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영하의 날씨에 눈 예보가 이어지고 있어 빙판길 미끄럼사고에 주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건강보험시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12~’16) 간 넘어지거나 부딪치는 등의 충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요추·골반 및 대퇴골 골절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총 2,523,532명이었다.

눈 등이 얼어붙어 빙판이 생기는 12월에는 요추·골반의 골절 환자수가 141,193명으로 가장 많았고, 1월에는 대퇴골 골절 환자수가 84,275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연령대별 골절 환자수를 분석해 보면 골다공증 등으로 뼈가 약한 60세 이상 고령자의 골절사고 발생비율*이 69%로 매우 높았다.

추운 날씨에는 근육이나 관절 등이 경직되어 대처능력이 떨어지고 길이 미끄러우면 균형을 잃고 넘어지기 쉬우므로 다음과 같은 예방요령을 숙지하도록 한다.

외출하기 전에는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근육 등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장갑을 껴서 주머니에 손을 넣지 않도록 한다.

신발은 등산화처럼 바닥면이 넓고 지면과의 마찰력이 큰 것으로 선택한다. 눈길덧신(아이젠) 등 등산장비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빙판길을 걸을 때는 평소보다 보폭과 속도를 줄이고 응달진 곳은 위험할 수 있으니 우회하는 것이 좋다.

조덕진 행정안전부 안전기획과장은 “겨울철에는 눈뿐만 아니라 아침 서리 등으로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주의하고, 특히 보행 중 휴대전화 사용을 자제할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1-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71 화재 및 감전 위험이 있는 Seesil 무선 임팩트 렌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5.13
4370 녹을 위험이 있는 무선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4369 로프가 파손되어 낙상 위험 있는 Kinderfeets 유아 놀이용 사다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4368 보존료를 함유한 그라비올라 젤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4367 이른 더위 이어져,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1
4366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미표시된 Mt. Elephant 팬케이크 믹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2
4365 알러지 유발 성분이 미표시된 카라멜 시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07
4364 과도한 납이 함유된 주방 저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0
4363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Bandai 초콜릿(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27
4362 전기 절연이 미흡해 감전 위험이 있는 USB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28
4361 부동산펀드로 원금보장,고수익이 가능하다고 현혹하는 유사수신업체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04
4360 곰팡이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이츠키 우동(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04
4359 곰팡이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이츠키 우동(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04
4358 리튬이온배터리 과열로 화재 발생 위험있는 유아용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7 발화 위험이 있는 Paock 휴대용 축전기 큐브(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6 발화 위험이 있는 Paock 휴대용 축전기 큐브(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5 피해다발업체 - 위잇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4
4354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4
4353 부작용 유발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5.09
4352 부작용 유발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5.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