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1세 미만 영아의 벌꿀 섭취금지 주의표시 의무화해야 -

예로부터 벌꿀은 건강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고령자들이 즐겨 섭취하는 식품으로 최근에는 국산 및 수입산 제품이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으나 일부 제품의 경우 품질·안전 관리가 필요하고 1세 미만 영아의 벌꿀섭취 금지 및 사양벌꿀*에 대한 소비자 정보 제공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꿀벌을 기르는 과정에서 설탕을 먹여 저장·생산한 꿀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판매되는 벌꿀 30개 제품(국산 15개, 수입산 15개)을 대상으로 한 시험검사(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및 표시실태 조사결과로 밝혀졌다.

*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methylfurfural, HMF) : 식품의 처리, 가공 또는 저장 중에 생성되는 화합물로 품질저하의 지표성분임. 벌꿀을 많이 가열할수록 다량 생성되며 벌꿀의 신선도를 평가하고 등급을 분류하는 척도로 사용되고 있음.

일부 벌꿀 제품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기준 초과

조사대상 벌꿀 30개 중 ‘마천농협 잡화꿀’(제조원: 마천농업협동조합)의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함량은 147.6㎎/㎏, ‘유기농아마존포레스트꿀’(제조원: Y.S.Health Corp./수입원: ㈜영신건강하이비)은 248.7㎎/㎏으로 기준(80㎎/㎏ 이하)을 각각 1.8배, 3.1배 초과하여 품질 상태가 저하된 것으로 확인됐다.

[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기준 초과 제품 ]

제품명제조원/수입원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기준 : 80㎎/㎏ 이하)유통기한
마천농협 잡화꿀마천농업협동조합147.62019.6.1
유기농아마존포레스트꿀Y.S.Health Corp./ ㈜영신건강하이비 248.72020.12.1
또한 , 6 개 제품 (20.0%) 은 국내 기준 (80 ㎎ / ㎏ 이하 ) 에는 적합했으나 Codex( 국제식품 규격위원회 ) 권고기준 (40 ㎎ / ㎏ 미만 , 열대지역의 경우 80 ㎎ / ㎏ 미만 ) 을 초과했다 . 국내 및 Codex 기준을 초과한 제품은 국내산이 15 개 중 2 개 (13.3%), 수입산이 15 개 중 6 개 (40.0%) 로 , 운송 · 통관에 장기간이 소요되고 수입량이 많아 판매기간이 길어지는 수입산 제품의 특성상 부적합률이 국내산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1세 미만 영아의 벌꿀 섭취금지 주의표시 의무화 필요

벌꿀의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균 오염으로 발생하는 ‘영아 보툴리누스증’은 1세 미만의 영아에게 신경마비 증상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인 위해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조사대상 30개 중 19개(63.3%) 업체는 제품에 영아 섭취금지 주의표시를 자율적으로 명기했으나 11개(36.7%) 업체는 표시하지 않았다. 보호자가 벌꿀을 건강식품으로 인식하여 영아에게 섭취시킬 경우 심각한 안전사고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1세 미만의 영아에게 벌꿀 섭취를 금지하는 주의문구 표시 의무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중 2개 ‘사양벌꿀’ 제품, ‘잡화꿀’로 소비자가 오인할 수 있어

2개 제품[‘다드림 잡화꿀’(제조원: (주)다드림), ‘지리산뱀사골 잡화꿀 프리미엄’(제조원: 지리산뱀사골토종꿀)]은 사양벌꿀임에도 제품명에 “잡화꿀”이란 명칭을 사용하여 소비자가 동 제품들을 잡화꿀로 오인할 소지가 있었다.

?아카시아꿀·밤꿀·잡화꿀 : 아카시아꽃, 밤꽃, 잡화꽃(여러가지꽃)을 밀원(蜜源)으로 하는 꿀

?사양벌꿀 : 꿀벌을 기르는 과정에서 설탕을 먹여 저장·생산한 꿀

「식품등의 표시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7-99호)」 개정(2017.12.6.)에 따라 사양벌꿀 제품은 주표시면에 “이 제품은 꿀벌을 기르는 과정에서 꿀벌이 설탕을 먹고 저장하여 생산한 사양벌꿀입니다”를 표시해야 한다. 그러나 해당 고시 시행일(2020.1.1.) 전에 제조·가공 또는 수입된 제품은 유통기한까지 종전 규정에 따라 판매 가능하므로 제품 구입 시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관련 업체에 ▲벌꿀의 품질·안전관리 및 사양벌꿀 관련 표시사항 개선을 권고하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1세 미만 영아의 벌꿀 섭취금지 표시 의무화 및 사양벌꿀 표시에 대한 소비자 홍보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7-1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13 낙상 사고 위험 있는 Nakabayashi 사무용 의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3.02.13
3212 낙상 사고 위험 있는 Stokke 유모차 무상 수리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43 2015.04.23
3211 낙상 우려 있는 Petzl 암벽 등산용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1.08
3210 낙상 우려 있는 Woom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9.08
3209 낙상 우려있는 시마노 자전거 부품(크랭크셋)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3.12.13
3208 낙상 위험 있는 Baby Rescue Rapid Evacuation Device 유아 대피장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7.15
3207 낙상 위험 있는 Topfun 접이식 스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4.11
3206 낙상 위험이 있는 Kinderfeets 유아용 그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4.05.17
3205 낙상 위험이 있는 Rollerblade 인라인스케이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8.17
3204 낙상 위험이 있는 Yunoa 목욕 의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4.03.27
3203 낙상, 질식 등의 위험 있는 PHONENIX 어린이용 킥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1.11.29
3202 낙상위험 있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61 2017.04.27
3201 낙석, 미끄러짐…봄 산행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18.03.15
3200 낙하 사고 발생 우려 있는 Titan 추락 제지용 기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3.05.25
3199 낙하 위험 있는 Flos社 팬던트 조명 기구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5 2017.02.08
3198 낚시어선, 안전관리 미흡해 대형 인명사고 발생 우려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19.01.08
3197 난연성 미흡 등 기준 미준수로 부상 위험 있는 Dress up 코스튬 의상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3.03.13
3196 난연성 표준 준수하지 않아 화상 위험있는 HulovoX 유아용 가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5.04
3195 난임치료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9.12.03
3194 날 분리 위험 있는 잔디깎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12.06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