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치매치료약 급여기준(재평가간격) 개선

중증 치매환자에 대해 재평가간격 최대 36개월로 연장

거동불편 환자는 장기요양인정 유효기간까지 재평가없이 계속 투여 가능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중증 또는 거동이 불편한 치매환자의 불편을 감소시키고자, 치매치료약의 건강보험 급여요건 중 재평가간격을 연장하는 내용의「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약제)」개정안을 8월17일부터 27일까지 의견조회 후 9월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라 밝혔다. (참고1)

금번 치매치료약 건강보험 적용 기준 변경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현재 치매치료약이 건강보험에 적용되려면 간이정신진단검사 및 치매척도검사에서 일정 점수 이상*의 치매증상이 있어야하며, 6~12개월 간격으로 재평가를 하여 계속투여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 (예: 도네페질 5mg, 10mg 제제) 간이정신진단검사 : MMSE(Mini Mental State Exam) 26점 이하, 치매척도검사 : CDR(Clinical Dementia Rating) 1∼3 또는 GDS(Global Deterioration Scale) stage 3∼7

문제는 중증치매환자의 경우 정신능력이 미약하고 거동이 불편한 경우가 많아, 6~12개월 간격으로 재평가를 받기 위해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 자체가 큰 부담이 될 뿐더러, 재평가를 위한 간이정신검사 및 치매척도검사가 환자에 대한 문답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참고2) 실효성이 없다는 환자 및 보호자의 불만이 많았다.

반면, 의료계 전문가들은 장기간 환자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투약할 수는 없으므로 원칙적으로 재평가 면제는 불가하다는 의견을 제시해왔다.

이에 복지부는 환자의 불편 및 의료계의 의견을 감안하여 ①중증 또는 거동이 불편한 치매환자에 대하여, ②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도네페질(donepezil), 메만틴(memantine) 성분 등 “중증”치매 치료약의 계속 투여 시 ③재평가 간격을 연장하도록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중증치매의 기준은 간이정신진단검사(MMSE) 10점 미만이고, 치매척도검사 CDR 3(또는 GDS 6~7)이며, 이 경우 기존 6~12개월의 재평가 간격이 6~36개월로 연장된다.

거동불편 치매환자는 장기요양 1등급자*로 설정하며, 이 경우 장기요양인정 유효기간까지 재평가 없이 계속 투여가 가능하다.

* 장기요양 1등급 : 심신의 기능상태 장애로 일상생활에서 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95점 이상인 자 (「노인장기요양법 시행령」제7조)

<중증 치매치료약 재평가 기준 개선 내용>

<중증 치매치료약 재평가 기준 개선 내용>
기 존 개 선
6-12개월 간격으로 재평가 중증 치매환자
(MMSE 10점 미만, CDR 3 (또는 GDS 6~7))
6~36개월 간격으로 재평가
거동불편 치매환자 (장기요양 1등급) 장기요양인정 유효기간까지 재평가없이 계속투여 가능

현재 중증치매 환자는 약 6만7천명, 장기요양 1등급 판정을 받은 치매환자는 약 2만명으로 추산되며, 이들이 금번 조치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 2015-08-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00 2017년 심장정지환자 생존율, 2006년 대비 4배 증가(관계부처 합동)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1 14
2299 군사시설로 인한 국민 불편 정부가 나서서 해결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0 14
2298 개인사업장이 법인으로 전환돼도 사업내용 변동 없다면 산재보험 계승된 것으로 봐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9 14
2297 2일부터 ‘사람도 동물도 안전한 도로’ 위한 찻길사고 예방 캠페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1 14
2296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31 14
2295 나날이 증가하는 보험사기, 적발의 key는 내부자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9 14
2294 생후 6개월~12세 어린이 52.6%, 만 65세 이상 어르신 76.8% 인플루엔자 접종 마쳐, 늦어도 11월까지는 예방접종 완료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5 14
2293 금융꿀팁 200선 - 100 보험대리점을 통한 보험가입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5 14
2292 국민의 나트륨.당류 섭취 실태분석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30 13
2291 복잡한 재개발・재건축 양도소득세, 실수로 비과세 혜택 놓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13
2290 장애인 임차 차량도 이제 반값에 ‘고속도로’ 이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2 13
2289 한국쓰리엠(3M) 방음용 귀덮개,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1 13
2288 준공 임박 신축아파트 ‘하자’ 특별점검 나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1 13
2287 보행자, 화물차·이륜차 안전 강화로 사망자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0 13
2286 2024학년도 2학기 1차 국가장학금 신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0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 775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