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18년 4주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 입원자수 지속 감소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18년 3주 59.6 → ’18년 4주 43.6)
   - 기관당 입원자수(’18년 3주 11.28 → ’18년 4주 7.5)
◇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신속히 진단과 치료를 받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미접종자는 예방접종을 받기를 당부
◇ 감염 예방과 확산방지를 위한 올바른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지난 12월 1일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47주, 외래 환자 1,000명당 7.7명)한 이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8년 4주(1.21~1.27)는 43.6명으로 3주째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18년 1주 72.1명 → ’18년 2주 69.0명 → ’18년 3주 59.6명 → ’18년 4주 43.6명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자
    **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 유행기준 : 6.6명/외래환자1,000명(2016-2017절기 8.9명)
     (인플루엔자 유행기준 공식 : 과거 3년간 비유행기간 평균 인플루엔자의사환자(ILI) 분율 + 2×표준편차)

 ○ 연령별로 전 연령에서 인플루엔자 의사환자수가 감소하고 있으나 1-6세(외래 환자 1,000명당 79.9명)에서는 다른 연령보다 발생이 높았다.

 ○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결과 입원환자도 4주(1.21~1.27)에 감소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별로는 0세(0.13명/인구1,000명), 1~6세(0.09명/인구1,000명), 65세 이상(0.07명/인구1,000명)에서 입원환자가 많았다.
    ※ 입원환자 기관당 신고수 : ’18년 1주 14.49명 → 2주 13.99명 → 3주 11.28명 → 4주 7.05명

 ○ 인플루엔자 실험실 감시 결과 2017-2018절기 시작 이후 제4주까지(2017.9.3.~2018.1.27.) B형이 728건(55.7%), A(H3N2)가 523건(40.1%), A(H1N1)pdm09가 55건(4.2%)이 검출되었다.

□ 따라서, 인플루엔자 입원율이 높은 영·유아 및 65세 이상 노인 등 고위험군*은 인플루엔자 감염 시 폐렴 등 합병증 발생 및 기존에 앓고 있는 질환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의심증상 시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신속한 진료를 받을 것을 강조하였다.
    * 고위험군 : 영·유아, 임신부,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대사장애, 심장질환, 폐질환, 신장질환 등

 ○ 특히, 영유아, 65세 이상 노인, 임신부, 만성질환자 등 우선접종 권장대상자 중 미접종자는 지금이라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미접종자 중 65세 이상 어르신(1952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은 보건소 문의 후 방문, 생후 6∼59개월(2012년 9월 1일∼2017년 8월 31일생)은 4월 30일까지 보건소 또는 지정 의료기관에서 접종이 가능함

□ 겨울방학이 끝나고 개학으로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시작함에 따라 올바른 손씻기, 기침예절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 등에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또한,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었을 경우 집단 내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증상발생일로부터 5일이 경과하고 해열제 없이 체온 회복 후 48시간까지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등에 등원·등교를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였다.

 ○ 아울러, 전 국민에게 인플루엔자 예방접종과 감염병 예방 및 확산방지의 기본 원칙인 30초 이상 손씻기와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 실천할  것을 당부하였다.

 

◀ 개인위생수칙 ▶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후 등
 ◇ 기침예절 실천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 자기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보건복지부 2018-02-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29 미허용 성분(CMIT/MIT) 함유 수입 세척제 수거.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9.03.19
1628 미허용 감미료 검출된 Super Bubur 인스턴트 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4.02.29
1627 미허가 식물 성분 존재해 리콜된 Gluta LIPO 주스 분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3.01.13
1626 미표기된 우유 단백질 성분 함유하여 알레르기 우려 있는 라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07.14
1625 미표기된 대두, 계란 등 성분 함유하여 알레르기 우려 있는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7.14
1624 미키하우스 유아용 샌들, 파손으로 인한 부상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9.06
1623 미인증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8.03.09
1622 미역·다시마 등 해조류는 방사능 체내 배출 효과와 관련 없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3.08.30
1621 미신고(불법) 거래소를 통한 투자권유, 투자금만 받고 출금은 거부하는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4.01.22
1620 미신고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이용 및 거래에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8.18
1619 미승인 성분이 함유된 Psychotic 운동 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12.13
1618 미승인 성분 포함으로 리콜된 Sante 안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3.07.12
1617 미세한 조각으로 인해 부상 위험이 있는 아이섀도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5.20
1616 미세한 조각으로 인해 부상 위험이 있는 아이섀도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5.20
1615 미세먼지 차단 기능이 미흡한 Dr. Frei 마스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06.24
1614 미성년자 온라인 구매 관련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12.11
1613 미생물이 증식할 가능성이 있는 반려동물 눈꺼풀 물티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28
1612 미생물에 오염된 TheraBreath 유아용 가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12.13
1611 미생물에 오염되어 감염 위험 있는 Dabur 치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5.13
1610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4)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9.27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