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다수 제품 개봉 상태로 비치, 미생물 오염 확인돼 -

소비자들이 다양한 색조화장품 중 자신에게 적합한 제품을 미리 사용해보고 구입할 수 있도록 대부분의 화장품 매장에서 ‘테스터 화장품*’을 제공하고 있으나, 일부 테스터 화장품은 위해미생물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 ‘테스터(tester) 화장품’이란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입하기 전 사용해 볼 수 있도록 매장에 비치한 견본품을 의미함.

※ 현재 법적으로 규정된 정의는 없으며 ‘테스터 제품’, ‘테스트용 제품’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음. 주로 판매하는 제품과 동일한 제품이며 ‘테스터(tester)’, ‘try me’ 등 테스터 화장품임을 알 수 있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음.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공동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위치한 16개 매장의 42개 테스터 화장품*을 대상으로 한 비치·표시실태 및 미생물** 위생도 조사결과로 밝혀졌다.

* 아이섀도 16개, 마스카라 10개, 립스틱·립틴트 등(이하 립제품) 16개 제품

** 미생물 4종 : 총 호기성 생균수,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

총 호기성 생균수 : 살아있는 세균과 진균 수를 측정한 것임. 세균 및 진균에 오염된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상처가 있거나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 염증까지 발생할 수 있음.

황색포도상구균 : 호기성 혹은 통성혐기성 그람양성세균으로 사람의 피부나 점막에 집락을 형성하고 높은 보균율로 인하여 인체에 매우 흔한 감염증(피부질환, 구토, 설사, 복통 및 오심 등)을 유발할 수 있음.

대장균 : 사람을 포함해서 포유류의 장관을 기생장소로 하고 있는 장내 세균으로 설사, 발열, 구토 및 복통 등을 유발 할 수 있음.

녹농균 : 패혈증, 전신감염, 췌낭포성 섬유증 환자에게 난치성 감염 등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임.

다수 제품 뚜껑 없이 개봉된 상태로 비치, 개봉일자 기재 필요

테스터 화장품은 뚜껑 없이 개봉된 상태로 장시간 노출될 경우 공기 중의 먼지·습기, 사용자간의 교차오염 등으로 위해미생물이 쉽게 오염·증식될 수 있으나 매장 내 다수 테스터 화장품이 개봉된 상태로 비치되어 있었고, 개봉일자도 기재되어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16개 중 13개 매장(81.3%)에서는 아이섀도 제품을, 9개 매장(56.3%)에서는 고체형 제품(립스틱)을 뚜껑이나 덮개 없이 개봉된 상태로 비치하고 있었고, 제품을 위생적으로 테스트해 볼 수 있도록 일회용 도구(브러시 등)를 제공하는 곳은 1개(6.3%) 매장에 불과했다.

또한, 조사대상 테스터 화장품 42개 중 6개(14.3%)*만 개봉일자가 기재되어 있었고, 13개(31.0%)**제품은 유통기한·제조일자도 확인할 수 없었다.

* 마스카라 3개, 립제품 3개

** 아이섀도 12개, 마스카라 1개

3개 중 1개 제품은 위생 불량

조사대상 테스터 화장품 42개 중 14개 제품(33.3%)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미생물이 검출돼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 개봉된 화장품에 대한 미생물 기준이 없어 유통화장품 미생물 기준을 준용

아이섀도 16개 중 2개 제품(12.5%)에서 ‘총 호기성 생균’이 최소 510~최대 2,300 cfu/g 수준으로 기준(500 이하) 초과 검출되었고, 1개 제품(6.3%)에서는 병원성 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마스카라 10개 중 5개 제품(50.0%)에서 ‘총 호기성 생균’이 최소 550~최대 2,200 cfu/g 수준으로 기준(500 이하) 초과 검출되었다.

립제품 16개 중 4개 제품(25.0%)에서는 ‘총 호기성 생균’이 최소 1,530~최대 2,140,000cfu/g 수준으로 기준(1,000 이하) 초과 검출되었고, 3개 제품(18.8%)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 1개 제품은 총 호기성 생균·황색포도상구균 중복 검출

아이섀도·마스카라·립제품 등의 용기는 대부분 뚜껑을 열어 사용하는 단지 형태(Open jar)로 튜브(Tube) 또는 펌프(Pump)식 제품보다 사용자들로 인한 교차오염 위험이 높으며, 오염된 제품을 눈·입술 등과 같이 민감한 부위에 사용할 경우, 피부질환·염증 등 위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 위생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 유형별 위해미생물 기준 초과 검출 제품 수 ]

(단위 : cfu/g(mL))
구분총 호기성 생균 수황색포도상구균대장균녹농균
아이섀도2개 (510~2,300)1개 (검출)불검출불검출
마스카라5개 (550~2,200)불검출
립제품4개 (1,530~2,140,000)3개* (검출)
* 1개 제품 중복 검출(총 호기성 생균·황색포도상구균) ※ 기준 : 총 호기성 생균 수(눈 화장용 500 이하/ 기타화장품 1,000 이하), 황색포도상구균·대장균·녹농균(불검출)
테스터 화장품 위생 및 안전 관리 강화와 안전한 사용법 준수 필요

한국소비자원 및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테스터 화장품 안전성 확보와 소비자피해 사전예방을 위해 ▲화장품협회에는 가이드라인 마련을, 관련 업체에는 매장 내 테스터 화장품 위생관리 강화를 권고하였다. 관련 업체는 이를 수용하여 위생관리(테스터 화장품 비치관리 및 소비자 사용법 안내·홍보 등)를 철저히 하기로 하였다. 한편, 식약처는 블로그·SNS 등을 통해 ▲소비자의 테스터 화장품 안전한 사용법을 홍보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테스터 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에게는 ▲사용자들 간의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일회용 도구(브러시 등)를 이용할 것 ▲눈·입술 부위에 직접적인 사용은 자제하고 손목·손등 부위에 테스트할 것 ▲제품에 기재된 개봉일자나 유통기한을 확인할 것 ▲테스트 후 최대한 빨리 제거할 것 등을 당부하였다



[ 한국소비자원 2018-01-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13 시중 유통 한식된장·청국장, 곰팡이 독소 안전기준에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12.19
321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치료제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08.23
3211 해빙기, 얼음판 출입에 각별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2.02.24
3210 고용량 과산화수소 함유한 Crest 3D White 치아미백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1.01.27
3209 합선으로 인한 과열 및 화재 위험 있는 공룡 모형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0.07.01
3208 건조한 3월, 산불·화재·황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0.03.05
3207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10.29
3206 나들이 철 5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04.26
3205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04.08
3204 Magnetic Putty 장난감, 자석 삼킴 및 독성 노출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8.12.06
3203 전동킥보드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은 전 제품 문제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8.10.22
3202 BRIO 유아용 딸랑이(Soft Hammer Rattle), 파손 위험으로 교환·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7.12.06
3201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어 감염 가능성이 있는 KOSKA 터키식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23.04.07
3200 금지 성분인 알로에 에모딘 및 에모딘이 포함된 다이어트 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23.03.16
3199 영유아 질식 위험 있는 The Evolved parent Co 치발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21.12.27
319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Mr Porky Prime Cut Scrachings 돼지껍데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21.10.14
3197 한국소비자원을 사칭한 스미싱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20.09.08
3196 승용스포츠 제품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20.05.21
3195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안전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9.02.14
3194 Tork 거품형 비누, 박테리아 감염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9.01.31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