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표백제 및 발색제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위해평가한 결과,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 이번 조사는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식품첨가물인 표백제(6종) 및 발색제(3종) 함량을 조사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섭취수준을 평가하여 우리 국민들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진행하였습니다.
* 표백제(6종): 식품의 색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 무수아황산, 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칼륨, 산성아황산칼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 발색제(3종): 식품의 색을 유지하거나 강화시키는 식품첨가물로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 조사 방법은 표백제 및 발색제가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을 중심으로 이산화황 및 아질산이온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습니다.
- 표백제는 절임식품, 건조과일 등 29개 식품유형 1,003개 제품, 발색제는 식육가공품, 젓갈류 등 10개 식품유형 732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습니다.

□ 조사 결과, 수거‧검사한 모든 제품에서 표백제 및 발색제가 사용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검출량을 토대로 실시한 위해평가에서도 인체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이었습니다.
○ 표백제(이산화황)는 건조과일, 과실주, 건조채소 등 13개 식품유형(82건)에서 평균 48.7mg/kg이 검출되었고, 각 식품유형별 평균 함량을 토대로 일일노출량을 추정한 결과 일일섭취허용량(0.7mg/kg bw/day) 대비 0.2%(1.39㎍/kg bw/day)로 안전한 수준이었습니다.
*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 사람이 평생 섭취해도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1인당 1일 최대 섭취량(단위: mg/kg bw/day)
* 표백제 검출 식품유형(13종) : 건조과일(49.0mg/kg), 과실주(40.3mg/kg), 건조채소(11.0mg/kg), 과채가공품류, 식초, 소스류, 향신료가공품, 서류가공품, 치즈류, 절임류, 새우, 과일채소류음료, 당절임
○ 발색제(아질산이온)는 햄류, 소지지류, 베이컨류 등 9개 식품유형(389건)에서 평균 11.5mg/kg이 검출되었고, 일일섭취허용량(0.07mg/kg bw/day) 대비 2.0%(1.39㎍/kg bw/day)로 안전한 수준이었습니다.
* 발색제 검출 식품유형(9종) : 햄류 및 소시지류(10.7mg/kg), 베이컨류(5.5mg/kg), 분쇄가공육제품(4.9mg/kg), 빵류, 양념젓갈, 즉선섭취편의식품류, 건조저장육류, 치즈류
○ 아울러 우리 국민들은 과실주‧건조과일‧절임류 등을 통해 표백제를, 햄류‧소시지류‧즉석섭취편의식품류 등을 통해 발색제를 주로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한 식품섭취량과 각각의 식품유형별 표백제‧발색제 평균 함량을 적용하여 전체 인구집단에 대한 식품유형별 섭취 기여율(%) 조사

□ 안전평가원은 주기적으로 국민들의 식품첨가물 섭취수준을 모니터링하여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만큼 식품첨가물에 대해 과도한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되며, 다양한 교육 및 홍보자료를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표백제 바르게 알기>
○ 표백제는 식품의 색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품첨가물로 아황산염이 대표적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아황산나트륨, 산성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메트중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칼륨, 무수아황산 6종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 아황산염은 과일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산화효소를 파괴하여 보관 중에 건조 과일이 갈변하는 것을 방지하고, 포도주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 아황산염은 실파, 양파, 마늘, 양배추, 무 등에 천연적으로 분포
○ 식품을 통해 섭취된 표백제는 체내에서 빠르게 대사되어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일일섭취허용량(ADI)인 0.7mg/kg 이내로만 섭취하면 안전합니다.
○ 천식환자나 일부 아황산염 민감자의 경우에는 아황산염 함유 식품 섭취 시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표시사항[예: 아황산나트륨(표백제)]을 통해 아황산염의 함유 여부를 확인한 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발색제 바르게 알기>
○ 발색제는 식품의 색소를 유지하거나 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3종이 지정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 CODEX, EU, 미국,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첨가물
- 아질산염은 주로 햄이나 소시지와 같은 육가공품의 색상 및 풍미 개선과 연어알젓이나 명란젓 등의 색상을 선명하게 해주기 때문에 식육가공품 제조 등에 이용되며, 혐기성 세균으로 강한 독성을 나타내는 보툴리누스 식중독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식품첨가물입니다.
* 아질산염은 시금치, 쑥갓, 그린아스파라거스, 고추, 무 등에 천연적으로 분포
○ 식품을 통해 섭취된 발색제는 체내에서 빠르게 대사되어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일일섭취허용량(ADI)인 0.07mg/kg 이내로 섭취하면 안전하므로 우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에서 일일섭취허용량 이내로 섭취치 안전하다고 평가
○ 발색제가 사용된 가공식품의 포장지에는 원재료명 및 함량에 명칭과 용도를 함께 표시하도록 하고 있어[예: 아질산나트륨(발색제)]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안전평가원은 앞으로도 국민의 관심이 높은 식품첨가물에 대한 위해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국민이 식품첨가물에 대해 안전‧안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소비자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홍보자료 ‘애디와 함께 하는 식품첨가물 여행’(어린이용 만화책)과 ‘식품첨가물 바르게 알기’(일반인용 소책자)는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식품안전포털 식품안전나라>이슈‧뉴스‧홍보‧교육>홍보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2-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813 제품 파손 위험 있는 자전거 핸들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2.13
812 SK가전 스토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2.05
811 감전 위험 있는 LG-LED Solutions 실내 식물 재배용 조명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1.15
810 이물질 혼입된 에자키글리코 레토르트 돈부리(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0.17
809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커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9.28
808 3-MCPD 오염물질 초과 함유한 SILVERSWAN 간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8.24
807 추석절, 예초기 사고와 벌쏘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8.24
806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1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7.22
805 녹농균 검출된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7.13
804 폭염을 피해 떠난 물놀이, 예방수칙 준수로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7.12
803 어르신들의 소중한 노후자금을 노리는불법 유사수신 업체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10.11
802 납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물놀이 고래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8.16
801 현대홈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7.20
800 농기계 체인·벨트에 신체가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4.28
799 날 분리 위험 있는 잔디깎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12.06
798 라벨 미표기 대두 및 밀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John West 샐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11.14
797 집중호우 시기에 식중독 발생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08.10
796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6)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07.22
795 살모넬라 오염가능성 있는 초콜릿(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07.21
794 배터리 문제 있는 Final Touch 주류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07.15
Board Pagination Prev 1 ...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