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전기장판과 난로 등 전열기 사용이 늘어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화재 안전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화재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12~’16)간 총 55,268건의 주택화재가 발생하였으며, 932명이 사망하였다.

주택화재는 겨울철 중에서도 1월이 5,719건으로 연중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사망자 또한 144명으로 월평균 78명보다 1.8배(66명)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화재 발생 원인을 분석해 보면,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30,960건(56%)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과열 등으로 인한 전기적 요인이 11,704건(21%), 원인을 알 수 없는 미상 5,672건(10%), 가스누출 등의 기계·화학·가스 3,237건(6%), 방화가 2,515건(5%) 순이다. 이 중 부주의로 인한 화재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음식물 조리나 빨래 삶기가 13,108건(42%)으로 가장 많았고, 담배꽁초 5,799건(19%), 화원방치가 4,943건(16%)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전기장판과 난로 등의 전열기를 사용할 경우 더욱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집안의 누전차단기는 시험버튼을 눌러 작동을 확인하고, 가스시설의 밸브와 보일러 등도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전열기를 사용할 때는 높은 온도로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끈다.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빨래를 삶을 때는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하고 자리를 비우지 않는다.

단독주택은 소방시설이 갖추어진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달리 화재 발생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화재 시 경보음이 울리는 단독형감지기와 소화기를 반드시 설치*한다.

화재 등 위급상황에 대비하여 비상구와 공동주택의 경량칸막이 등 피난시설 위치를 확인하고, 안전한 대피요령과 소화기 사용법을 알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행정안전부는 “공동주택에서의 화재는 본인뿐 아니라 이웃에게도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집안의 불필요한 전원은 차단하고 누전이나 가스누출은 없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1-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13 설 명절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19.01.28
3512 알러지 반응 유발하는 스트레스 완화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7.11
3511 녹농균 검출된 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7.13
3510 미생물 검출된 완하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8.23
3509 3-MCPD 오염물질 초과 함유한 SILVERSWAN 간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8.24
3508 라벨 미표기된 성분(겨자)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하우스 와사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8.24
3507 성분 오표기된 CAC 블러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14
3506 미생물 증식 가능성 있어 리콜된 Floradix 액상 마그네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14
3505 블랙프라이데이 등 해외직구 성수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23
3504 토양 균류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된 Rose de Marrakech 바디미스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07
3503 사고 및 익사 위험이 있는 Dometic Seastar 선박 케이블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09
3502 전국 곳곳 강추위, 한랭질환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16
3501 내관통성 안전기준 미달된 스키용 안전모 판매중단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28
3500 단추 떨어져 질식 위험 있는 Patagonia 영유아 내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4.24
3499 핸들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볼트EUV 차량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5.22
3498 리퍼타운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7.19
3497 잔류 농약이 초과 검출된 Kobe 조미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8.17
3496 사용 중 멈춤 현상으로 상해 및 사망 우려 있는 Onewheel 전동스케이트보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1.04
3495 반동으로 사용자 부상 우려 있는 STIHL 체인 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1.04
3494 정부지원 전세자금대출, 대환대출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1.16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