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감비아 거주 한국인 교민 1명이 감비아, 세네갈, 기니비사우 지역 여행 후 리프트밸리열*로 추정되는 감염병으로 사망

* 리프트밸리열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초기에는 감기처럼 발열, 근육통, 관절통, 두통 증상을 보이나 중증일 경우 출혈 경향으로 사망할 수 있는 급성 발열성 출혈열 질환

질병관리본부는 감비아, 세네갈 등의 해당 지역 여행을 고려하는 국민에게 감염주의 당부

  • 리프트밸리열은 감비아, 세네갈 등 아프리카 지역에서 풍토병이므로 현지 거주 또는 방문 시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 필요
  • 감염된 동물과 접촉을 피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필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감비아 거주 교민 1명이 리프트밸리열로 추정되는 감염병으로 사망*함에 따라, 감비아, 세네갈 여행을 고려하는 국민들에게 해당 지역 방문 시 감염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보고(1월 20일)

사망자는 감비아 거주 한국인 남성(52세)으로 12월 초(12.5∼12) 감비아, 세네갈, 기니비사우 지역을 여행하였으며, 여행 후 기침, 발열 등 증상으로 감비아 현지 병원에 입원하여 중증 말라리아 진단 받고 치료받던 중, 출혈 경향 등 증세 악화되어 세네갈의 한 병원으로 후송, 치료 중 사망(´17.12.31.)하였는데, 사망 전 시행한 혈액검사에서 리프트밸리열 항체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 사망자와 함께 여행한 일행 3명(가족, 동료, 운전사)은 검사 결과 음성 확인

이번 리프트밸리열 발생 사례는 감비아에서 2002년 이후 첫 발생으로 최근 현지 유행발생 보고는 없었다.

리프트밸리열은 감염된 모기에 물리거나 감염된 동물(소, 염소, 양, 낙타, 영양 등 반추동물)의 혈액 또는 조직에 접촉하여 감염되므로,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위험지역*에서 감염된 동물**의 혈액, 체액 및 사체 접촉을 피하고, 모기기피제 등을 사용하여 모기에 물리는 것을 예방하는 등 감염예방수칙(붙임3)을 준수할 것을 권고하였다.

* 모리타니아, 세네갈, 감비아, 수단, 남수단, 케냐, 탄자니아, 잠비아, 짐바브웨, 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예멘

** 동물이 감염되면 갑작스런 유산(암컷), 고열, 임파선염, 코와 안구 분비물 증가, 유행성 설사(혈변), 구토, 복부경련, 황달, 젖분비이상 등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유행발생 시 집단 폐사하여 발견됨

리프트밸리열은 플레보바이러스(Phlebovirus)에 속하는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질환으로, 2∼6일의 잠복기를 거쳐 감기처럼 열, 근육통, 관절통, 두통 같은 증상을 나타내나, 일부 중증 환자(환자의 약 8∼10%)는 출혈 경향 보이며 사망 할 수 있는 급성 발열성 출혈열 질환이다.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는 없고 증상에 대한 치료만 가능하며, 인체감염 예방 백신은 아직 상용화되어 있지 않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나이지리아에서 리프트밸리열과 유사한 급성 발열성 출혈열 질환인 라싸열*이 여전히 유행**하고 있어, 현지에서 야생쥐 및 그 배설물을 피하고, 현지에서 의료기관을 방문할 경우 환자의 혈액 등과 접촉하지 말 것을 권고하였다.

* 아레나바이러스속 라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출혈성 질환으로 쥐의 분비물의 피부 상처, 점막의 직접 접촉 및 오염된 음식의 섭취로 감염되며, 80%는 무증상 또는 경증이나 20%는 중증으로 출혈, 쇼크 등 발생

** 나이지리아, ´15년 8월∼´16년 5월 유행발생으로 273명 발생(149명 사망), ´16년 12월∼´17년 12월 19개 주에서 1,022명 발생(127명 사망) 보고



[ 보건복지부 2018-01-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91 손가락 끼임 위험 있는 People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15
2290 손가락 끼임 우려 있는 IRIS OHYAMA 써큘레이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9.07
2289 소형부품이 쉽게 분리되어 질식 위험있는 MBAT 장난감 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3.01.16
2288 소형부품 탈락하여 질식 가능성 있는 MBAT 악기 장난감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12.15
2287 소형 자석으로 인한 질식 및 부상 위험 있는 Sucetoy 자석 체스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4.15
2286 소형 자석 삼킴 가능성 있는 STAX 자석블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2.19
2285 소형 부품이 쉽게 분리돼 질식 위험있는 딸랑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21.02.08
2284 소형 부품과 고강력 자석으로 인해 질식 및 부상 위험 있는 아이스 하키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2.12.15
2283 소형 부품 탈락해 질식 위험 있는 Magic Water 유아용 드로잉 매트 판매중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2.05.04
2282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Revellino 장난감 자동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3.04.07
2281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우려 있는 Wild Republic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8.18
2280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우려 있는 TY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8.18
2279 소형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이 있는 보드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2278 소형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토토로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2.06.13
2277 소형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8.24
2276 소형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Kawaii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12.15
2275 소형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 있는 마트료시카 인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2.20
2274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몬테소리 유아용 교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1.04.28
2273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말 모양 봉제인형 딸랑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4.28
2272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말 모양 봉제인형 딸랑이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1.04.28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