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조사대상 전 제품(100.0%) 니트로사민류 유럽기준 초과 -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고무풍선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돼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판매중인 고무풍선 10개 제품*을 대상으로 한 유해물질 및 표시실태 조사 결과 밝혀졌다.

* 학교 근처 문구점 및 대형마트 등 어린이가 접근하기 쉬운 유통점에서 판매되는 제품(KC표시 제품)

조사대상 고무풍선 전 제품에서 니트로사민류 검출

고무제품은 탄성을 높이기 위해 넣는 첨가제에서 분해된 아민류와 공기 또는 침(타액) 속의 아질산염이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류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유럽연합(EU)은 풍선과 같이 어린이가 입에 넣거나 넣을 가능성이 있는 완구에 ‘니트로사민류’ 및 침 등과 반응하여 니트로사민류를 생성할 수 있는 ‘니트로사민류생성가능물질’의 용출량을 제한하고 있다.

조사대상 고무풍선 10개 제품에 대한 시험검사 결과, 전 제품(100.0%)에서 유럽연합 완구기준을 초과하는 니트로사민류 또는 니트로사민류생성가능물질이 검출됐다.

6개 제품에서 동 기준(0.05mg/kg)을 최대 10배(최소 0.06mg/kg~최대 0.53mg/kg) 초과하는 니트로사민류가, 9개 제품에서 동 기준(1.0mg/kg)을 최대 4배(최소 1.2mg/kg~최대 4.4mg/kg) 초과하는 니트로사민류생성가능물질이 검출되었다.


[ 고무풍선 니트로사민류 시험검사 결과 ]


구분

EU 완구기준(mg/kg)검출범위(mg/kg)검출 제품수

비고

니트로사민류(13종)

총합 0.05 이하

0.06~0.53

6

- 중복 검출 5개 - 니트로사민류 단독 1개 - 니트로사민생성물질 단독 4개
니트로사민류생성가능물질

총합 1.0 이하

1.2~4.4

9


·니트로사민류(N-nitrosamines) : 발암물질로 분류되며 간, 신장, 폐 질환과 피부, 코, 눈 등에 자극감을 유발할 수 있음.


니트로사민류 제한대상 완구 품목 및 제한물질 확대 필요

어린이는 유해물질에 취약해 유럽연합은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진 ‘36개월 미만 어린이가 입안에 넣거나 넣을 가능성이 있는 완구’, ‘36개월 미만 어린이 대상 완구’, ‘36개월 이상 어린이가 입에 넣는 완구’, ‘풍선’과 ‘핑거페인트’ 등을 대상으로 13종의 니트로사민류 용출량을 제한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합성수지제 어린이제품 중 ‘유아용 노리개젖꼭지’에 한해 7종의 니트로사민류만을 제한하고 있어 어린이 안전 확보를 위해서는 적용대상 완구 품목 및 제한물질의 확대가 필요하다.

어린이 완구인 풍선, 2개 중 1개(50.0%)는 표시 미흡해

어린이가 사용하는 고무풍선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안전확인대상 어린이제품’ 중 ‘완구-기타완구’로 분류되어 제조년월, 제조자명, 연령구분, 사용연령 등을 표시해야 하나, 이를 준수한 제품은 10개 중 5개(50.0%) 제품에 불과해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했다.

고무풍선 등에 대한 제도개선 등

한국소비자원은 보호자들에게 ▲어린이가 고무풍선을 입으로 불거나 빨지 않게 하고 공기주입 시에는 펌프 등 도구를 사용할 것 ▲어린이는 부풀리지 않은 풍선 또는 터진 풍선에 의해 기도질식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으므로 입으로 가져가지 않게 각별히 주의할 것 등을 당부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안전확인대상 어린이제품인 ‘완구’에 니트로사민류 및 니트로사민류생성가능물질을 규제하는 안전요건을 검토 중에 있으며, 이를 토대로 ‘완구’ 안전기준을 개정할 예정임을 밝혔다.

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은 어린이제품 안전 확보를 위해 안전조사를 공동으로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1-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79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수입 땅콩기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1.07.01
2978 벤젠 검출된 NEUTROGENA 자외선 차단 스프레(Cool dry SPF100)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1.09.10
2977 분진포집효율 기준을 위반한 Xique 마스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1.10.28
2976 제이엔유샾 / JNUSHOP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04.27
2975 연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무선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06.07
2974 영유아 질식 위험 있는 Light-up flower crown LED 화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11.14
2973 용접 결함으로 분리되어 부상 위험이 있는 Thule 자전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3.01.17
2972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하여 즐거운 추석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18.09.18
2971 색소 함량 높은 럭키 참스(Lucky Charms) 시리얼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0.07.01
2970 접지불량으로 감전 위험 있는 IPSXP 전원공급장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1.02.26
2969 염모제 폭발 사고에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1.07.02
2968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VEVOR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1.10.28
2967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MDH 커리 가공식품 판매차단(4)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1.11.04
2966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마루미야 김 와사비 후리카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1.11.30
2965 부품 탈락으로 삼킬 경우 질식 위험 있는 ZEFAL 유아용 물병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5.03
2964 고혈압약 복용시 이런 점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5.17
2963 나를 구제하지 못하는 ?내구제 대출(휴대전화 깡)?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5.27
2962 과열 발생하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워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6.07
2961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LACKINGONE 목걸이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6.13
2960 디지털프라자 365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7.08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