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피젯스피너,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해야

피젯스피너*는 아마존, 이베이 등 해외 온라인쇼핑몰에서 베스트셀러 상품으로 꼽힐 만큼 세계적인 인기 제품으로 단순 동작의 반복을 통해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하여 최근 판매가 급증하고 있으나,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제품들이 다수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피젯스피너(Fidget spinner): 여러 갈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손으로 쥐고 반복적인 회전동작을 하도록 설계된 제품

한국소비자원은 피젯스피너 사용 중 얼굴에 상처를 입거나 피부 발진이 발생했다는 위해정보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놀이용 피젯스피너’ 25개와 충전지로 작동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10개 제품을 조사하였다.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놀이용 피젯스피너,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이미지

놀이용 제품 25개 중 10개(40%) KC 미표기, 8개(32%) 물리적 상해 우려

초등학교 주변 문구점에서 구입한 ‘놀이용 피젯스피너’ 25개 제품에 대한 표시실태 및 안전성 조사 결과, 10개(40%)는 완구제품으로 KC 및 안전확인신고번호를 표시***하지 않았거나 사용 가능한 연령 표시가 없이 판매되고 있었으며, 8개(32%)는 표면이 날카로워 어린이 상해사고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어린이용 피젯스피너는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안전확인 신고 후 이를 표시(제품정보에 관한 표시 포함)하여야 함.

블루투스 스피커용 제품 10개 모두 KC 미표기, 6개(60%) 화재·화상 우려

또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입한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10개 제품에 대한 표시실태 및 안전성 조사 결과, 제품에 충전지가 포함되어 안전확인 표시가 의무사항임에도 모두 안전확인를 표시****하지 않았으며, 그 중 6개 제품(60%)은 충전 과정에서 배터리 부풀음(swelling) 현상이 발생하여 화재나 화상사고의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확인대상 전기용품으로 분류되며, 안전확인 신고 후 도안 등을 부착하여야 함.

안전확인 미표기 제품, 통신판매중개사업자를 통해 일괄 유통 차단 조치

한국소비자원은 안전확인 표시가 없는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가 주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유통되고 있어, 통신판매중개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안전확인표시 없이 판매되는 제품의 유통·판매를 차단하고, 제품 판매 시에는 안전확인 정보 및 법적 표시사항을 반드시 표기토록 권고하였다.

***** ‘온라인 유통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국소비자원과 네이버(스토어팜, 쇼핑), SK플래닛(11번가), 이베이코리아(옥션, 지마켓), 인터파크(쇼핑), 쿠팡 등 5개사가 참여하는 정례협의체

불법·불량제품 유통 차단을 위해 유관 정부부처와 협력

더불어, 한국소비자원은 불법·불량 피젯스피너의 국내 수입·유통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관세청에는 미신고 제품의 국내 유입 단속 강화를, 국가기술표준원에는 피젯스피너를 2018년 안전성 조사 대상에 포함해줄 것을 요청하였다고 밝혔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12-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72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20.04.20
2771 전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연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0.04.22
2770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고수익 보장’에 충동계약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20.04.22
2769 WTI원유 선물 연계 ETN, ETF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0.04.23
2768 장난감으로 인한 가정 내 어린이 안전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0.04.23
2767 말라리아 발생지역 거주 또는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0.04.24
2766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0.04.27
2765 무더위 시작 전, 에어컨 안전점검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0.04.27
2764 선불카드를 통한 긴급재난지원금 수령 및 이용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0.04.28
2763 인체에 사용 불가한 살균·소독제 일부가 손소독제인 것처럼 판매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0.04.28
2762 코로나19 정부지원대출 빙자 보이스피싱, 스미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4.29
2761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0.04.29
2760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9 2020.04.29
2759 해외 여행사 ‘Travelgenio, Travel2be’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20.05.07
2758 5월에는 야외활동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0.05.07
2757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20.05.11
2756 퍼프린젠스 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0.05.12
2755 '과산화수소' 직접 먹어서는 절대 안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0 2020.05.14
2754 쉽게 결정하는 백내장 수술, 부작용 발생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0.05.14
2753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손 위생용품 바로 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0.05.14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