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전기장판과 난로 등 전열기 사용이 늘어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화재 안전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화재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12~’16)간 총 55,268건의 주택화재가 발생하였으며, 932명이 사망하였다.

주택화재는 겨울철 중에서도 1월이 5,719건으로 연중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사망자 또한 144명으로 월평균 78명보다 1.8배(66명)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화재 발생 원인을 분석해 보면,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30,960건(56%)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과열 등으로 인한 전기적 요인이 11,704건(21%), 원인을 알 수 없는 미상 5,672건(10%), 가스누출 등의 기계·화학·가스 3,237건(6%), 방화가 2,515건(5%) 순이다. 이 중 부주의로 인한 화재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음식물 조리나 빨래 삶기가 13,108건(42%)으로 가장 많았고, 담배꽁초 5,799건(19%), 화원방치가 4,943건(16%)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전기장판과 난로 등의 전열기를 사용할 경우 더욱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집안의 누전차단기는 시험버튼을 눌러 작동을 확인하고, 가스시설의 밸브와 보일러 등도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전열기를 사용할 때는 높은 온도로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끈다.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빨래를 삶을 때는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하고 자리를 비우지 않는다.

단독주택은 소방시설이 갖추어진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달리 화재 발생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화재 시 경보음이 울리는 단독형감지기와 소화기를 반드시 설치*한다.

화재 등 위급상황에 대비하여 비상구와 공동주택의 경량칸막이 등 피난시설 위치를 확인하고, 안전한 대피요령과 소화기 사용법을 알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행정안전부는 “공동주택에서의 화재는 본인뿐 아니라 이웃에게도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집안의 불필요한 전원은 차단하고 누전이나 가스누출은 없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1-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33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18.04.11
2932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9.05.07
2931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0.04.27
2930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자 발생에 따른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20.05.25
2929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자 발생에 따른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2.05.17
2928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18.06.12
2927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9.06.07
2926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06.16
2925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6.16
2924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4.28
2923 올해 일본뇌염 첫 환자 발생! 모기물림 주의 및 예방접종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7
2922 올해 일본뇌염 첫 의사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09.07
2921 올해 온열질환자 작년 발생 초과, 휴가철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8.07.30
2920 올바르고 안전한 우유 구입·보관·섭취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07.05
2919 올란도, 크루즈 디젤 차량 냉각수 서지탱크 부품 교환 조치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947 2015.05.06
2918 올 한해 국민 안전신고 21만 건, 지난해보다 40%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17.12.11
2917 올 여름 이른 더위 예상, 온열질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5.13
2916 올 겨울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7.11.03
2915 올 겨울에는 내 주변 눈치우기 꼭 실천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11.29
2914 올 겨울 기습 한파 예상, 한랭질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18.12.05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