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정기검사 의무화 및 위생관리기준 마련 필요 -

최근 놀이터 합성고무 바닥의 유해성과 환경오염 논란으로 인해 어린이들의 정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모래 놀이터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공원·학교 등의 놀이터 모래는 일부 지자체에서 위생상태를 점검하고 있지만, 아파트 놀이터 모래는 관리되고 있지 않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이 수도권 30개 아파트 어린이놀이터 모래를 시험검사한 결과, 일부 놀이터에서 대장균이, 전체 놀이터에서 일반세균이 다량 검출돼 위생상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0개 중 10개 아파트 놀이터 모래에서 대장균 검출

대장균은 10개 놀이터 모래(33.3%)에서 검출되었고, 일반세균은 조사대상 놀이터 모래 전체에서 평균 3.2x105CFU/g 수준으로 검출돼 어린이가 손으로 만지며 놀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장균은 장 이외의 부위에 들어가면 방광염·신우염·복막염·패혈증 등을 일으키며 장 내에서도 전염성 설사를 유발함. 어린이들이 놀이터에서 무의식적으로 모래먼지를 섭취·흡입하는 양은 평균 40∼200mg 수준이며, 영유아의 경우 입에 넣는 습성으로 인해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 위험이 큼.

중금속 및 기생충(란) 기준에는 적합

납(Pb)·비소(As)는 조사대상 30개 놀이터 모래 전체에서, 카드뮴(Cd)은 9개 놀이터 모래에서 검출됐으나 해당 기준에는 적합하였다.

[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한 환경안전관리기준 ]

(단위 : mg/kg)

유해인자카드뮴비소수은6가크롬기생충(란)
기준200 이하4 이하25 이하4 이하5 이하불검출

수은(Hg)과 6가크롬(Cr6+), 기생충(란)은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되었다.

어린이놀이터 모래 안전관리 강화 방안 마련 필요

어린이놀이터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은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에 따라 설치검사 및 정기검사가 의무화되어 있으나, 모래의 경우 「환경보건법」에 따라 놀이터 신축·증축·수선 시에만 확인검사를 실시하고 있어 안전성 검증이 미흡한 실정이다.

실제로 금번 실태조사 결과 30개 놀이터 모래 전체에서 일반세균이 다량 검출되었고, 대장균도 10개 놀이터 모래에서 검출되는 문제가 나타나 어린이놀이터 모래 정기검사 의무화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어린이놀이터에 반려동물과 함께 출입하고 배설물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개·고양이 회충, 대장균 등에 모래가 오염돼 어린이 건강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 보호자의 위생관리 노력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놀이터 모래 안전관리를 위해 관계 부처에 ▲모래 정기검사 의무화 및 위생관리기준(대장균 등) 마련 ▲어린이놀이터 환경관리를 위한 교육·홍보 강화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1-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53 아동의 질식 위험 가능성 있는 Ark Therapuetic 치발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1.20
1852 아동이 질식할 위험이 있는 Goki 기차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1.05
1851 아로마 목욕제품(My Fair Lady Brulee) 먹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18.05.15
1850 아로마 에센셜 오일에서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3 2017.12.06
1849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접경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4단계(여행금지)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3.04.13
1848 아미그달린 과다 함유된 Our father’s farm 건살구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1.05.03
1847 아연의 분리로 인해 과다 섭취 가능성이 있는 BioCeuticals 아연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4.01.08
1846 아울렛전자 유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5.03
1845 아이들이 뛰어노는 물놀이 분수, 안전하게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18.05.10
1844 아이폰15 이용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0.13
1843 아침기온 뚝! 일교차 큰 초겨울, 한랭질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11.12
» 아파트 어린이놀이터 모래 위생관리 강화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18.01.25
1841 아프리카 DR콩고 에볼라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18.08.03
1840 아프리카 코모로에 2단계 여행경보(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9.03.27
1839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02.25
1838 아플라톡신 검출된 SUKRO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5.15
1837 아플라톡신 과다 검출된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4
1836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수입 땅콩기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1.07.01
1835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한 한식된장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8.02
1834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가루'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8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