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7년 말 주민등록 인구는 51,778,544명으로 지난 ’16년 말(51,696,216명)에 비해 82,328명(0.16%) 늘었다.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시스템으로 집계한 ’08년 이후 주민등록 인구는 매년 늘고 있지만, 인구증가 규모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지난 1년간 시·군·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경기 화성(50,196명)이고, 대구 달서(△13,823명)는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 인구증가 규모 : ’09년(232,778명) → ’10년(742,521명) → ’11년(218,618명) → ’12년(213,988명)
’13년(193,191명) → ’14년(186,453명) → ’15년(201,422명) → ’16년(166,878명) → ’17년(82,328명)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에 따르면 2017년 말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778,544명이고, 여자는 25,922,625명(50.1%), 남자는 25,855,919명(49.9%)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66,706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등록 인구 중에서 거주자는 51,276,314명(99.03%), 거주불명자는 444,643명(0.86%), 재외국민은 57,587명(0.11%)이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1,632,851세대로, 지난 ’16년 21,294,009세대보다 338,842세대가 증가했다. 세대당 인구는 2.39명이다.

’17년 지난 한해 지역별 주민등록 인구변동을 살펴보면, 시·도에서 ’16년 말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경기(157,115명), 세종(37,052명), 충남(20,043명), 제주(15,486명) 등을 포함한 7곳이고, 서울(△73,190명), 부산(△27,876명), 대전(△12,143명), 전북(△10,184명), 대구(△9,326명), 경북(△8,692명) 등 10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시·군·구에서 ’16년 말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경기 화성(50,196명), 김포(28,649명), 대구 달성(25,107명) 등을 포함한 77곳이다.

경기 용인은 1년간 12,955명이 늘어 1,004,081명으로, 9월말 기준 인구 100만 시가 되었다. 시·군·구에서는 수원, 창원, 고양에 이어 4번째다. 대구 달서(△13,823명), 서울 노원(△13,178명), 경기 안산(△12,149명), 서울 강남(△10,951명), 인천 부평(△9,775명), 경기 안양(△9,650명) 등을 포함한 149개 시·군·구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지난 10년간(’08년~’17년) 주민등록 인구변동 요인*을 자연적 인구 증감(출생-사망)과 사회적 인구 이동(전입-전출) 중심으로 살펴보면, 시·도에서 ’08년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 중 경기(1,581,631명), 인천(255,846명), 세종(188,574명), 충남(182,186명), 경남(155,149명) 등을 포함한 8곳은 자연적 인구 증가와 타시도로부터 순유입이 많았다.

울산(52,725명), 광주(41,068명), 대전(21,332명), 경북(17,775명) 4개 시·도는 전체 주민등록 인구는 ’08년보다 증가하였으나 지난 10년간 타시도로 순유출이 많았다.

시·도에서 ’08년보다 인구가 감소한 서울(△343,401명), 부산(△93,924명), 대구(△17,493명), 전북(△1,165명) 4개 지역은 타시도로의 순유출이 많았고, 전남(△22,576명)은 자연적 인구 감소와 순유출이 많았다.

* 주민등록 인구변동 요인 : 출생·사망(자연적증감), 전입·전출(사회적이동), 신규등록(국적취득), 재등록, 말소, 국적상실 등의 사유가 존재하여 지역단위 총인구수에 변동 발생

’17년 말 주민등록 인구를 연령대 및 연령계층별 분포를 보면, 연령대별 분포는 40대(16.8%)와 50대(16.4%)가 많았다.

30대 14.2%, 20대 13.2%, 60대 10.9%, 10대 10.2% 순이며, 이와 함께 70대 이상은 9.6%, 10대 미만은 8.6%이다.

0세에서 14세 인구는 6,785,965명으로 전체 인구의 13.1%이며, ’16년 말 6,916,147명에 비해 130,182명(0.3%p) 감소했다.

15세에서 64세 인구는 37,636,473명으로 전체 인구의 72.7%이며, ’16년 말 37,784,417명에 비해 147,944명(0.4%p) 감소했다.

65세 이상 인구는 7,356,106명으로 전체 인구의 14.2%이며, ’16년 말 6,995,652명에 비해 360,454명(0.7%p) 증가했다.

’08년부터 ’17년까지 지난 10년간 연령계층별 분포 변화를 보면, 0세에서 14세 비율은 ’08년(17.2%) 이후 매년 감소하였다.

15세에서 64세 비율은 ’08년(72.6%) 이후 73%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65세 이상 비율은 ’08년(10.2%) 이후 매년 증가하여 ’16년 이후 65세 이상 비율이(13.5%) 0~14세 비율(13.4%)보다 많아졌다.

’17년말 지역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을 살펴보면, 시·도에서 7% 미만 지역은 없고, 7~14% 미만은 세종(9.6%) 포함 7곳, 14~20% 미만은 대구(14.0%) 포함 9곳, 20% 이상은 전남(21.5%)이 유일하다. 시에서는 7% 이상 14% 미만이 경북 구미(8.0%), 경기 양주(13.7%) 등을 포함한 36곳으로 시 전체(75곳)의 48.0%로 가장 많았다.

군에서는 20% 이상이 전북 완주(20.2%), 전남 고흥(38.2%) 등을 포함한 70곳으로 군 전체(82곳)의 85.4%이며, 구에서는 14% 이상 20% 미만이 인천 중구(14.1%), 대구 중구(19.7%) 등을 포함한 32곳으로 구 전체(69곳)의 46.4%로 가장 많았다. 



[ 행정안전부 2018-01-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76 재개발 아파트 임대주택 더 짓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6 26
5275 공산품 '저주파 마사지기' 허위광고 438건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2 26
5274 온라인 판매 새싹보리 분말식품에서 금속성 이물 및 대장균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6 26
5273 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를 통한 과학학습 이벤트 진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9 26
5272 3월까지 필수예방접종 완료하고 초 중학교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7 26
5271 작은 방심도 위험, 주택화재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9 26
5270 외국식료품 판매업소 일제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7 26
5269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과 주거지원 통합서비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6 26
5268 2019년 11월 온라인쇼핑 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3 26
5267 적색3호 등 식용색소 4종, 커피라떼에 사용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26
5266 복무연장 장교·부사관도 육아휴직 사용할 수 있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2 26
5265 이제 온라인 출생신고 즉시 행복출산 서비스도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4 26
5264 10월 7일부터 정부민원상담안내 국민콜 ☎110 무료로 전화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7 26
5263 2018년 사망원인통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5 26
5262 2018년도 리콜실적 분석·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5 26
Board Pagination Prev 1 ...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