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랭질환자, 지난해 같은 기간(12월 1일∼1월 8일) 대비 46% 증가

고령층 만성질환자 특히 주의 필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7-2018 한랭질환 감시체계」 운영결과, ’17년 12월 1일부터 ’18년 1월 8일까지 총 227명의 한랭질환자가 신고(사망 7명)되었다고 밝히고, 전국적으로 강력한 한파가 예상됨에 따라 한랭질환을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한랭질환 :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 모두를 통칭(저체온증, 동상, 동창 등)

지난해 같은 기간(12월 1일~1월 8일) 대비 한랭질환자는 약 46% 증가하였으며, 특히 사망자(1명→7명)와 동상환자(10명→35명)가 늘었다.

‘17년 12월 1일부터 ‘18년 1월 8일까지 한랭질환 감시 결과(총 227명) 한랭질환 종류는 저체온증*(79.7%)이 다수 발생하였다.

* 저체온증 : 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져 정상체온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의식이 저하되고 말이 어눌하게 나오는 등의 증상이 나타남

연령대는 65세 이상(38.8%)이 많았으며, 음주상태(30.0%) 비율이 높았다.

5명 중 1명은 심혈관질환(21.6%)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랭질환 사망자(7명) 특성을 살펴보면, 강추위가 이어졌던 12월 7일부터 12월 16일 사이에 저체온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남성이 4명, 여성이 3명이었고, 60세 이상이 5명(71%)이었다.

특히, 사망자 중 3명(43%)은 만성질환(당뇨, 심혈관질환)을 갖고 있는 60세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당뇨, 고혈압 등)을 가진 고령자는 한파에 노출될 경우 체온유지에 취약하여 저체온증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할 경우 혈압상승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한랭질환은 사전에 적절한 조치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특히, 저체온증은 응급상황으로 발생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하며, 적절한 조치가 없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관심과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한파 대비 건강수칙>

  • 한파특보 등 기상예보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 외출 전 체감온도를 확인하고, 날씨가 추울 때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자제합니다.
  • 외출 시 따뜻한 옷을 입고 장갑, 목도리, 모자, 마스크 등을 착용합니다.
  •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 실내 적정온도(18∼20℃)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 보건복지부 2018-01-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32 우유 성분 미표기된 Nature’s Way 어린이 영양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0.11.23
3331 미표기된 대두, 계란 등 성분 함유하여 알레르기 우려 있는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14
3330 비타민 성분 과다 함유한 SimplySupplements 비타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15
3329 살모넬라 오염가능성 있는 초콜릿(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21
3328 부품 불량으로 낙하 우려가 있는 천장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3327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3326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3325 곰팡이 발생 우려가 있는 칼슘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26
3324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등 견과류, 참깨) 미표시한 스무디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27
3323 어린이보호포장 및 표시사항이 미흡한 레진 코팅 키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30
3322 HICC 성분 함유한 Al Haramain 향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0.17
3321 홈플러스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1.29
3320 포장 비닐로 인한 질식 위험이 있는 Aiditong 리틀 월드 장난감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2.08
3319 라벨 미표기 땅콩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Holland & Barrett 대두 레시틴(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2.15
3318 라벨 미표기 메탄올 성분 함유해 중독 위험으로 리콜된 Adam's Polishes 손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2.15
3317 애플스토어/에이샵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1.13
3316 캠핑나우 / NOW CAMPING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6.01
3315 파워보드 부품불량으로 화재 우려 있는 LG Electronics(호주법인) SMART TV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2
3314 작동 불량으로 사고ㆍ부상 위험있는 BQQZHZ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3
3313 엠폭스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백신 2회 접종과 방역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8.08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