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추운날씨가 지속되면서 겨울 산행을 할 때는 저체온증과 조난 등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겨울철에는 추운날씨로 인해 연중 등산객이 가장 적지만, 눈꽃과 설경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러 겨울산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국립공원관리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12~’16)간 국립공원을 다녀간 탐방객 수*는 연평균 30,416천 명에 이른다.

이 중 1월에는 1,814천 명 정도가 다녀가는 것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는 겨울 3개월 기간의 월평균 1,597천 명보다 217천 명 많다.

* 국립공원 16개 산 기준(제외:경주, 한려해상, 태안해안, 다도해 해상, 변산반도)

하지만, 겨울산은 추위와 매서운 바람, 급격한 기상변화 등 악조건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

재난연감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12~’16)간 발생한 등산사고는 연평균 7,273건이며, 겨울철에는 월평균 430건의 사고가 발생하였고, 이 중 1월이 508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고 원인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면서 발생하는 실족과 추락이 2,413건(33%)으로 가장 많았고,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이 1,211건(17%), 심혈관 등 개인질환에 의한 사고도 836건(11%)이나 발생하였다.

겨울산을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보온용품과 눈길덧신(아이젠) 등 산행용품을 꼼꼼히 챙기고 안전사고 예방요령도 충분히 알아두도록 한다. 등산 전에는 오르고자 하는 산의 기온 등 날씨와 등반 소요시간, 등산로 정보 등을 미리 파악한다.

※ ‘국립공원 산행정보’ 어플(앱) : 국립공원의 지도와 날씨 등 산행정보와 위급상황 시 구조요청 가능

눈이 쌓인 산길은 평소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겨울철에는 해가 일찍 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가급적 16시 이전에 하산 하도록 한다.

또한, 방한·방풍처리가 된 등산복과 노출된 부위의 체온 손실을 막기 위한 모자와 장갑 등 겨울용 복장을 갖추고, 눈길과 빙판길에 대비하여 반드시 눈길덧신도 챙겨간다.

산행 중 땀과 눈 등으로 옷이 젖으면 마른 옷에 비해 빠르게 체온을 빼앗겨 저체온증에 걸리기 쉬우니 주의하고, 눈에 젖기 쉬운 양말과 장갑은 여분을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

특히, 눈 덮인 겨울 산에서는 평소 아는 곳이라도 원근감이 떨어지고 등산로의 구분이 어려워 조난되기 쉬우니, 길을 잘못 들었을 때는 왔던 길을 따라 아는 곳까지 되돌아온다.

아울러, 만약의 사고의 대비해 초콜릿 등 비상식량과 개인질환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상비약을 챙기고, 여분의 휴대폰 배터리를 챙겨간다.

조덕진 행정안전부 안전기획과장은 “추운 날씨일수록 산에 오르기 전에는 가벼운 몸 풀기로 근육을 충분히 풀어 부상을 예방하고, 만일의 사고에 대비해 자신의 행선지를 주변인에게 알리는 것이 좋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1-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5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5.13∼2016.5.1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29 2016.05.23
325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4.29∼2016.5.1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17 2016.05.16
324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4.22∼2016.4.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4 2016.05.02
324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4.15∼2016.4.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6 2016.04.25
324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2.5.∼2016.2.1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5 2016.02.15
324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2.12.∼2016.2.1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9 2016.02.22
324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2.2.∼2016.1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30 2016.12.12
324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1.11.∼2016.11.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1 2016.11.21
324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0.7.∼2016.10.1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87 2016.10.18
324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0.21.∼2016.10.2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26 2016.10.31
324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8.∼2016.1.1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27 2016.01.18
324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29.∼2016.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63 2016.02.11
323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22.∼2016.1.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1 2016.02.01
323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15.∼2016.1.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74 2016.01.25
323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1.∼2016.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51 2016.01.11
323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4.∼2015.9.1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58 2015.09.14
323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25.∼2015.10.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25 2015.10.05
323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18.∼2015.9.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4 2015.09.30
323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11.∼2015.9.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71 2015.09.22
323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8.28.∼2015.9.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59 2015.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