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여름철 수박 냉장 보관 시 세균 오염 주의

- 자르기 전 수박 껍질 깨끗이 씻어야 -

이 자료는 8월 12일(수)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8월 11일 12시)

본격적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갈증해소에 효과가 높은 수박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박의 크기가 커진 반면 가구당 인원수는 감소하면서 먹다 남은 수박을 냉장 보관하는 가정이 많은데, 이 경우 짧은 기간이라도 세균이 급격하게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시중에서 구입한 수박을 가정에서 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냉장 보관할 때 기간(0일~7일) 경과에 따른 세균(일반세균, 황색포도상구균)의 오염 정도를 확인했다.

* 반쪽수박을 랩으로 포장하거나, 수박을 조각내어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보관

1

시험 결과, 랩으로 포장해 냉장 보관한 반쪽수박 표면부의 최대 세균수(4.2×105cfu/g)초기농도(1.4×102cfu/g) 대비 약 3,000배 이상 증가해 배탈ㆍ설사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수준이었고, 표면을 약 1cm 잘라 낸 심층부의 최대 세균수(7.0×104cfu/g)는 초기농도(1.2×102cfu/g) 대비 약 583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또한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한 조각수박(7일 평균 세균수, 5.0×102cfu/g)은 랩으로 포장해 냉장 보관한 반쪽수박(표면부 7일 평균 세균수, 5.1×104cfu/g)보다 세균 오염도가 더 낮았다. 

한편 냉장 보관 1일 경과 후 모든 시료에서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이는 별도 진행된 수박 껍질 표면 시험 검사 결과 일부 수박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된 점에 비추어 초기 수박 절단 시 껍질에 잔류하던 균에서 오염됐을 가능성이 높다.

3 

금번 시험은 외부적인 세균오염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멸균한 칼, 도마 등 조리기구 사용, 일정한 냉장온도(4℃) 유지, 식중독균이 존재하지 않는 냉장고 환경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수박을 냉장 보관하는 경우 하나의 칼, 도마를 모든 음식조리에 사용함으로써 조리도구의 위생상태가 미흡할 수 있고, 냉장고 문을 수시로 여닫게 되므로 일정 온도 유지가 힘들며, 냉장고다른 음식물 등으로 인해 교차오염이 발생할 수 있어 금번 시험결과보다 세균오염이 더 심각할 수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가정에서 수박을 안전하게 섭취하기 위해서는 ▲ 초기 오염 방지를 위해 수박을 절단하기 전에 깨끗이 세척하고 ▲ 수박은 당도가 높아 세균증식이 용이한 만큼 절단한 경우 가급적 당일에 섭취하고 ▲ 랩으로 수박을 포장하는 것보다는 한입크기로 조각내어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며 ▲ 부득이 랩으로 포장하여 냉장 보관한 수박은 표면을 최소 1cm 이상 잘라내고 섭취 할 것을 당부하였다.

 

[한국소비자원 2015-08-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5 정부「긴급재난지원금」신용・체크카드 신청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1 10
1054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세대주가 아니더라도 이의신청으로 지급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1 10
1053 「긴급재난지원금」안내 문자, URL 누르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4 10
1052 지역사랑상품권 불법 환전, 과태료 최대 2천만원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4 10
1051 사람 모양의 인형 완구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4 10
1050 우리동네 우리아이 돌봄 시설을 한 곳에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4 10
1049 공공용 드론은 국산으로 구매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4 10
1048 여권 온라인 간편 서비스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9 10
1047 크릴오일 제품,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9 10
1046 프로바이오틱스, 요구르트처럼 마시는 제품으로도 제조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8 10
1045 2020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7 10
1044 4월 29일부터 코로나19 피해 취약 개인채무자는 가계대출 원금 상환유예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7 10
1043 상조회사 인수·합병에 따른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선제적 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1 10
1042 소하천 무단 점유·사용·파손 행위에 벌칙 대폭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0 10
1041 여성가족부, 온라인 개학에 따른 원격 학습 지원에 나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14 10
Board Pagination Prev 1 ... 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859 86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