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내년부터 맥주, 민물장어, 돋보기 안경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신규 진입을 막거나 사업 활동을 과도하게 제약하여 소비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다수의 경쟁제한적 규제가 개선될 예정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17년도 하반기에 추진한 중소 맥주 사업자의 유통망 제한 개선등 총 18건의 경쟁제한적 규제 개선 방안을 확정하고,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1228)에 그 성과를 보고했다.

 

< 추진 배경 · 경과 >

 

공정위는 올해 먹거리·생필품·레저 등 국민생활 밀접 분야와 중소기업 관련 규제를 집중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관계 부처 간 협의 및 국무조정실 규제조정회의를 거쳐 총 25건의 경쟁제한적 규제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상반기에는 올해 추진할 규제 개선 과제를 발굴하여,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총 7건의 규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하반기에는 관계 부처 협의 과정에서 이견이 있는 핵심 과제에 대하여 국무조정실 주관 규제조정회의 등을 통해 총 18건의 경쟁제한적 규제에 대한 개선안을 확정했다.

 

< 주요 과제별 개선 내용 · 효과 >

 

진입 · 사업 활동 제한 규제로 인하여 대기업 위주의 장기간 독과점이 고착화되어 제품의 다양성 감소, 소비자 불만 증가 등 규제 개선이 절실한 분야로, 그 중 중소 · 소규모 맥주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예정이다.

 

그간 수제 맥주를 주로 생산하는 중소 맥주 사업자(일반)가 소매점 등으로의 유통 시 종합 주류 도매업자만 이용이 가능했으나, 앞으로 중소 맥주 사업자의 제품 유통 확대 및 유통편의 증진을 위하여 특정 주류 도매업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예정이다.(20188)

 

이를 통해 중소 맥주 사업자의 수제 맥주 판로 확대가 가능해지고, 소비자의 선택권이 다양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행 주세법령상 소규모 맥주 사업자는 제조 시설(담금 및 저장조) 기준이 5이상 75미만으로 제한되어 연간 생산량이 제한되고 있다.

 

내년부터 사업자의 생산량을 제약하는 제조 시설 기준을 75㎘→120로 상향(20182)할 계획이며, 소규모 맥주 사업자의 제품 품질과 영업력 등에 따른 성장 기반을 마련하여 맥주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양식용 민물장어 치어의 경우 인공 부화가 되지 않아 주로 중국 대만 동남아 등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그 수입 시기가 당해 연도 111일부터 다음 연도 315일까지로 제한되어있던 것을, 전면 폐지하여 양식용 민물장어 치어의 수입이 연중 허용되었다.

(201711개선)

 

치어 구매 원가 절감, 연중 이식에 따른 양식 개체 수 증가 등을 통해 가격 경쟁이 촉진되어 소비자가 보다 저렴하게 민물장어를 구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 등 방송 통신 기자재 수입 시 전파법상 적합성 인증을 받았더라도 수입자가 다를 경우 별도의 인증 의무를 요구함에 따라, 영세한 국내 수입업자의 병행 수입 제품 판매를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다.

 

과도한 인증 의무 완화를 위하여 선()인증자의 인증을 후()인증자의 인증으로 갈음할 수 있는 방안 등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다.(20186)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 방송 통신 기자재 소비자들의 구매 비용 절감 및 국내 병행 수입 업체의 경쟁력 향상 효과 등이 기대된다.

 

현행 법상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의 제조 · 수입 · 판매 · 중개업체 등에 대해 안전 인증, 안전 확인, 공급자 적합성 확인 및 부대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안전 인증 의무 등에 소요되는 과다한 비용 및 기간으로 인해 영세 소상공인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고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될 우려가 있어, ‘위해도가 낮은 생활용품에 대해 공급자 적합성 확인에서 새로 신설되는 안전 기준 준수대상으로 완화할 예정이다.(개정안 국회 계류 중)

 

인증 의무 완화를 통해 영세 소상공인들의 부담이 경감되고 관련 생활용품에 대한 소비자 가격 하락 효과도 기대된다.

 

시력보정용 안경에 대해 일률적으로 통신 판매를 금지하고 있으나, 그 중 양안 도수가 같은 일정 도수 이하(저도수)인 경우 통신 판매를 허용하기로 했다.(20188)

 

돋보기 안경 시장에 온 · 오프라인 경쟁 체제가 도입됨에 따라 제품 가격하락 및 다양한 제품 선택 등 소비자 편익이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드론 등 초경량 비행장치 비행 가능 공역을 추가 확대하기로 했다.(공역실무위원회 의결을 거쳐 국토부가 공고, 201712월 기준 29개 지정)

 

이에 따라 기존 인접 지역에 공역이 없어 원거리를 이동해야 했던 이용자의 불편 해소 및 편익 증대에 따른 항공 레저 산업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현행 심사 기준은 300억 원 이상 대형 국가 공사의 입찰 기준 내 배치 기술자 항목을 두고, 기술자의 근무 기간이 6개월 미만이면 20% 감점(최소 1.6~최대 3점 감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소 · 중견업체의 참여 기회를 제약하고 대기업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배치 기술자 재직 요건 중, 대형 공사(850억 원 이상)는 현행 규제를 유지하되, 중소업체가 주로 수주하는 준 대형 공사의 경우 재직 기간 요건을 완화(6개월3개월)하기로 했다.(20186)

 

개정 기준이 적용될 경우 다수의 기술자를 상시 고용하기 어려운 중소 · 중견 건설사의 국가 공사 입찰 진입 장벽을 완화하여 경쟁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달 물품 심사 기준은 기술 인력 보유 정도 평가 기준(제조 계약 관련)’을 두고, 이를 관련 자격증 보유자 수로만 평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봉제업 등 일부 제조업의 경우 숙련된 생산 인력은 있어도 관련 기술 자격증 보유자가 적어 해당 기술 인력 고용 자체가 곤란한 측면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봉제업 등 기술 자격증 보유자가 많지 않은 업종에 대해서는 기술 인력 보유 정도의 배점 기준을 하향 조정할 계획이다.(20186)

 

피복 등 군수 물품 조달 시장에 숙련공 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으나, 자격증 보유자 수가 부족한 중소업체의 입찰 참가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행 법령상 12년 초과된 예선의 경우 예선업의 등록 또는 변경 등록이 금지되어 있으나, 앞으로는 12년 초과된 예선에 대하여 변경 등록을 허용할 계획이다.(20188)

 

12년 초과된 예선의 활용(구매 · 판매)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업자별 예선 교체 비용이 절감되고 항만 간 예선 공급 불균형 등이 해소될 것으로 본다.

 


[ 공정거래위원회 2017-1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50 빵류 영양표시 확인하고 선택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37
6349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 및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9
6348 청소년 발달장애학생 방과후활동서비스 9월부터 시작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17
6347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 신청, 전자메일 등 온라인으로도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2 9
6346 프로스포츠 굿즈 어린이용 모자,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2 10
6345 계속거래 등의 해지·해제에 따른 위약금 및 대금의 환급에 관한 산정기준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26
6344 본인부담상한제로 저소득층 의료비 부담 크게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18
6343 2020년 건강보험료율 인상률 3.2%(6.46%→6.67%)로 결정, 전립선 초음파 검사비 부담 1/3로 경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30
6342 내년 1월부터 조산아, 저체중 출생아의 외래 본인부담률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23
6341 질병관리본부와 친구 맺고 건강도 챙기세요~! 질병예방 위한 카톡 이모티콘 3탄~‘쭈~욱 건강하라능’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18
6340 “비용 미결제로 예약하신 국립공원시설이 자동취소될 수 있습니다”... 문자서비스로 사전 안내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12
6339 “산재 신청서 작성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26
6338 난폭·보복·음주 운전은 중대한 범죄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28
6337 온라인 영어강의 소비자 만족도, ‘정보 및 콘텐츠 품질’ 높고 ‘학습관리’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13
6336 정부, 어린이가 안전한 학교생활 만들기에 힘 모은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15
Board Pagination Prev 1 ...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