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예약 전 환급 규정을 꼼꼼히 살펴야 -

소비자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문화적 체험을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공유숙박*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이에 따른 소비자 불만도 늘어나고 있어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공유숙박’은 일반인이 빈방, 빈집 등의 여유 공간을 활용해 여행객에게 숙박서비스를 유상제공하는 것으로, 공유숙박 플랫폼에 등록된 숙소제공자의 숙박시설을 소비자가 예약하는 방식으로 운영됨.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4년간(2014~2017)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공유숙박 플랫폼 관련 소비자 불만 상담을 분석한 결과 총 194건이 접수되었다. 특히, 지난 해 소비자 불만 상담 건수는 108건으로 2016년 36건에 비해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계약 취소에 따른 위약금 불만이 137건(70.6%)으로 가장 많았고, 이용 불가한 숙소 예약 등 불완전 계약이행 34건(17.5%), 서비스 불만, 시설·위생상태 불량 12건(6.2%) 순이었다.

[ 유형별 현황 ]

[단위 : 건, (%)]

유형계약 취소에 따른 위약금 불만불완전계약이행서비스 불만, 시설·위생상태 불량기타*
건수(비율)137 (70.6)34 (17.5)12 (6.2)11 (5.7)194100.0)

* 분실, 도난, 안전 등

공유숙박 주소지 확인이 가능한 194건을 분석한 결과, 국외가 130건(67.0%)으로 국내 64건(33.0%)보다 많았다.

공유숙박 주소지가 국외인 130건 중 일본(56건, 43.1%)이 가장 많았고, 미국(21건, 16.2%), 독일(7건, 5.4%), 프랑스(6건, 4.6%)순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64건은 제주(23건, 35.9%), 부산(10건, 15.6%), 서울(8건, 12.5%)순으로 확인되었다.

공유숙박 플랫폼 업체의 환급 정책을 살펴보면, 일반, 엄격 등으로 구분되고 취소 시 숙박예정일로부터 남은 시점에 따라 위약금으로 숙박료 전액, 숙박비의 50%를 부과하는 경우가 있어 계약 전 환급 정책과 규정을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유숙박 플랫폼 서비스수수료*의 경우 결제 후 일정 기간 내 취소할 경우 환급되지만, 일정 횟수를 초과하여 취소하거나 중복 예약 후 취소할 경우 환급되지 않았다. 일부 공유숙박 플랫폼 업체는 환급 규정과 관계없이 서비스수수료 환급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공유숙박 플랫폼 중개업체가 숙소 검색, 숙박 중개, 숙박대금 결제 및 환급 등을 대행해주는 서비스의 대가

한국소비자원은 국내·외 관광지로 여행을 계획하는 소비자들이 공유숙박 플랫폼을 이용하여 숙소를 예약할 때 ▲숙박 예정일자, 장소 등을 정확히 확인할 것 ▲공유숙박 플랫폼과 숙박업소의 환급 정책과 규정을 꼼꼼히 확인한 후 예약할 것 ▲예약 취소 시 취소 시점을 증빙할 수 있는 이메일, 문자메시지를 보관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8-02-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51 국민신문고 사칭 이메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2
3450 금속 입자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Apoday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6
3449 맘앤마트 / MOMNMART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29
3448 여름철 야외 물놀이 시, 물에 빠짐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7.06
3447 말라리아 매개모기 증가, 방역 강화와 신속한 진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7.12
3446 라벨 및 경고표시 미흡한 Science4You 향수 만들기 키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8.17
3445 배터리 문제로 화재 위험 있는 Zooby 차량용 베이비 모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9.07
3444 배터리 잠금장치 오작동 및 화재발생 위험 있는 전기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7.11
3443 세균 번식 가능성 있는 Dino World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7.15
3442 [소비자경보] 대리입금 광고에 현혹되면 고금리,불법 채권추심,협박 등의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니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9.26
3441 [소비자경보] 22년 상반기 신속민원 처리결과 소비자 유의사항(손해보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9.26
3440 스타일브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0.12
3439 접지가 미흡하여 감전 위험있는 Puhui 예열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0.12
3438 [소비자경보 2022-17호] 대학입시 및 연말정산 등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2.08
3437 키위닷컴에서 항공권 구입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4.25
3436 크로노박터 사카자키균이 함유되어 있는 Gerber goodstart 영유아 분유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5.12
3435 소비자경보_해외여행시 카드 도난분실, 위변조 등으로 인한 피해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5.16
3434 납 및 카드뮴 안전기준을 위반한 Yuanbogg 알코올측정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5.22
3433 두부 손상 가능성이 있는 Xinerter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6
3432 히터 팬 고장으로 과열 및 화재 우려 있는 Brod & Taylor 식품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