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1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 / 행정안전부)상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 1월에 월평균 보다 사고 발생건수 혹은 사망자수가 높은 유형 ** 트윗 건수

정부는 중점 관리 유형을 관계 부처, 지자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으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유형별 행동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대 설)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으나, 찬 대륙고기압 확장 시 서해안에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올 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평년)겨울철 평균 강수량 88.5mm, 1월 평균 강수량 28.3mm
※ 최근 10년(‘07~’16)간 기상특보 현황 : 대설 11월~4월평균32.0회 1월평균55.2회

행정안전부는 24시간 철저한 상황 관리와 제설장비, 자재 비축 및 재난 취약지역*을 집중 관리하고, 사고위험이 높은 제설취약구간(1,328개소)에 견인차를 사전 배치하는 등 긴급구난체계도 마련하였다.

* 눈사태·고립 위험지역, 피해 우려 지역, 제설 취약 구간
※ 2010년 1.4~5일 서울지역 일최심신적설 25.8㎝등 중부지방 많은 눈으로 수도권 전동열차 운행 중단, 지연 등 피해발생

특히, 폭설로 고립이 예상되는 산간마을* 지정 등 관리를 강화하고, 도서지역의 항공기와 여객선 체류객 발생 등도 통제상황 추적관리를 통해 체류객 정보공유 등 안전대책도 추진한다.

* 산간마을 고립 우려지역 : 15개 시·도 420개 마을, 12,783가구 25,162명
* 제설삽날 부착 트랙터 등 394대, 염화칼슘(20kg/포) 5,171포, 모래(5kg/포) 18,194포

(한 파) 1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10년(‘07~’16)간 기상특보 현황 : 한파 10월~3월평균 9.7회 1월평균23.8회

행정안전부에서 겨울철 저체온증 사망 관련 자료 분석 결과를 보면, 한파로 인한 저체온증 사망자는 12월 4주 ~ 1월 1주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한파 피해 비율이 높은 시기에 관련기관과 함께 TV, 라디오, 전광판 등을 통해 피해예방과 행동요령을 집중 홍보하는 한편, 고령자, 노숙인 등 한파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종합지원센터와 보호시설*을 설치·운영 할 예정이며, 경로당 난방비 지원과 에너지이용권(바우처)**도 지원할 계획이다.

* 145개소(종합지원센터10, 일시보호시설8, 노숙인 자활·요양시설117, 쪽방상담소 10)
** (경로당 난방비) 30만원/월 x 5개월, (에너지바우처) 에너지취약계층 84천원~121천원 차등지원

또한, 동파 피해 방지를 위한「긴급점검 및 지원서비스반*」을 가동하여 상수도·가스·보일러 등을 점검하고 복구할 예정이다.

* ‘16년 긴급지원반 2,578명 운영, 4,807건 긴급복구로 국민불편 해소

(화 재) 최근 5년(‘12~’16)간 겨울철 화재는 59,942건(28%)으로 봄(산불, 임야화재 포함)다음으로 많이 발생하였고, 이 중 주점이나 노래연습장 등 생활서비스 시설*에서 발생한 화재는 겨울이 5,756건(23%)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 생활서비스 시설 : 화재 장소별 분류 중 단란주점, 유흥주점, 노래연습장, 피시(PC)방, 음식점, 커피전문점, 호프집 등

소방청은 소방장비, 소방용수설비 등에 대한 철저한 정비를 통하여 평상시부터 가동태세를 유지하며 취약시기별* 화재 특별경계 근무를 실시한다. * 연말연시, 설날, 대보름, 이상기온 시 등

공장 등 대형화재 취약대상*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하고, 독거노인 등 주거시설, 쪽방, 주거용 비닐온실 등에 주택용 소방시설 보급 및 전기·가스 등 유관기관 합동 무료안전점검 추진할 예정이다.

* 6,907개소(유흥주점 157, 영화상영관 151, 판매 696, 숙박 940, 병원 670, 공장 1,121, 기타 3,172)
※ 쪽방 441개소, 주거용 비닐하우스 4,549동, 컨테이너 하우스 1,339동

(스키장) 겨울철 대표 레포츠인 스키 시즌*을 맞아 스키를 탈 때는 보호장비 착용을 철저히 하여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해야 한다.

* 시즌 : 12월~다음해 2월
** 최근 4년(‘13/’14시즌 ~’16/‘17시즌)간 스키장 안전사고 : 12월~2월평균257건 1월324건

(도로교통사고) 강설과 블랙아이스 등으로 인하여 겨울철(11월~1월)에는 연간 월평균보다 도로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많고, 연말연시에는 잦은 술자리로 음주운전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최근 5년(‘12~’16)간 사망자 수 연간월평균402.6명 겨울철월평균421.4명
* 최근 5년(‘12~’16)간 사망·부상자 수 연평균343,410명 음주운전44,666명

정부는 지난 22일 마포구에서 관계기관 등이 참여하여 음주운전예방 홍보활동을 실시하였고,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행사 등과 연계한 홍보 행사가 지속적으로 펼쳐질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1월에 빈발하는 재난안전사고에 대하여 각 부처와 지자체가 중점 관리하여 소중한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며, “국민 여러분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등 적극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7-01-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93 사용중지 중인 LG전자(주) 빌트인 듀얼 냉온정수기, 자발적 리콜 실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4.01
2492 눈 손상 위험 있는 Two Trees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4.29
2491 라벨 미표기된(헤즐넛) 성분 함유되어 알레르기 위험 있는 Godiva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5.04
2490 Olympic 얼룩세척제, 내용물 노출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18.03.21
2489 Sta-Sof-Fro 로션(Olive Oil - Hand and Body Lotion),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18.03.21
2488 Maurice’s Piggie Park 소스(Southern Gold BBQ Honey), 알레르기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18.06.21
2487 수두.유행성이하선염 증가 대비,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18.10.29
2486 “외화보험 가입시 소비자 핵심 유의사항 4가지,이것만은 기억하세요!” ? 소비자경보「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0.10.26
2485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 있는 Muraco 캠핑용 주전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0.11.23
2484 봄 산행, 덜 녹은 얼음과 서리에 미끄러지기 쉬우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3.11
2483 라벨에 표시되지 않은 내용물이 함유된 Boots 멀티비타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4.12
2482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 있는 Vitakraft 고슴도치 사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5.13
2481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6.14
2480 충전기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CORE 마사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7.28
2479 벤젠이 검출된 Odor-Eaters 발냄세 제거제(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2.02.11
2478 르노삼성자동차(주) XM3 차량 발전기 커버 미장착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05.22
2477 유치원, 어린이집 등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12.11
2476 자연연소 주의사항 표시가 없는 Walrus Oil 가구광택제 4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3.18
2475 알레르기 유발 성분(아황산염) 미표시된 Nordic Naturals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6.02
2474 쇠줄 혼입 가능성 있는 multivites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6.24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