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표백제 및 발색제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위해평가한 결과,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 이번 조사는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식품첨가물인 표백제(6종) 및 발색제(3종) 함량을 조사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섭취수준을 평가하여 우리 국민들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진행하였습니다.
* 표백제(6종): 식품의 색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 무수아황산, 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칼륨, 산성아황산칼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 발색제(3종): 식품의 색을 유지하거나 강화시키는 식품첨가물로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 조사 방법은 표백제 및 발색제가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을 중심으로 이산화황 및 아질산이온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습니다.
- 표백제는 절임식품, 건조과일 등 29개 식품유형 1,003개 제품, 발색제는 식육가공품, 젓갈류 등 10개 식품유형 732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습니다.

□ 조사 결과, 수거‧검사한 모든 제품에서 표백제 및 발색제가 사용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검출량을 토대로 실시한 위해평가에서도 인체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이었습니다.
○ 표백제(이산화황)는 건조과일, 과실주, 건조채소 등 13개 식품유형(82건)에서 평균 48.7mg/kg이 검출되었고, 각 식품유형별 평균 함량을 토대로 일일노출량을 추정한 결과 일일섭취허용량(0.7mg/kg bw/day) 대비 0.2%(1.39㎍/kg bw/day)로 안전한 수준이었습니다.
*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 사람이 평생 섭취해도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1인당 1일 최대 섭취량(단위: mg/kg bw/day)
* 표백제 검출 식품유형(13종) : 건조과일(49.0mg/kg), 과실주(40.3mg/kg), 건조채소(11.0mg/kg), 과채가공품류, 식초, 소스류, 향신료가공품, 서류가공품, 치즈류, 절임류, 새우, 과일채소류음료, 당절임
○ 발색제(아질산이온)는 햄류, 소지지류, 베이컨류 등 9개 식품유형(389건)에서 평균 11.5mg/kg이 검출되었고, 일일섭취허용량(0.07mg/kg bw/day) 대비 2.0%(1.39㎍/kg bw/day)로 안전한 수준이었습니다.
* 발색제 검출 식품유형(9종) : 햄류 및 소시지류(10.7mg/kg), 베이컨류(5.5mg/kg), 분쇄가공육제품(4.9mg/kg), 빵류, 양념젓갈, 즉선섭취편의식품류, 건조저장육류, 치즈류
○ 아울러 우리 국민들은 과실주‧건조과일‧절임류 등을 통해 표백제를, 햄류‧소시지류‧즉석섭취편의식품류 등을 통해 발색제를 주로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한 식품섭취량과 각각의 식품유형별 표백제‧발색제 평균 함량을 적용하여 전체 인구집단에 대한 식품유형별 섭취 기여율(%) 조사

□ 안전평가원은 주기적으로 국민들의 식품첨가물 섭취수준을 모니터링하여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만큼 식품첨가물에 대해 과도한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되며, 다양한 교육 및 홍보자료를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표백제 바르게 알기>
○ 표백제는 식품의 색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품첨가물로 아황산염이 대표적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아황산나트륨, 산성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메트중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칼륨, 무수아황산 6종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 아황산염은 과일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산화효소를 파괴하여 보관 중에 건조 과일이 갈변하는 것을 방지하고, 포도주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 아황산염은 실파, 양파, 마늘, 양배추, 무 등에 천연적으로 분포
○ 식품을 통해 섭취된 표백제는 체내에서 빠르게 대사되어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일일섭취허용량(ADI)인 0.7mg/kg 이내로만 섭취하면 안전합니다.
○ 천식환자나 일부 아황산염 민감자의 경우에는 아황산염 함유 식품 섭취 시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표시사항[예: 아황산나트륨(표백제)]을 통해 아황산염의 함유 여부를 확인한 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발색제 바르게 알기>
○ 발색제는 식품의 색소를 유지하거나 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3종이 지정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 CODEX, EU, 미국,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첨가물
- 아질산염은 주로 햄이나 소시지와 같은 육가공품의 색상 및 풍미 개선과 연어알젓이나 명란젓 등의 색상을 선명하게 해주기 때문에 식육가공품 제조 등에 이용되며, 혐기성 세균으로 강한 독성을 나타내는 보툴리누스 식중독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식품첨가물입니다.
* 아질산염은 시금치, 쑥갓, 그린아스파라거스, 고추, 무 등에 천연적으로 분포
○ 식품을 통해 섭취된 발색제는 체내에서 빠르게 대사되어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일일섭취허용량(ADI)인 0.07mg/kg 이내로 섭취하면 안전하므로 우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에서 일일섭취허용량 이내로 섭취치 안전하다고 평가
○ 발색제가 사용된 가공식품의 포장지에는 원재료명 및 함량에 명칭과 용도를 함께 표시하도록 하고 있어[예: 아질산나트륨(발색제)]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안전평가원은 앞으로도 국민의 관심이 높은 식품첨가물에 대한 위해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국민이 식품첨가물에 대해 안전‧안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소비자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홍보자료 ‘애디와 함께 하는 식품첨가물 여행’(어린이용 만화책)과 ‘식품첨가물 바르게 알기’(일반인용 소책자)는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식품안전포털 식품안전나라>이슈‧뉴스‧홍보‧교육>홍보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2-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13 향료 HICC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화장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3.01.13
3312 향료 HICC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3.01.13
3311 미허가 식물 성분 존재해 리콜된 Gluta LIPO 주스 분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3.01.13
3310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3.01.13
3309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3.01.13
3308 금지하는 MCI, MI 혼합물 함유해 피부염 위험 등으로 리콜된 BYPHASSE 헤어마스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3.01.13
3307 의도하지 않게 발효돼 알코올 있어 리콜된 Copenhagen 탄산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3.01.13
3306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ANNAYAKE 페이스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3.01.13
3305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ANNAYAKE 향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3.01.13
3304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ANNAYAKE 향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3.01.13
3303 애플스토어/에이샵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1.13
3302 쿠팡 사칭 사기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3.01.13
3301 슈즈오페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1.13
3300 금속 이물질 혼입돼 부상 위험 있어 리콜된 Chupa Chups 사탕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1.12
3299 내장제 박테리아 오염이 확인된 Lamaze 치아발육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1.12
3298 일부 부품 미장착한 EXPED 등산용 배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3.01.12
3297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 있는 Pine-Sol 다용도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3.01.12
3296 사용금지 성분(HICC) 함유한 Rasasi 향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1.12
3295 바퀴 부분 파손으로 낙상 위험 있는 Amazon Basics 사무용 회전의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3.01.12
3294 Ledlenser 손전등 충전기 무상 교환 조치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1.12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