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피젯스피너,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해야

피젯스피너*는 아마존, 이베이 등 해외 온라인쇼핑몰에서 베스트셀러 상품으로 꼽힐 만큼 세계적인 인기 제품으로 단순 동작의 반복을 통해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하여 최근 판매가 급증하고 있으나,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제품들이 다수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피젯스피너(Fidget spinner): 여러 갈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손으로 쥐고 반복적인 회전동작을 하도록 설계된 제품

한국소비자원은 피젯스피너 사용 중 얼굴에 상처를 입거나 피부 발진이 발생했다는 위해정보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놀이용 피젯스피너’ 25개와 충전지로 작동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10개 제품을 조사하였다.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놀이용 피젯스피너,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이미지

놀이용 제품 25개 중 10개(40%) KC 미표기, 8개(32%) 물리적 상해 우려

초등학교 주변 문구점에서 구입한 ‘놀이용 피젯스피너’ 25개 제품에 대한 표시실태 및 안전성 조사 결과, 10개(40%)는 완구제품으로 KC 및 안전확인신고번호를 표시***하지 않았거나 사용 가능한 연령 표시가 없이 판매되고 있었으며, 8개(32%)는 표면이 날카로워 어린이 상해사고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어린이용 피젯스피너는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안전확인 신고 후 이를 표시(제품정보에 관한 표시 포함)하여야 함.

블루투스 스피커용 제품 10개 모두 KC 미표기, 6개(60%) 화재·화상 우려

또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입한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10개 제품에 대한 표시실태 및 안전성 조사 결과, 제품에 충전지가 포함되어 안전확인 표시가 의무사항임에도 모두 안전확인를 표시****하지 않았으며, 그 중 6개 제품(60%)은 충전 과정에서 배터리 부풀음(swelling) 현상이 발생하여 화재나 화상사고의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확인대상 전기용품으로 분류되며, 안전확인 신고 후 도안 등을 부착하여야 함.

안전확인 미표기 제품, 통신판매중개사업자를 통해 일괄 유통 차단 조치

한국소비자원은 안전확인 표시가 없는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가 주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유통되고 있어, 통신판매중개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안전확인표시 없이 판매되는 제품의 유통·판매를 차단하고, 제품 판매 시에는 안전확인 정보 및 법적 표시사항을 반드시 표기토록 권고하였다.

***** ‘온라인 유통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국소비자원과 네이버(스토어팜, 쇼핑), SK플래닛(11번가), 이베이코리아(옥션, 지마켓), 인터파크(쇼핑), 쿠팡 등 5개사가 참여하는 정례협의체

불법·불량제품 유통 차단을 위해 유관 정부부처와 협력

더불어, 한국소비자원은 불법·불량 피젯스피너의 국내 수입·유통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관세청에는 미신고 제품의 국내 유입 단속 강화를, 국가기술표준원에는 피젯스피너를 2018년 안전성 조사 대상에 포함해줄 것을 요청하였다고 밝혔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12-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73 탈락한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 있는 터널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2.16
4072 잠금 기능에 결함이 있는 반려견용 리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2.20
4071 어린이 보호포장 미흡한 휴대용 연료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2.29
4070 현대 · 비엠더블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3.07
4069 독성 식물로 확인된 테호코테(Tejocote) 다이어트 보조제(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3.15
4068 방사선 조사처리한 원료를 사용한 Grillon D'or 뮤즐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3.18
4067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6)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3.19
4066 전압조정기 고장으로 화재 위험성 있는 잔디깎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3.21
4065 가을 산행 및 벌초 시 벌 쏘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3.09.07
4064 어린이 끼임 우려 있는 유미 U3H 러닝머신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3.12.18
4063 연초에 많이 발생하는 카드발급, 연말정산, 합격문자 등 보이스피싱 사기 수법, 늘.꼭.또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1.03
4062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물질 검출된 Richter 유아용 샌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1.08
4061 ‘온라인에서 성행하는 유령 유사수신 업체’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1.25
4060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3.18
4059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9)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3.20
4058 납 성분 함유 기준을 초과한 자동 세제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3.27
4057 연소 중 연료 공급 시 화염분사 현상 발생하는 Flikr Fire 개인용 화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3.12.13
4056 니코틴산 과다 복용 위험 있는 Zein Pharma 비타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3.12.18
4055 화재 및 화상 우려 있는 Kids Stuff 유아용 버블클렌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1.04
4054 적합성 평가 미흡으로 익사 위험 있는 Swimbubs 유아용 수영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1.0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