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표시기준 부적합 제품 많아 개선 필요 -

최근 건강식을 선호하는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된장·청국장 제품이 판매되고, 특히 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조된 한식된장*이 시장에 다수 출시·유통되는 추세이다.

* 한식된장이란 한식메주에 식염수를 가하여 발효한 후 여액을 분리한 것을 말함.(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2017-57호)

그러나 전통 방식으로 제조되는 한식된장과 청국장은 균주 관리의 어려움으로 곰팡이독소** 발생 가능성이 있어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

** 곰팡이독소란 곰팡이에서 유래하는 독성물질로 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파툴린 등이 있으며, 장류에서는 총아플라톡신(B1, B2, G1, G2의 합)과 아플라톡신 B1의 함량을 제한하고 있음.(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2017-57호)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국민식품인 된장·청국장에 대한 안전정보 제공을 위해 시중 유통 중인 30개 제품(한식된장, 청국장 각 15개)의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총아플라톡신과 아플라톡신 B1은 전 제품이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일부 제품의 표시는 기준에 부적합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제품 아플라톡신 기준이내 검출

한식된장 15개 중 5개 제품에서 총아플라톡신이 0.1~3.9㎍/㎏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기준(15.0㎍/㎏이하) 이내였고, 아플라톡신 B1 또한 0.1~ 2.8㎍/㎏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기준(10.0㎍/㎏이하)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국장은 조사대상 15개 전 제품에서 아플라톡신이 불검출되었다.

제품의 절반이 표시기준에 부적합

조사대상 30개 중 15개 제품(50.0%)이 ‘식품등의 표시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식품유형, 용기·포장재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등을 일부 누락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시사항별로는 알레르기 유발물질*(15개, 50.0%) 표시가 가장 많이 누락되었다.

* 대두, 땅콩 등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은 원재료명 표시란 근처에 별도의 알레르기 표시란을 마련하여 알레르기 표시대상 원재료명을 표시하여야 함(식품등의 표시기준 제2016-149호).

특히 한식된장과 청국장은 대표적인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대두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절반에서 알레르기 유발물질임을 별도 구분표시하지 않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개별표시사항*의 제품표시 현황 ]

구분제품명

식품

유형

업소명

및 소재지

유통기한또는

품질유지기한

내용량원재료명용기·포장재질보관방법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품30개 (100%)27개 (90%)30개 (100%)30개 (100%)27개 (90%)29개 (96.7%)27개 (90%)30개 (100%)15개 (50%)

* 개별표시사항이란 ‘식품등의 표시기준’에서 정한 제품별 의무표시사항임.

한식된장·청국장 제품, 표시기준 준수 및 관리·감독 강화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에게 보다 정확한 제품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표시기준 위반 사업자에게는 ▲제품 표시 개선을 권고하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한식된장·청국장 제품의 표시 관리·감독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은 향후에도 국민의 먹거리 안전과 관련된 실태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소비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7-12-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211 녹농균 감염 위험 있는 Method 핸드워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1.01.27
1210 노후아파트, 전기안전 취약하고 화재 위험 높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7.11.02
1209 노인요양시설 내 대형가전 전기화재 위험 상존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19.03.07
1208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시장·병원 주변에서 많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10.18
1207 노로바이러스 예방수칙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2.13
1206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18.11.07
1205 노닐페놀이 과다하여 장기 손상 위험이 있는 Haglofs 스포츠 장갑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2.15
1204 네일서비스, 계약해지 거부 및 위약금 과다 청구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6.29
1203 네오디뮴 구슬자석 영유아 삼킴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3.08.14
1202 냉장보관 필요 표시사항을 누락한 델리 카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1.09.13
1201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 장기사용제품 화재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0.10.20
1200 냉동만두 관련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2.07
1199 냉기 안 나오는 ‘미니 에어컨’ 해외직구 주의하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8.18
1198 내장제 박테리아 오염이 확인된 Lamaze 치아발육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1.12
1197 내장된 전지를 삼킬 경우 질식 위험 있는 장난감 풍선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35 2015.10.28
1196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5.17
1195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4.05.17
1194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17
1193 내용물 새어나와 피부 자극 위험 있는 X-14 세정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10.05
1192 내부 단락 발생 가능성 있는 Anker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3.04.06
Board Pagination Prev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