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앞으로 국민들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위험요소 등 안전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지도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각 기관에 흩어져 있는 범죄 및 교통사고 발생현황, 대피시설, 미세먼지 등 안전정보 200여 종을 한 곳에 모아 지도형태로 시각화된 생활안전지도(www.safemap.go.kr) 전국 서비스를 4대 분야에서 8대* 분야로 확대해 31일부터 본격 공개한다.

* 기존 : ①교통(무단횡단사고 다발지역 등 13종), ②재난(지진발생이력 등 13종), ③치안(시간대별 안전녹색길 등 45종), ④취약계층 맞춤안전(여성밤길 치안안전 등 19종)
확대 : ⑤시설안전(폐기물 처리시설 등 14종), ⑥산업안전(산업재해 수 등 11종), ⑦보건안전(자살발생 통계 등 56종), ⑧사고안전(어린이 놀이시설 안전정보 등 16종)

서비스 내용은 안전지도 187종, 병원·경찰서 등 안전시설 위치정보 44종 및 미세먼지·교통돌발(사고·공사)정보 등 실시간 정보 11종을 제공한다. 그동안 인터넷 웹(Web)에서만 공개하던 의료시설, 대피시설(민방위 대피소, 지진해일 대피장소, 지진 옥외 대피소,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 등 안전시설 위치정보(37종)를 전화(모바일) 앱(App)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번에는 전국 서비스 확대뿐만 아니라 메뉴 구조와 디자인 등을 전면 개편해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개선하였다.

먼저, 지도정보의 응답속도를 크게 개선(최장 9초→3초 이내)하였고, 메뉴구조와 아이콘을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디자인으로 전면 개편하였다.

특히, 국민의 관심이 높은 교통사고 발생현황과 4대 범죄(강도, 성폭력, 폭력, 절도) 치안사고 발생현황에 대해서는 연도별 변화를 확인 할 수 있도록 비교 정보를 웹(Web) 서비스에서 제공한다. 또한, 내가 위치한 곳 주변에서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는 정보 목록을 표출해 주어 전화(모바일) 앱(App)에서 해당 정보를 빠르게 확인 할 수 있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생활안전지도 전국 서비스 확대 개편으로 국민들에게는 ‘안전한 생활의 길잡이‘, 공공·민간 기업에는 안전정보 데이터를 활용한 ‘안전 관련 응용 서비스 창출 계기‘,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지역안전 개선정책 수립의 기초자료와 재난 대비 강화‘에 많이 활용되기를 바란다.” 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공공 및 민간 각 분야에서 기 구축된 안전정보 데이터의 공동이용을 통해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국민의 안전한 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원천자료 제공기관과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배경지도, 안전시설 정보 및 안전정보의 갱신주기 단축 등 최신 정보 제공을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 행정안전부 2018-01-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33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18.04.11
2932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9.05.07
2931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0.04.27
2930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자 발생에 따른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20.05.25
2929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자 발생에 따른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2.05.17
2928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18.06.12
2927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9.06.07
2926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06.16
2925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6.16
2924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4.28
2923 올해 일본뇌염 첫 환자 발생! 모기물림 주의 및 예방접종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7
2922 올해 일본뇌염 첫 의사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09.07
2921 올해 온열질환자 작년 발생 초과, 휴가철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8.07.30
2920 올바르고 안전한 우유 구입·보관·섭취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07.05
2919 올란도, 크루즈 디젤 차량 냉각수 서지탱크 부품 교환 조치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947 2015.05.06
2918 올 한해 국민 안전신고 21만 건, 지난해보다 40%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17.12.11
2917 올 여름 이른 더위 예상, 온열질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5.13
2916 올 겨울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7.11.03
2915 올 겨울에는 내 주변 눈치우기 꼭 실천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11.29
2914 올 겨울 기습 한파 예상, 한랭질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18.12.05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