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랭질환자, 지난해 같은 기간(12월 1일∼1월 8일) 대비 46% 증가

고령층 만성질환자 특히 주의 필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7-2018 한랭질환 감시체계」 운영결과, ’17년 12월 1일부터 ’18년 1월 8일까지 총 227명의 한랭질환자가 신고(사망 7명)되었다고 밝히고, 전국적으로 강력한 한파가 예상됨에 따라 한랭질환을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한랭질환 :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 모두를 통칭(저체온증, 동상, 동창 등)

지난해 같은 기간(12월 1일~1월 8일) 대비 한랭질환자는 약 46% 증가하였으며, 특히 사망자(1명→7명)와 동상환자(10명→35명)가 늘었다.

‘17년 12월 1일부터 ‘18년 1월 8일까지 한랭질환 감시 결과(총 227명) 한랭질환 종류는 저체온증*(79.7%)이 다수 발생하였다.

* 저체온증 : 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져 정상체온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의식이 저하되고 말이 어눌하게 나오는 등의 증상이 나타남

연령대는 65세 이상(38.8%)이 많았으며, 음주상태(30.0%) 비율이 높았다.

5명 중 1명은 심혈관질환(21.6%)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랭질환 사망자(7명) 특성을 살펴보면, 강추위가 이어졌던 12월 7일부터 12월 16일 사이에 저체온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남성이 4명, 여성이 3명이었고, 60세 이상이 5명(71%)이었다.

특히, 사망자 중 3명(43%)은 만성질환(당뇨, 심혈관질환)을 갖고 있는 60세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당뇨, 고혈압 등)을 가진 고령자는 한파에 노출될 경우 체온유지에 취약하여 저체온증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할 경우 혈압상승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한랭질환은 사전에 적절한 조치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특히, 저체온증은 응급상황으로 발생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하며, 적절한 조치가 없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관심과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한파 대비 건강수칙>

  • 한파특보 등 기상예보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 외출 전 체감온도를 확인하고, 날씨가 추울 때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자제합니다.
  • 외출 시 따뜻한 옷을 입고 장갑, 목도리, 모자, 마스크 등을 착용합니다.
  •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 실내 적정온도(18∼20℃)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 보건복지부 2018-01-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69 네일서비스, 계약해지 거부 및 위약금 과다 청구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6.29
2268 Ultra Glow 미백화장품(Fade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3.21
» 전국적으로 강력한 한파 예상, 한랭질환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1.10
2266 어린이가 사용하는 핑거페인트, 안전성에 문제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7.10.17
2265 향료 HICC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3.01.13
2264 무시동 히터 사용 시 배출가스와 고온 화상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25
2263 전기 절연처리가 미흡해 감전 위험있는 USB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08
2262 유해물질(포름알데히드 등) 검출 우려가 있는 Volkswagen Zubehor 멜라민 컵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07
2261 수분으로 변질된 Bio Ceuticals 프로바이오틱스(함량 미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07
2260 알레르기 유발 성분(겨자, 황산염ㆍ이산화황) 미표기된 OPies 호두 피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07
2259 설 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1.26
2258 주식신용거래에 따른 투자위험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9.28
2257 정부지원 대출 빙자 불법광고 문자 주의!통신금융사기 피해예방 추진-이동통신3사 전가입자 대상 피해예방 문자메시지 발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7.05
2256 잠금장치 열릴 수 있는 Sea to summit 코펠 냄비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1.27
2255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14-3330로 전화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1.20
2254 식품 등에 '불면증 치료.완화 등' 불법 광고행위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1.19
2253 가을 나들이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10.23
2252 영유아용 과일퓨레, 당류 함량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08.13
2251 식약처, 사용 금지 살균보존제 함유 세척제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04.17
2250 미성년자 온라인 구매 관련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12.11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