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본부, 심근경색·뇌졸중 조기증상 발생 시, 신속히 응급실로 가기를 당부
 - 심근경색·뇌졸중 조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도움 요청
   * (심근경색) 갑작스런 가슴 통증, 호흡곤란, 식은땀, 구토, 현기증, 통증 확산
   * (뇌졸중) 한쪽 마비, 갑작스런 언어장애, 시야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소개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겨울철 심근경색 및 뇌졸중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연락하여 신속하게 응급실에 가기를 당부하였다.

 ○ 요즘처럼 추운 날씨엔 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심뇌혈관질환 중 특히 심근경색과 뇌졸중이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 심근경색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혈전(피떡)에 의해 갑자기 막혀서 심장근육이 죽어 사망에 이르는 질환
    ※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져서(뇌출혈) 사망에 이르거나 뇌 손상으로 인한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

 ○ 지난 10년간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겨울철과 일교차가 큰 3월이 여름철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림1. <2007년~2016년 허혈성 심장질환 월별 사망자수>
그림2. <2007년~2016년 뇌혈관질환 월별 사망자수>

[자료원]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

□심근경색과 뇌졸중은 주요한 사망원인으로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나,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사망과 장애를 막을 수 있다.

 ○ 일상생활 시, 갑작스런 가슴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되거나 호홉곤란, 식은땀, 구토, 현기증 등이 나타날 때 심근경색을 의심해야 한다.

 ○ 또한 한쪽 마비, 갑작스런 언어 및 시각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등은 뇌졸중의 조기 증상이다.


그림3. 심근경색 및 뇌졸중의 조기증상

□ 심근경색과 뇌졸중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연락하여, 가장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

 ○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치료는 증상 발생 후 빨리 시작해야 결과가 좋으며, 적정한 치료를 위한 골든타임은 심근경색 2시간 이내, 뇌졸중 3시간 이내이다.

 ○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증상을 조기에 인지하고, 적정한 치료를 받은 경우, 장애 없이 치료된 실제 사례는 많이 있다. (붙임4 참조)


그림4. 심근경색 및 뇌졸중 발생 시 대처요령


□또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평소 정기적인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확인과 9대 생활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흡연, 음주, 신체활동 부족 등 생활습관 요인과 선행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심근경색과 뇌졸중 같은 중증 심뇌혈관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 심뇌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한 9대 생활수칙은 다음과 같다.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1. 담배는 반드시 끊습니다.
2.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입니다.
3.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4. 가능한 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5.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6.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7.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합니다.
8.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9. 뇌졸중, 심근경색증의 응급 증상을 숙지하고 발생 즉시 병원에 갑니다.

 


[ 보건복지부 2017-12-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33 “ 죽음에 이르는 질식사고,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03.15
2432 식약처, 발사르탄(고혈압약 원료) 복용환자 영향평가 결과 및 추가 조사현황 등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12.20
2431 온라인 광고대행 관련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9.12.03
2430 무더운 날씨에는 이물 혼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0.07.15
242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Black Pepper Organic 후춧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1.01.28
2428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Lake Champlain Chocolates 초콜릿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1.03.18
2427 농기계 사고 절반은 경운기 운행 중 발생, 이중 74%가 전도 및 추락!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1.03.18
2426 머리 보호 기능이 미흡한 TurboSke 어린이용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1.10.08
2425 학교 응급처치 교육, 실습 확대로 교육 실효성 높여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2.05.31
2424 국민의 의견을 들어 안전감찰을 추진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18.10.11
2423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19.10.24
2422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0.04.27
2421 가을철 야외활동, 말벌 등 독성생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0.09.25
242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ilantro Organic 고수잎)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1.28
2419 끓였던 음식이면 무조건 안전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4.12
2418 벨트 버클 불량품이 혼재되어 있는 코스파 가방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5.13
2417 만트럭버스코리아(주) 덤프트럭 1,868대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6.08
2416 온도조절장치 하자로 화재 발생 위험 있는 Girmi 가정용 튀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6.24
2415 살모넬라균감염증 환자 신고 증가, 예방 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8.12
2414 체증형 종신보험 가입시 유의하세요!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8.25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