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43개 특수건강진단기관이 우수기관(S등급)으로 평가

‘18.1.10. 고용노동부는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하는 206개 기관에 대한 2017년 평가결과를 공표하였다.

이번 평가결과 대우의료재단, 강북삼성 수원의원 등 43개 기관(20.9%)이 우수기관(S등급)으로 평가되었고, 그 밖에 84개 기관(40.8%)이 A등급, 53개 기관(25.7%)이 B등급을 받았으며, 안중백병원, 아주산업의학연구소 등 26개 기관(12.6%)은 최하위 등급인 C등급을 받았다.

특수건강진단이란 유해위험한 작업을 하는 노동자의 직업병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진단으로, 고용노동부는 2013년부터 건강진단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수건강진단기관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여 사업주와 노동자가 우수한 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번 평가는 지난 해 5월 평가계획 공고를 시작으로 약 8개월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건강진단 및 분석 능력, 건강진단 결과의 신뢰도 등 4개 분야에 대해 대상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평가하는 현장평가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이번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평가된 기관은 총 43개소로 평가가 3회차에 접어듦에 따라 1회차 5개소, 2회차 25개소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 중 3회 연속 우수기관으로 평가된 기관은 4개소, 2회 연속 우수기관으로 평가된 기관은 18개소로 나타났다.

한편, 최하위 등급을 받은 기관은 총 26개소로, 이 중 2회 연속 최하위 등급을 받은 기관은 3개소, 3회 연속 최하위 등급을 받은 기관은 6개소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우수기관으로 평가받은 기관에 대해서는 2년간 정기 점검을 면제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기관은 해당기관은 물론 건강진단을 받은 사업장까지 점검하고, 해당 사업장 대상으로 평가결과를 적극 안내하는 등 행정지도를 철저히 할 방침이다.

아울러 산업재해예방 유공자 포상시에도 반영하는 등 차등 관리하여 기관의 건강진단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자세한 평가결과는 고용노동부(www.moel.go.kr) 및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www.kosha.or.kr)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고용노동부 2018-01-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35 공모주(IPO) 투자 시 유의사항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3 52
5434 최신 표준.인증 정보,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찾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7 52
5433 해외 인터넷 직구 식품 구매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4 52
5432 사회취약계층 요금감면! 이제 복지로 온라인으로 신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8 52
5431 2017년 1분기 지역경제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8 52
5430 보험회사의 의료분쟁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4 52
5429 ‘공공분양’ 주택 정보도 ‘마이홈’ 으로 보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9 52
5428 식약처, 의약외품 모기.진드기 등 기피제 재평가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30 52
5427 콩고민주공화국 입국자 특별 관리조치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4 52
5426 현대, 마세라티, 포드, 푸조, 인피니티, 다임러 트럭, 할리데이비슨 리콜 실시(총 38개 차종 403,128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2 52
5425 도시락 등 가정간편식 제조 및 유통·판매업체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2 52
5424 저축은행의 금융거래 서류가 간소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52
5423 어린이 교통사고 취약지역 집중관리 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52
5422 온라인을 통해 금융상품 해지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0 52
5421 충청지역 방문판매로 인한 휴대폰 피해 다발, 소비자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2 52
Board Pagination Prev 1 ...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