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암발생 4년 연속 감소, 암생존율은 높아져

- 암발생 순위 변동, 갑상선암은 감소(1위→3위)하고 위암이 암발생 1위 -
- 암 유병자 160만명 시대, 암생존자 지원 강화 필요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 원장 이은숙)는 21일 국가암등록통계사업에 따른 우리나라 국민의 2015년 암발생률, 암생존율 및 암유병률 현황을 발표하였다.

 ○ 2015년에 새로 발생한 암환자 수는 21만4701명(남 11만3335명, 여 10만1366명)으로, 2014년 21만8954명에 비해 4,253명(1.9%) 감소하였다.

   - 갑상선암을 제외한 모든 암발생자수는 18만9672명으로 전년 대비 1,797명 증가하였으며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 간암 발생자수는 감소한 반면, 유방암과 전립선암, 췌장암 등은 증가하였다.

      * 위암 2.7%(-819명), 대장암 1.6%(-422명), 간암 0.5%(-83명) 감소

      * 유방암 4.3%(798명), 전립선암 3.5%(341명), 췌장암 5.7%(340명) 증가

   - 2015년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위암이었으며, 이어서 대장암, 갑상선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순이었다.

      * 남자: 위암, 폐암, 대장암, 간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순

      * 여자: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간암 순
   - 2009년 이후 우리나라 암발생 1위를 차지하고 있던 갑상선암이 크게 감소(6,050명)하여 2015년에는 남녀 전체 3위로 발생순위가 하락하였으며, 각각 2위, 3위였던 위암과 대장암이 한 단계씩 상승하였다.

 ○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은 2012년 이후 4년 연속 감소하고 있는데, 1999년 이후 2012년까지 연평균 3.6%씩 증가하다가 2012년 이후 매년 6.1%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10만명당 324.0명(’12년)→315.1명(’13년)→291.5명(’14년)→275.8명(’15년)

   - 주요암 중 위암, 대장암, 갑상선암, 폐암(남자),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방암은 1999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 유방암의 연간% 변화율 : (1999-2007년) 6.8% / (2007-2015년) 4.0%

 ○ 생존율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최근 5년간(2011-2015년)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은 70.7%로 2001-2005년에 진단받은 암환자의 생존율 54.0% 대비 16.7%p 증가되었다.

   - 주요 암종 중 높은 생존율(2011-2015년)을 나타낸 암종은 갑상선암(100.3%), 전립선암(94.1%), 유방암(92.3%)이었으며, 간암(33.6%), 폐암(26.7%), 췌장암(10.8%)은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낮았다.

   - 2001-2005년 대비 생존율이 10%p 이상 상승한 암종은 위암 75.4%(17.6%p), 전립선암 94.1%(13.7%p), 간암 33.6%(13.2%p), 폐암 26.7%(10.2%p)이었다.

   -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 중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2011-2015년 생존율은 미국(2007-2013년)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었다.

      * 위암 75.4%-31.1%(한-미) / 대장암 76.3%-66.3% /간암 33.6%-18.5% / 자궁경부암 79.9%-68.8%

 ○ 1999년 이후에 발생한 암환자 중 2016년 1월 1일 생존한 것으로 확인된 암유병자(치료 중 또는 완치 후 생존자) 수는 약 161만 명이며, 이는 우리나라 국민 31명 중 1명이 암유병자라는 것을 뜻한다.

□ 보건복지부는 1996년부터 2차례에 걸친 10개년 암정복계획을 수립?시행하였고, 2016년 9월에는 <전 국민을 암으로부터 보호하고, 암 전주기에 걸친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비전으로 하는 제3차 암관리종합계획(2016-2020년)을 발표하였다.

 ○ 종합계획에 따라, 2017년에는 우리나라 암사망 1위인 폐암에 대한 국가암검진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만 55~74세의 고위험군(30갑년 이상의 흡연력을 가진 흡연자 등)을 대상으로 폐암검진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 갑년(Pack year)은 1년간 하루 한 갑씩 흡연했을 때를 기준으로 한 담배소비량으로, 30갑년은 매일 1갑씩 30년 또는 매일 2갑씩 15년 등 의미

 ○ 또한, 암유병자 160만명 시대를 맞아 암생존자와 가족에게 건강관리와 사회경제적 지원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암생존자 통합지지 시범사업을 도입하였다.
      * 시범사업 기관: 국립암센터 및 6개 지역암센터

 ○ 호스피스의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국립암센터를 중앙호스피스센터로 지정하고, 서비스 유형 다양화를 위해 가정형* 및 자문형** 호스피스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 (가정형) 의사, 전담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이 가정으로 직접 방문하여 호스피스서비스 제공

     ** (자문형) 자문형 호스피스팀이 일반병동이나 외래에서 질환치료 담당의사와 협력하여 말기환자에게 호스피스 상담과 서비스 제공


□ 2018년부터는 올해 시행한 신규 시범사업의 평가를 거쳐 확산 모델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 암생존자와 말기암 환자를 위한 암생존자 통합지지사업 및 호스피스완화의료 사업의 표준화 프로그램 개발?운영, 평가체계 마련 등 사업을 지속적으로 활성화해 나간다.

   - 특히, 소아청소년암의 경우 발병양상, 진행경과, 지원 수요 등이 성인암과는 양상이 매우 다르므로, 소아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한 암생존자 통합지지와 호스피스 사업 모형을 개발할 예정이다.

 ○ 폐암검진 시범사업은 비용효과 분석과 동시에 폐암검진기관 지정기준, 질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등 2019년부터 단계적으로 본사업을 도입하기 위한 준비를 해 나갈 예정이다.

 ○ 이와 더불어, 대장암검진 대상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불필요한 중복검사를 방지하고, 대장암검진 본인부담금을 면제하는 등 제도를 개선한다.

 ○ 마지막으로, 암 연구조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암환자 지리정보시스템 및 국가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등 암관리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 보건복지부 2017-12-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13 정부, 4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2 23
4912 중산층을 위한 공공전세주택 공급 속도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9 23
4911 4월은 부가가치세 예정신고·고지 납부하는 달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9 23
4910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지원대상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5 23
4909 4월 1일부터 올해 공공주택 입주자 모집 달력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1 23
4908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소상공인 산재.고용보험료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4 23
4907 2021년 1월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4 23
4906 국민권익위, “군(軍) 무단점유 사유지, 재판에서 이겨도 반환은 하세월… 더 이상은 안 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9 23
4905 장기기증자 및 유가족 예우 강화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16 23
4904 식약처, 족발.보쌈 등 배달음식점 집중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3 23
4903 동물학대 처벌 엄중하게, 반려동물 안전관리 촘촘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0 23
4902 가맹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9 23
4901 배달대행 플랫폼 사업자 배달기사 간 계약서 자율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1 23
4900 식품 표시, 이젠 '표시봇'으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9 23
4899 국세청의 비대면 서비스! 모바일 홈택스[손택스] 전면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4 23
Board Pagination Prev 1 ...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