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전기장판류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필요 -

최근 추워진 날씨에 전기장판을 사용하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나,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 18개 제품(전기매트 10개, 전기장판 8개)을 대상으로 한 유해물질 안전성 및 표시실태 조사 결과로 밝혀졌다.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 15개 제품 매트커버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전기장판류는 사용 시간이 길고, 접촉면도 넓어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인체에 노출될 우려가 높은 제품이다.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에 대한 유해물질 함유 시험결과, 조사대상 18개 중 15개(83.3%) 제품의 매트커버에서 준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되었다.

* 전기장판류에 대한 유해물질 기준이 없어 ‘PVC 바닥재 안전기준(안전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67)’ 준용

­ 표면코팅층이 없거나 두께가 최소 8㎛ 미만, 평균 15㎛ 미만 : DEHP(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 BBP(부틸벤질프탈레이트), DBP(다이부틸프탈레이트))의 총 함유량 0.1% 이하

­ 표면코팅층 두께가 최소 8㎛ 이상, 평균 15㎛ 이상 : DEHP, BBP, DBP의 총 함유량이 상부층 1.5% 이하, 하부층 5.0% 이하

전기매트 10개 중 8개 제품이 표면코팅층이 없거나 코팅층의 두께가 기준(최소 8㎛ 이상, 평균 15㎛ 이상) 이하였고, 이 중 7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인 DEHP와 BBP가 준용 기준치(총합 0.1% 이하)를 최대 142배(최소 0.9%~최대 14.2%) 초과 검출되었다. 한편, 전기장판은 8개 전 제품이 표면코팅층이 없었고, DEHP가 최대 257배(최소 4.9%~최대 25.7%)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범위 및 기준 초과 제품수 ]

구분물질명준용기준(%)검출범위(%)기준 초과 제품수비고
전기매트DEHP(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총합
0.1 이하
0.9~14.27* 중복 검출
1개 제품
BBP(부틸벤질프탈레이트)
전기장판DEHP(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4.9~25.78-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 정자수 감소, 불임, 조산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DEHP의 경우 국제암연구소에서 발암가능물질(2B등급)로 분류함.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에 대한 유해물질 안전기준 마련 필요

전기장판류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인증대상 전기용품’으로 관리되고 있으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에 대한 안전기준은 없다.

전기장판류는 인체와의 접촉시간이 길고 접착면이 넓으며, 최근에는 거실, 방 등에서 카펫 및 쿠션 바닥재 용도로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제품들이 출시됨에 따라 어린이도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 있어 안전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환경성 표시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필요

조사대상 18개 중 2개 제품은 환경성 관련 마크(업계자율마크, 기업자가마크)를 표시하면서 소비자에게 안전한 제품임을 강조하며 판매하고 있었으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준용 기준치(0.1% 이하)를 초과(각 0.9%, 25.7%)하여 검출돼 관리·감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자율마크 : 법적 근거 없이 업계 자체적으로 제품의 품질 및 환경성에 대한 평가절차와 인증과정을 거쳐 그 우수성이 인정된 경우 부여하는 마크

·기업자가마크 : 제조업자등의 자발적 의사에 따라 제품의 환경성 정보 등 자사제품의 우수성을 부각하기 위하여 자체 디자인한 도안이나 마크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안전 확보를 위해 유해물질이 검출된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 사업자에게 자발적 시정조치를 권고하였다.

한편, 국가기술표준원은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에 대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안전요건 마련을 검토 중이며, 환경부는 시중 유통·판매 중인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의 환경성 표시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계획임을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8-01-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71 화재 및 감전 위험이 있는 Seesil 무선 임팩트 렌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5.13
4370 녹을 위험이 있는 무선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4369 로프가 파손되어 낙상 위험 있는 Kinderfeets 유아 놀이용 사다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4368 보존료를 함유한 그라비올라 젤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4367 이른 더위 이어져,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1
4366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미표시된 Mt. Elephant 팬케이크 믹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2
4365 부작용 유발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0
4364 알러지 유발 성분이 미표시된 카라멜 시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07
4363 알러지원 정보가 미표시된 Knoppers 견과류 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07
4362 과도한 납이 함유된 주방 저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0
4361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Bandai 초콜릿(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27
4360 전기 절연이 미흡해 감전 위험이 있는 USB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28
4359 부동산펀드로 원금보장,고수익이 가능하다고 현혹하는 유사수신업체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04
4358 곰팡이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이츠키 우동(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04
4357 곰팡이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이츠키 우동(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04
4356 리튬이온배터리 과열로 화재 발생 위험있는 유아용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5 발화 위험이 있는 Paock 휴대용 축전기 큐브(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4 발화 위험이 있는 Paock 휴대용 축전기 큐브(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3 피해다발업체 - 위잇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4
4352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