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대다수 교육경험 없고, 설치여부·위치 몰라 -

심정지 환자 발생 시 4분 내(골든타임)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자동 심장충격기*를 동시에 사용해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 환자 피부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전기충격을 주어 심장의 비정상적인 떨림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의료장비임(자동제세동기, AED라고도 함).

우리나라에서는 연평균 약 2만 6천명(일평균 약 71명)의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약 50% 이상이 주거공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및 자동심장충격기 실습교육 이수율이 낮아 의무교육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조사대상의 대다수가 거주지* 주변 자동심장충격기 설치여부나 위치를 알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돼 눈에 잘 띄는 장소에 설치하도록 기준 마련 및 다발 장소에서의 신속한 사용을 위해 의무설치 범위 확대가 필요하다.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47조의2에 따라 공동주택(500세대 이상 아파트) 등에 설치해야 함.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심폐소생술·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교육현황 조사 및 전국 만 2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로 밝혀졌다.

심폐소생술·자동심장충격기 시행 시 생존율 약 3배 증가

매년 국내 심정지 환자수는 증가하고 있는데, 심정지 발생 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자동심장충격기 시행으로 생존율을 3배 이상 높일 수 있다.

[ 심폐소생술 · 자동심장충격기 시행여부에 따른 생존율 비교* ]

                                                                           (단위 : %)

구      분

  시행(사용) 시

  미시행(미사용) 시

심폐소생술

15.5

4.7

자동심장충격기

46.2

15.3

                                                            * 출처 : 보건복지부

교육 이수율 낮고, 이수자도 숙지 정도 낮아 반복교육 필요

심폐소생술·자동심장충격기의 적절한 사용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나, 교육 이수율은 심폐소생술 44.9%, 자동심장충격기 23.3%로 매우 저조했다.

또한,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일반인도 ‘심정지 환자 발생 시 조치순서’(44.6%), ‘자동심장충격기 패드 부착 위치’(70.4%) 등 기본적인 절차를 정확히 알지 못해 정기·반복적 실습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공무원·학교 교직원 등으로 한정되어 있는 의무교육 대상을 운전면허 취득*·갱신자, 공공기관, 300인 이상 민간 사업장**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

* 독일·오스트리아·일본 등은 운전면허 취득 시 심폐소생술 교육을 의무화하고 있음.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2조에 따라 상시 근로자 300명 이상 사업장은 안전관리자 선임 대상임.

10명 중 7명은 자동심장충격기 설치여부·위치 몰라

심정지 환자는 가정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설문대상 1,000명 중 668명(66.8%)은 거주지 주변 자동심장충격기 설치여부나 위치를 알지 못했다.

현재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는 자동심장충격기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관리 편의성 등의 이유로 장비 대부분이 관리사무소에 비치되어 있어 입주민은 설치여부·위치를 잘 알지 못했다.

따라서 위급상황 발생 시 빠른 시간 내에 사용할 수 있게 눈에 띄는 장소(아파트 건물 출입구 등)에 설치하도록 하는 관련 규정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가정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점을 고려할 때, 자동심장충격기 의무 설치 대상을 300세대 이상 공동주택*으로 확대하고, 위급상황 시 4분 내(골든타임) 사용이 가능하도록 공동주택 규모에 따른 설치대수 세부기준 마련도 필요하다.

*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2조에는 300세대 이상 아파트를 주택관리업자 등에 의한 의무관리(안전·보수 등)대상으로 정하고 있음.

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규정 홍보확대 필요

설문대상 1,000명 중 절반 이상(552명, 55.2%)은 일반인의 응급처치로 심정지 환자에게 신체적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법적 책임을 감면해주는 규정*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응급환자에 대한 일반인의 정당한 응급의료로 발생한 민사·상해의 형사책임은 면제, 사망은 감면으로 규정하고 있음(「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의2).

특히, 심정지 환자 발생 시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800명 중 404명(50.5%)은 면책규정을 알고 있는 반면, 사용의사가 없는 200명 중 156명(78.0%)은 알지 못했다. 이처럼 면책규정 인지 여부가 위급상황에서의 적극적인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의의 응급의료 면책에 대한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

[ 면책규정 인지여부 ·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의사 ]

                                                                                   [단위 : 명, (%)]

구                 분

  면책규정 인지여부

  계

알고 있음

모름

자동심장충격기사용의사

  있음

404(50.5)

396(49.5)

  800(100.0)

  없음

44(22.0)

156(78.0)

  200(100.0)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에 ▲심폐소생술·자동심장충격기 관련 의무교육 대상 확대 ▲자동심장충격기 의무설치 범위 확대 및 설치위치 관련 규정 신설 ▲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규정 홍보 강화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1-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156 안전 표시사항이 미흡한 pepi 말 관리용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7.28
2155 제품 캔 내부 페인트 섭취 가능성 있는 ADRIA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7.28
2154 전지함 고정이 미흡해 삽입된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어린이 손목시계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7.28
2153 2030 대상 취업 미끼 비대면 대출 사기,“소비자경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7.29
2152 납 기준 초과한 수입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7.29
2151 무등록 제조한 기타농산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7.29
2150 합성수지제로 코팅된 일부 아령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1.07.29
2149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한 한식된장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8.02
2148 2021.2분기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주요 제재 사례 및 투자자 유의사항을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21.08.02
2147 차량용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2개 제품 리콜명령(8/2 조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8.02
2146 짜장·비빔라면, 포화지방과 나트륨 높아 과잉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21.08.03
2145 아나필락시스 쇼크 보장보험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8.03
2144 ALL MART (LGMART24)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21.08.06
2143 재난지원금 및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 정부의 자금지원을 빙자한 대출사기 문자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1.08.06
2142 식약처,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08.09
2141 폭염 지속에 따른 온열질환 발생 증가세, 건강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1.08.09
2140 유사투자자문서비스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8.11
2139 중고생 노리는 불법 스팸문자 전송 아르바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1.08.12
2138 살모넬라균감염증 환자 신고 증가, 예방 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1.08.12
2137 캠핑 중 집중호우 시, 산사태·급류 각별한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21.08.12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