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면역력이 약해지기 쉬운 겨울철에 자주 발생하는 ‘대상포진’ 예방 백신의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접종 전‧후 유의사항, 백신 접종 후 이상사례 등의 정보를 담은 ‘대상포진 백신 안내문’을 전국의 보건소 및 의료기관 등에 배포한다고 밝혔다.
○ 이번 안내문은 최근 환자 수가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국가필수예방접종백신’에 비해 안전사용 정보가 비교적 적게 알려져 있는 대상포진 예방백신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문가와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 국가필수예방접종백신(14종) 대상질환 : 결핵(BCG), B형간염,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P), 폴리오, b형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Hib), 폐렴구균,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MMR), 수두, A형간염, 일본뇌염,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인플루엔자, 장티푸스, 신증후군출혈열
○ 대상포진 환자 수는 면역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스트레스 증가, 인구 고령화 등의 요인으로 ‘10년 약 48만명에서 `16년 약 69만명으로 증가하였으며, 해당 질환으로 치료를 받은 요양급여도 ’10년 약 444억원에서 `16년 약 803억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 대상포진환자수(건강보험심사평가원) : `10년(483,533명) → `12년(577,157명), `14년(648,280명) → `16년(691,399명)

□ 안내문의 주요 내용은 ▲대상포진 정의 및 예방백신 효과 ▲대상포진 예방백신 접종 전·후 유의사항 ▲접종 후 이상사례 시 대응요령 등이다.
〈 대상포진 정의 및 예방백신 효과 〉
○ 대상포진(Shingles, Herpes Zoster, Zoster)은 피부에 발진과 수포가 띠를 두른 모양(대상, 帶狀)의 질환으로 수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 과거 수두에 걸렸던 환자에서 수두바이러스가 몸속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활동하여 질병을 유발하며, 발생 전·후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 국내에 허가된 ‘대상포진 백신(2개 품목)’은 만 50세 이상 성인에서의 대상포진을 예방할 수 있으며, 주로 60세 이상에서 접종이 권장된다.
〈 대상포진 예방백신 접종 전·후 유의사항 〉
○ 접종 전에는 대상포진 예방백신의 효과와 이상사례 등을 의사와 상담한 후 접종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며, 발열 등 급성 병증이 있거나 활동성 결핵 환자의 경우 완치 후 접종하는 것이 권장된다.
- 젤라틴·네오마이신 등 백신 성분에 대해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사람, 항암치료중이거나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등의 면역억제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임신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의 경우에도 접종을 피해야 한다.
○ 접종 후에는 접종 부위를 손대지 말고 깨끗하게 유지하고 약 30분 동안 의료기관에서 머물면서 아나필락시스 쇼크 등 급성 알레르기와 같은 이상사례가 나타나는지 살피고, 귀가 후에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한다.
- 접종 후 최소 3일 동안 관심을 가지고 몸 상태를 관찰하고 고열,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평소와 다른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 특히, 다른 질병 치료를 하는 경우 접종 시기, 백신 종류 등을 반드시 의사에게 알려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 접종 후 이상사례 시 대응요령 〉
○ 백신을 접종한 후 주사부위의 통증, 부종, 발진이나 약간의 두통, 근육통, 발열 오심과 같은 경미한 이상사례는 접종 후 나타날 수 있다.
- 하지만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거나 이상사례가 심해지거나 지속되는 경우 또는 다른 전신적인 이상사례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백신접종 후 이상사례가 발생한 경우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전화: 1644-6223), 온라인(www.drugsafe.or.kr) 또는 이메일(kids_qna@drugsafe.or.kr)로 신고하면 된다.

□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자들이 백신에 대해 올바로 알고 접종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12-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11 해외직구 배송대행 서비스‘미배송·배송지연’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6 2019.07.31
3010 밸런스 바이크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9.07.31
3009 보트형 대형 튜브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07.31
3008 중고 카시트 구입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8 2019.08.01
3007 낙뢰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8.01
3006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9.08.02
3005 편리한 전기모기채,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9.08.09
3004 식중독 예방 위한 개인 위생관리는 손 씻기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08.09
3003 에어바운스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2 2019.08.13
3002 영유아용 과일퓨레, 당류 함량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9.08.13
3001 여름 불청객, 벌 쏘임 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9.08.19
3000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08.20
2999 플라스틱 섭취 줄이는방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0 2019.08.21
2998 신학기 초등학생 교통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9.08.22
2997 자동차 이동 시 어린이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19.08.27
2996 홍콩에 1단계 여행경보(남색경보-여행유의)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9.08.28
2995 전동휠체어 의료용 스쿠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08.29
2994 초가을 9월에는 야외활동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08.29
2993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8.30
2992 일본뇌염 첫 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19.09.02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