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정형&입원형 이용 시 입원형 단독보다 기간 2.5배
 
-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발간,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사업 분석결과 첫 발표 -

 
 ◈ 2016년 호스피스전문기관(입원형) 이용률, 전년대비 2.5% 포인트 증가
  ○ ‘15년 15% → ’16년 17.5% 이용
  ○ ‘16년 말 기준 호스피스전문기관 77개, 1만3662명의 환자, 호스피스 이용
 
 ◈ 가정형 1차 호스피스 시범사업(‘16. 3.~’17. 7.) 결과 및 시사점

  ○ 호스피스 유형 다양화 결과, 호스피스 이용이 입원형만 이용하는 경우 평균 25.4일, 가정형을 함께 이용한 경우에는 평균 62.9일로 약 2.5배 증가

  ○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자 중 가정에서의 사망은 20.9%로, 암사망자 중 가정사망률 6.9%와 전체사망자 가정사망률 15.3% 보다 높아
 
  ○ 이는 가정형을 이용할 경우, 호스피스의 조기이용 촉진과 입원형-가정형간 연속적인 호스피스 제공으로 환자와 가족의 선택권 보장에 기여 입증
 
 ◈ 사별가족 만족도 조사결과 93% 만족, ‘14년 이후 꾸준히 향상
  ○ 호스피스전문기관 이용자 만족도는 93%, 일반의료기관의 53%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으로, 인간중심 호스피스 의료 구현에 기여 평가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국립암센터(원장 이은숙)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주요지표를 수록한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을 1월 31일 발간·배포한다고 밝혔다.

 
 ❍ 이번 자료는 2012년 발간 이후 처음으로, 21개 기관에서 수행한 1차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사업(‘16.3~’17.7) 결과를 분석하여 발표한 자료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호스피스를 담당하는 의사, 전담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팀을 이뤄 가정으로 방문하여 ‘환자의 증상관리 및 의료적 처치, 심리사회적 지지, 자원봉사 지원, 환자 돌봄을 위한 가족교육, 임종준비교육, 사별가족상담 등’ 서비스 제공

□ 먼저 2016년 말 기준 77개 호스피스전문기관(입원형) 이용현황을 보면, 국내 암사망환자 7만8194명 중 1만3662명이 전문기관을 이용한 결과, 2015년 말 대비 호스피스전문기관 이용률은 15.0%에서 17.5%로, 2.5%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77개 전문기관 이용자(1만3662명) 중 가정형 호스피스를 이용한  환자는 전체의 8%인 1,088명로 나타났다.

□ 그리고 2016년 3월부터 입원형과 가정형을 함께 제공해 온 21개 가정형 1차 시범사업 참여기관의 대상 호스피스 이용현황을 보면, 전체 이용자는 4,328명*이며, 이 중에 입원형만을 이용한 3,240명을 제외하면 이용자의 25.1%인 1,088명이 가정형 호스피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21개 가정형 호스피스 1차 시범사업기관 서비스 이용비율 (2016.3.1.~12.31, 4,328명) : ▲가정형만 이용(7.2%, 312명), ▲입원형․가정형 함께 이용(17.9%, 776명), ▲입원형만 이용(75.6%, 3,240명)
    
 ❍ 이는 그간 입원형에 국한되었던 호스피스 서비스 유형에 가정형이 추가되면서, 호스피스 이용자 4명중 1명은 가정형 호스피스를 함께 이용하였다는 것으로, 가정에서 지내고 싶어 하는 말기암환자와 가족에게 가정과 병원에서 단절 없는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와 가족의 호스피스 선택권 보장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 한편 입원형과 가정형 호스피스의 총 등록기간 분석결과를 보면  입원형만 제공한 경우는 25.4일, 가정형을 함께 제공한 경우는 62.9일로,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기간이 약 2.5배 가량 긴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입원형 단독운영에 비해, 가정형 호스피스를 함께 운영할 경우,  조기에 호스피스를 이용하게 된 결과로, 입원형과 함께 가정형 호스피스 제공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 또한, 국립암센터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에 입력된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자 중 ‘2016년 사망환자(785명)의 사망장소’를 분석한 현황을 살펴보면, 의료기관에서의 사망 557명(71.0%), 가정 사망 164명(20.9%), 요양원 등 시설에서의 사망 10명(1.4%), 모름 54명(6.9%)로 나타났다.

 ❍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자의 가정에서의 사망비율(20.9%)은 암사망자의 가정사망률 6.9%와 전체사망자의 가정사망률인 15.3%에 비해 높은 편이다.

 ❍ 이는 자연스러운 사망을 맞이하고자 희망하는 환자와 가족이 가정형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정형 호스피스는 호스피스 전문팀에 의한 증상관리 및 가정임종 교육 등을 통해 가정에서 편안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한편 2016년 호스피스 이용 사망자의 사별가족 대상 만족도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설문응답자 2,323명 중 호스피스 전문기관 이용 만족비율은 2,133명(93%)로 나타나, 암치료기관의 이용에 만족한다는 응답을 한 1,315명(58%)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항목별 평가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호스피스전문기관 서비스 이용’에서는 의료진의 설명이나 이용이 전반적으로 만족률이 높게 나타났다.

 ❍ 입원 중 ‘고인의 삶에 대한 가족의 평가’에서는 “인간으로 소중하게 대하게 됐다”는 평가가 ‘14년 이후 가장 높은 점수로 꾸준히 향상되고 있음을 나타내, 호스피스 전문기관이 인간중심의 의료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 또한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2016년 한 해 동안 국립암센터, 9개 지역암센터 및 8개 호스피스전문기관이 실시한 양성교육(‘08년 개설)의 경우, 호스피스 표준교육 총 19회 운영에 1,243명이 교육을 이수하여, ’08년 교육과정 개설 이후 누적 이수자는 총 4,947명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 호스피스 실무 멘토링* 전문가 인력풀을 통해 25개 기관을 대상으로 6개 영역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여 호스피스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호스피스 전문기관들을 적극 지원하였다.

     * 호스피스 전문기관 운영 및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경험 있는 외부전문가가 직접 기관의 현장으로 찾아가 자문하고 노하우를 전수하는 활동

    ** 6개 영역 : ①운영관리 및 평가, ②환자 가족 교육 및 상담, ③완화요법, ④영적 돌봄, ⑤임종․사별관리, ⑥가정 호스피스)

□ 보건복지부는 “이번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이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사업 결과를 분석한 첫 번째 자료로,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호스피스 유형 다양화의 효과성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있는 자료”라고 밝혔다.

 ❍ 아울러, “향후에도 근거 중심의 호스피스 정책구현으로 중앙호스피스센터와 더불어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 이번에 발간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은 호스피스전문기관을 포함한 일반국민들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중앙호스피스센터 홈페이지에도 게재할 예정이다.
     ※ 자료 게시 : hospice.cancer.go.kr / 열린광장 / 자료실 /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 보건복지부 2018-01-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86 내년 1월부터 조산아, 저체중 출생아의 외래 본인부담률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23
5385 내년 1월부터 저소득층의 재난적 의료비를 질환 구분 없이 최대 2,000만원까지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7 34
5384 내년 1월부터 유선전화 번호변경 분기당 2회로 제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7 53
5383 내년 1월부터 당뇨병 관리기기 구입도 건강보험 적용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31 7
5382 내년 1월, 동일한 퇴직연금제도간 이전이 금융회사 1회 방문으로 가능해지고, 구비서류도 대폭 축소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3 14
5381 내년 1월 기초생활보장 부양의무자 기준이 더 완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3 45
5380 내년 1월 1일부터 고향사랑기부제 첫 시행,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9 6
5379 내년 1월 1일 소멸되는 항공마일리지, 지금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5 69
5378 내년 1월 "최저임금 해결사" 일자리 안정자금이 찾아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1 40
5377 내년 10인 미만 사업장 국민연금 보험료 최대 90%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7 76
5376 내게 필요한 공공서비스 ‘딱’ 골라 준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75
5375 내게 맞는 청년 주거정책, 마이홈에서 찾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0 17
5374 내게 맞는 주거지원 ‘마이홈 포털’ 에서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1 82
5373 내게 맞는 고용장려금,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3 31
5372 내게 꼭 맞는「교육지원」혜택, 이렇게 검색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9 28
Board Pagination Prev 1 ...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