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정형&입원형 이용 시 입원형 단독보다 기간 2.5배
 
-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발간,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사업 분석결과 첫 발표 -

 
 ◈ 2016년 호스피스전문기관(입원형) 이용률, 전년대비 2.5% 포인트 증가
  ○ ‘15년 15% → ’16년 17.5% 이용
  ○ ‘16년 말 기준 호스피스전문기관 77개, 1만3662명의 환자, 호스피스 이용
 
 ◈ 가정형 1차 호스피스 시범사업(‘16. 3.~’17. 7.) 결과 및 시사점

  ○ 호스피스 유형 다양화 결과, 호스피스 이용이 입원형만 이용하는 경우 평균 25.4일, 가정형을 함께 이용한 경우에는 평균 62.9일로 약 2.5배 증가

  ○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자 중 가정에서의 사망은 20.9%로, 암사망자 중 가정사망률 6.9%와 전체사망자 가정사망률 15.3% 보다 높아
 
  ○ 이는 가정형을 이용할 경우, 호스피스의 조기이용 촉진과 입원형-가정형간 연속적인 호스피스 제공으로 환자와 가족의 선택권 보장에 기여 입증
 
 ◈ 사별가족 만족도 조사결과 93% 만족, ‘14년 이후 꾸준히 향상
  ○ 호스피스전문기관 이용자 만족도는 93%, 일반의료기관의 53%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으로, 인간중심 호스피스 의료 구현에 기여 평가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국립암센터(원장 이은숙)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주요지표를 수록한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을 1월 31일 발간·배포한다고 밝혔다.

 
 ❍ 이번 자료는 2012년 발간 이후 처음으로, 21개 기관에서 수행한 1차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사업(‘16.3~’17.7) 결과를 분석하여 발표한 자료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호스피스를 담당하는 의사, 전담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팀을 이뤄 가정으로 방문하여 ‘환자의 증상관리 및 의료적 처치, 심리사회적 지지, 자원봉사 지원, 환자 돌봄을 위한 가족교육, 임종준비교육, 사별가족상담 등’ 서비스 제공

□ 먼저 2016년 말 기준 77개 호스피스전문기관(입원형) 이용현황을 보면, 국내 암사망환자 7만8194명 중 1만3662명이 전문기관을 이용한 결과, 2015년 말 대비 호스피스전문기관 이용률은 15.0%에서 17.5%로, 2.5%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77개 전문기관 이용자(1만3662명) 중 가정형 호스피스를 이용한  환자는 전체의 8%인 1,088명로 나타났다.

□ 그리고 2016년 3월부터 입원형과 가정형을 함께 제공해 온 21개 가정형 1차 시범사업 참여기관의 대상 호스피스 이용현황을 보면, 전체 이용자는 4,328명*이며, 이 중에 입원형만을 이용한 3,240명을 제외하면 이용자의 25.1%인 1,088명이 가정형 호스피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21개 가정형 호스피스 1차 시범사업기관 서비스 이용비율 (2016.3.1.~12.31, 4,328명) : ▲가정형만 이용(7.2%, 312명), ▲입원형․가정형 함께 이용(17.9%, 776명), ▲입원형만 이용(75.6%, 3,240명)
    
 ❍ 이는 그간 입원형에 국한되었던 호스피스 서비스 유형에 가정형이 추가되면서, 호스피스 이용자 4명중 1명은 가정형 호스피스를 함께 이용하였다는 것으로, 가정에서 지내고 싶어 하는 말기암환자와 가족에게 가정과 병원에서 단절 없는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와 가족의 호스피스 선택권 보장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 한편 입원형과 가정형 호스피스의 총 등록기간 분석결과를 보면  입원형만 제공한 경우는 25.4일, 가정형을 함께 제공한 경우는 62.9일로,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기간이 약 2.5배 가량 긴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입원형 단독운영에 비해, 가정형 호스피스를 함께 운영할 경우,  조기에 호스피스를 이용하게 된 결과로, 입원형과 함께 가정형 호스피스 제공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 또한, 국립암센터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에 입력된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자 중 ‘2016년 사망환자(785명)의 사망장소’를 분석한 현황을 살펴보면, 의료기관에서의 사망 557명(71.0%), 가정 사망 164명(20.9%), 요양원 등 시설에서의 사망 10명(1.4%), 모름 54명(6.9%)로 나타났다.

 ❍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자의 가정에서의 사망비율(20.9%)은 암사망자의 가정사망률 6.9%와 전체사망자의 가정사망률인 15.3%에 비해 높은 편이다.

 ❍ 이는 자연스러운 사망을 맞이하고자 희망하는 환자와 가족이 가정형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정형 호스피스는 호스피스 전문팀에 의한 증상관리 및 가정임종 교육 등을 통해 가정에서 편안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한편 2016년 호스피스 이용 사망자의 사별가족 대상 만족도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설문응답자 2,323명 중 호스피스 전문기관 이용 만족비율은 2,133명(93%)로 나타나, 암치료기관의 이용에 만족한다는 응답을 한 1,315명(58%)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항목별 평가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호스피스전문기관 서비스 이용’에서는 의료진의 설명이나 이용이 전반적으로 만족률이 높게 나타났다.

 ❍ 입원 중 ‘고인의 삶에 대한 가족의 평가’에서는 “인간으로 소중하게 대하게 됐다”는 평가가 ‘14년 이후 가장 높은 점수로 꾸준히 향상되고 있음을 나타내, 호스피스 전문기관이 인간중심의 의료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 또한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2016년 한 해 동안 국립암센터, 9개 지역암센터 및 8개 호스피스전문기관이 실시한 양성교육(‘08년 개설)의 경우, 호스피스 표준교육 총 19회 운영에 1,243명이 교육을 이수하여, ’08년 교육과정 개설 이후 누적 이수자는 총 4,947명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 호스피스 실무 멘토링* 전문가 인력풀을 통해 25개 기관을 대상으로 6개 영역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여 호스피스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호스피스 전문기관들을 적극 지원하였다.

     * 호스피스 전문기관 운영 및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경험 있는 외부전문가가 직접 기관의 현장으로 찾아가 자문하고 노하우를 전수하는 활동

    ** 6개 영역 : ①운영관리 및 평가, ②환자 가족 교육 및 상담, ③완화요법, ④영적 돌봄, ⑤임종․사별관리, ⑥가정 호스피스)

□ 보건복지부는 “이번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이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사업 결과를 분석한 첫 번째 자료로,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호스피스 유형 다양화의 효과성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있는 자료”라고 밝혔다.

 ❍ 아울러, “향후에도 근거 중심의 호스피스 정책구현으로 중앙호스피스센터와 더불어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 이번에 발간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은 호스피스전문기관을 포함한 일반국민들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중앙호스피스센터 홈페이지에도 게재할 예정이다.
     ※ 자료 게시 : hospice.cancer.go.kr / 열린광장 / 자료실 /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 보건복지부 2018-01-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00 시민안전보험 ‘사회재난 사망 특약’ 신설로 사회안전망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5 14
5599 시민연합 대리운전가맹점협의회의 사업자단체 금지행위에 대한 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8 209
5598 시민이 뽑은 ‘한국사회 변화시킨 10대 공익제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5 56
5597 시설물 사용자라면 누구나 “앱으로 안전점검 결과 한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1 27
5596 시세 30% 수준 ‘청년매입임대주택’ 1,500호 연내 공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48
5595 시세 30% 수준의 청년매입임대주택 430호 입주자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2 35
5594 시세를 반영한 공시가격, 공평과세의 시작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4 16
5593 시외버스 예매“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예매서비스 전면 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8 43
5592 시외버스 예약~탑승~도착 등 이용단계별 서비스 개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3 111
5591 시외버스 정기·정액권 도입으로 이용객 부담 완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2 40
5590 시외버스도 지정좌석제·승차권 왕복발권 서비스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8 96
5589 시원한 여름, 따뜻한 겨울, 『에너지바우처』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7 10
5588 시장의 소비자지향성 수준, 2년 전에 비해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0 37
5587 시장의 절반 이상은 소비자 지향성 부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8 242
5586 시장질서 교란행위 위반사례 첫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2 64
Board Pagination Prev 1 ...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