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자율주행차와 초소형자동차의 시험운행을 위한 「자동차관리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등 제·개정안을 마련하여 8월 13일부터(기간 : 8.13 ~ 9.2, 20일간)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이는 첨단미래형 자동차의 국내 도입 및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실증운행에 필요한 조건 및 세부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초소형자동차 관련 개정 사항≫

초소형자동차의 정의를 신설*하고 초소형차가 도로운행에 적합한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목적의 임시운행을 허가(시행령 개정사항)한다.
* 2인 이하의 사람을 운송하기에 적합하며, 국토교통부장관이 임시운행의 필요성을 인정한 자동차

또한 “초소형자동차의 임시운행 요건 등에 관한 규정(고시)”을 따로 마련하여 시험운행 주체나 운행 구간 등 시험운행을 위한 세부사항을 규정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지자체 및 자동차 제작업체, 연구기관 등이 시험운행을 신청할 수 있으며, 개인을 제외한 일반 사업자도 지자체와 협의체를 구성할 경우 시험운행을 신청할 수 있게 하였다.

운행구간은 지자체에서 자율적으로 지정할 수 있으나 안전을 위해 고속주행이 필요한 자동차전용도로나 유료도로는 운행을 제한하였고 운행시 최고속도도 최고 60km로 제한하였다.

이번 개정을 통해 제너시스 비비큐(BBQ:치킨프랜차이즈)가 추진하였던 트위지(초소형 전기차) 시험운행도 가능해 질 것으로 보인다.

≪자율주행차 관련 개정 사항≫

이번 규정 개정에는 자율주행차의 임시운행에 대한 세부 기준도 포함되어 있다.

자율주행차의 임시운행허가 신청 방법 및 서식과 안전운행요건(시행규칙 개정사항)을 마련하고, 세부적인 사항을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운행요건 및 시험운행 등에 관한 규정(고시)”을 신설하여 규정하였다.

임시운행 요건은 안전에 대한 사항에 중점을 두었다.

자율주행차량은 운전자가 언제든지 자율주행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자율주행장치의 고장을 감지하고 운전자에게 경고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하였으며 항상 2인 이상 탑승토록 규정하였다.

또한, 도로 시험운행 전에 전용 시험시설 등에서 5,000km이상 충분히 시험운행을 하도록 하고 만일을 대비 전방충돌방지 기능, 사고시 자율주행 중이었는지 운전자가 운행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하였다.

이번에 마련된 자율주행차의 안전운행요건과 별도로 자율주행차의 운행구간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앞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앞으로의 절차, 시행시기≫

국토교통부는 법령 개정안에 대해 관계기관 협의와 관련업계,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연내 법령개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며 이렇게 되면 내년 초에는 초소형 자동차와 자율주행자동차의 시범운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 김용석 자동차기획단장은 “이번 법령 개정을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초소형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등 첨단미래형 자동차의 운행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 분야의 기술개발이 가속화되어 미래자동차 시장의 국제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2015-08-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55 「모자보건법」일부개정법률안 국무회의 의결 (11.17)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7 10
12754 김장철! 올바른 식품조리 기구 사용법 등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8 10
12753 나트륨·당류 줄이기 마이나슈 온라인 홍보관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0 10
12752 성매매 피해아동ㆍ청소년 법적 보호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0 10
12751 재난심리상담은 전국 어디서나 1670-951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0 10
12750 ‘20년 10월말 기준 교통사고 사망자, 전년 동기대비 5.5%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5 10
12749 유치원 등 집단급식소 과태료 부과기준 상향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1 10
12748 하도급법 과징금고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2 10
12747 조두순 등 성범죄자 거주지 건물번호까지 공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3 10
12746 사상 첫 인구감소, 세대수는 사상 최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04 10
12745 소규모 사업장의 저소득 근로자와 예술인의 고용보험 가입을 지원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04 10
12744 2020년 긴급복지 완화기준, 2021년 3월까지 계속 적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04 10
12743 국민생각을 제도개선으로, 국민권익위가 바꿉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08 10
12742 금연보조제는 허가받은 '의약외품'을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10
12741 전월 대비 코로나19 관련 ‘보건·위생용품’, ‘숙박시설’ 소비자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10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