.~12.30.) 102명
  ○ 급성설사질환 실험실 감시 결과 5세 이하의 설사환자에서 최근 5주간 로타바이러스 양성률*(9.9%)은 이전 5년 평균 양성률(8.3%)보다 높게 나타났다.
     * 양성률은 전체 수집된 환자의 검체 중 로타바이러스 양성이 확인된 검체의 비율

  ○ 또한, 2017년 장관감염증 집단발생 역학조사 결과, 유행 사례 중 68%(13/19건)가 산후조리원/신생아실에서 발생하여, 집단생활을 하는 유․소아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는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및 어린이집 등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관리 주의를 당부하였다.

  ○ 아울러,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및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환자 구토물 처리 시 소독 등 집단 시설의 철저한 환경 관리를 강조하였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수칙>

 

 


  ◇ 올바른 손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 배변 후, 조리 전, 기저귀 간 후 등
  ◇ 안전한 식생활 지키기
    ∘ 끓인 물 마시기
    ∘ 음식물은 반드시 익혀서 먹기
    ∘ 집단시설에서 액체분유 사용 권장
  ◇ 환자와 접촉 제한
  ◇ 환자의 구토물, 접촉환경, 사용한 물건 등에 대한 염소 소독하기
    ∘ 염소 (5,000~20,000ppm 농도) 소독하기



[ 보건복지부 2018-02-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13 VIVO스피커 벽 거치대(Mount-Play5 Speaker Wall Mounts), 선반과 스피커 떨어질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9 2019.09.23
3612 Navien 순간온수기,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9 2019.04.11
3611 감전 위험이 있는 전원 어댑터 리콜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9 2017.07.10
3610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20.04.29
360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증가시기,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19.11.11
3608 애슬리트/Athletekorea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3.04.14
3607 "놀이터 안전사고 매년 천 건 이상 발생, '여름'이 41.6% 차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2.06.22
3606 금융감독원을 사칭하여 추가 신규대출은 금융법위반이라며 자금을 편취하는 보이스피싱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0.12.24
3605 '어린이용 기저귀' 국민청원 안전검사 결과 "위해우려 없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18.12.20
3604 2017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17.05.16
3603 고용량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함유한 불법 대마 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2.03.07
3602 dellawang / 와썸컴퍼니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0.04.17
3601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0.01.13
3600 ST. Ives 바디로션 3종,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18.03.21
3599 벤츠, 포르쉐, BMW, 두카티 리콜실시 (총 15개 차종 2,014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17.06.01
3598 피규어 바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22.08.23
3597 Caro light 화장품, 피부자극성분 함유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9.07.22
3596 Sick Science브랜드 비눗방울놀이 기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7.07.10
3595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Nabisco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20.02.17
3594 드럼통 모양 슬라임 완구(Barrel-o-Slime), 붕소 과다 검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19.11.04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