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년 신고된 세균성이질 환자 36명 중 26명 필리핀 방문

* 2017년 1명(1.1∼1.15) → 2018년 36명(1.1∼1.15)

필리핀 여행 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당부

*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음식 익혀먹기,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등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8년 해외유입 세균성이질 환자가 전년 대비 급증*하고, 신고 환자 중 72.2%(26명)가 필리핀 세부를 여행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지역을 방문할 때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1월 15일 기준, ’17년 1명(국내발생 1, 해외유입0) → ’18년 36명(국내발생 7, 해외유입 29)

< 해외 여행자 대상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1.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2. 음식 익혀먹기
  3.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4. 길거리 음식 먹기 않기
  5. 과일, 채소는 먹기 전 흐르는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먹기

제1군 법정감염병인 세균성이질은 이질균(Shigella spp.) 감염에 의한 급성 장관 질환으로 균 감염 12시간~7일 후 발열, 구토, 복통, 수양성 또는 혈성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우리나라에서는 연 100~300명 정도 발생한다.

2018년 1월 15일 현재 세균성이질 신고환자 36명의 역학조사서를 확인한 결과, 26명이 2017년 12월 28일부터 2018년 1월 초까지 필리핀 세부지역을 여행한 후 설사, 발열, 복통 등의 증상을 나타냈다.

질병관리본부는 필리핀 여행 후 세균성이질, 콜레라와 같은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의 유입을 방지하고 국내 확산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여행 중에는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올바른 손씻기, 안전한 음식 섭취, 길거리 음식 먹지 않기,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과일ㆍ채소는 먹기 전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 먹기와 같은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한다.

귀국 후 공항에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하고, 발열,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하여 검사를 받고, 결과 통보 시까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자제하도록 한다.

입국 후 발열, 설사, 복통과 같은 장관 감염 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해외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도록 한다.

또한, 필리핀 여행 후 발생한 설사 감염병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에서는 지체 없이 관할 보건소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우리 국민이 질병 정보에 대해 궁금한 사항이 있을 경우,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문의하면 된다.



[ 보건복지부 2018-01-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76 지퍼에 별도 보호 장치가 없어 어린이 질식 위험 있는 빈백의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20.08.24
3675 지퍼가 탈락되어 해외에서 리콜된 시마노(SHIMANO) 낚시 조끼 무상수리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1.01.04
3674 지진, 이제는 쉽게 배울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18.04.26
3673 지진 행동요령, 미리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18.09.06
3672 지지 기능이 미흡해 낙상 위험 있는 Sunveno 아기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4.10
3671 지인을 사칭한 메신저피싱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8.12.18
3670 지인 사칭 메신저피싱 등 주의, 소비자경보 "경고"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04.24
3669 지역축제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4.04
3668 지속되는 한파, 저체온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7.12.21
3667 지속되는 폭염,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18.08.02
3666 증발잔류물이 초과 검출된 Fab Arbors 뒤집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5.28
3665 증권사 전산장애 발생시 반드시 3가지를 기억하세요!(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06.09
3664 즐거운 캠핑, 화재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4.04.24
3663 즐거운 캠핑, 화재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04.28
3662 즐거운 여름휴가 안전하게 다녀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07.11
3661 즐거운 여름 휴가, 바닷가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9.07.26
3660 즐거운 설 연휴, 이런 질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8.02.13
3659 쥬니버토키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6 2017.09.01
3658 중모토이 플러스 '놀이터 그네세트', 전복위험으로 환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8 2017.10.23
3657 중금속 잔류물질이 존재하는 직물로 포장된 ALBERT MENES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7.12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