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조사대상 전 제품(100.0%) 니트로사민류 유럽기준 초과 -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고무풍선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돼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판매중인 고무풍선 10개 제품*을 대상으로 한 유해물질 및 표시실태 조사 결과 밝혀졌다.

* 학교 근처 문구점 및 대형마트 등 어린이가 접근하기 쉬운 유통점에서 판매되는 제품(KC표시 제품)

조사대상 고무풍선 전 제품에서 니트로사민류 검출

고무제품은 탄성을 높이기 위해 넣는 첨가제에서 분해된 아민류와 공기 또는 침(타액) 속의 아질산염이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류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유럽연합(EU)은 풍선과 같이 어린이가 입에 넣거나 넣을 가능성이 있는 완구에 ‘니트로사민류’ 및 침 등과 반응하여 니트로사민류를 생성할 수 있는 ‘니트로사민류생성가능물질’의 용출량을 제한하고 있다.

조사대상 고무풍선 10개 제품에 대한 시험검사 결과, 전 제품(100.0%)에서 유럽연합 완구기준을 초과하는 니트로사민류 또는 니트로사민류생성가능물질이 검출됐다.

6개 제품에서 동 기준(0.05mg/kg)을 최대 10배(최소 0.06mg/kg~최대 0.53mg/kg) 초과하는 니트로사민류가, 9개 제품에서 동 기준(1.0mg/kg)을 최대 4배(최소 1.2mg/kg~최대 4.4mg/kg) 초과하는 니트로사민류생성가능물질이 검출되었다.


[ 고무풍선 니트로사민류 시험검사 결과 ]


구분

EU 완구기준(mg/kg)검출범위(mg/kg)검출 제품수

비고

니트로사민류(13종)

총합 0.05 이하

0.06~0.53

6

- 중복 검출 5개 - 니트로사민류 단독 1개 - 니트로사민생성물질 단독 4개
니트로사민류생성가능물질

총합 1.0 이하

1.2~4.4

9


·니트로사민류(N-nitrosamines) : 발암물질로 분류되며 간, 신장, 폐 질환과 피부, 코, 눈 등에 자극감을 유발할 수 있음.


니트로사민류 제한대상 완구 품목 및 제한물질 확대 필요

어린이는 유해물질에 취약해 유럽연합은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진 ‘36개월 미만 어린이가 입안에 넣거나 넣을 가능성이 있는 완구’, ‘36개월 미만 어린이 대상 완구’, ‘36개월 이상 어린이가 입에 넣는 완구’, ‘풍선’과 ‘핑거페인트’ 등을 대상으로 13종의 니트로사민류 용출량을 제한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합성수지제 어린이제품 중 ‘유아용 노리개젖꼭지’에 한해 7종의 니트로사민류만을 제한하고 있어 어린이 안전 확보를 위해서는 적용대상 완구 품목 및 제한물질의 확대가 필요하다.

어린이 완구인 풍선, 2개 중 1개(50.0%)는 표시 미흡해

어린이가 사용하는 고무풍선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안전확인대상 어린이제품’ 중 ‘완구-기타완구’로 분류되어 제조년월, 제조자명, 연령구분, 사용연령 등을 표시해야 하나, 이를 준수한 제품은 10개 중 5개(50.0%) 제품에 불과해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했다.

고무풍선 등에 대한 제도개선 등

한국소비자원은 보호자들에게 ▲어린이가 고무풍선을 입으로 불거나 빨지 않게 하고 공기주입 시에는 펌프 등 도구를 사용할 것 ▲어린이는 부풀리지 않은 풍선 또는 터진 풍선에 의해 기도질식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으므로 입으로 가져가지 않게 각별히 주의할 것 등을 당부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안전확인대상 어린이제품인 ‘완구’에 니트로사민류 및 니트로사민류생성가능물질을 규제하는 안전요건을 검토 중에 있으며, 이를 토대로 ‘완구’ 안전기준을 개정할 예정임을 밝혔다.

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은 어린이제품 안전 확보를 위해 안전조사를 공동으로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1-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11 뚜껑 결함으로 누유 위험 있는 뉴레이튼 휘발유 휴대 용기(2)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5.03
2710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 있는 Venture 토끼사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5.13
2709 자전거 탈 때는 안전모 꼭, 교차로에서는 잠시 멈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5.13
2708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6.21
2707 다른 색상의 제품이 혼입된 hoyu 뷰틴 오렌지색 염모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7.28
2706 짜장·비빔라면, 포화지방과 나트륨 높아 과잉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8.03
2705 인체 접촉성 합성수지·합성가죽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2.04.13
2704 상조 관련 불법 영업행위로 인한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2.05.24
2703 연료탱크 부식 현상 발생하는 올란도 LPG모델 차량 보증기간 연장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3.08.17
2702 연일 계속되는 폭염, 온열질환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7.17
2701 유행성각결막염 지속 증가, 예방수칙 철저히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8.27
2700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8.29
2699 일부 어린이 샌들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9.06
2698 닭고기 안전하게 섭취하려면 교차오염에 특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9.01.29
2697 임신 중 비타민 D 적정 유지가 출생 후 자녀의 아토피피부염 예방에 도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9.03.08
2696 에티오피아 티그라이(Tigray)주 여행경보 3단계(철수권고)로 상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0.11.13
2695 과열로 화재 위험 있는 Trianium 휴대폰 배터리 케이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0.11.23
269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Seafood Grill & Broil Blend 해산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1.29
2693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4.28
2692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긴팔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5.03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