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본부, 심근경색·뇌졸중 조기증상 발생 시, 신속히 응급실로 가기를 당부
 - 심근경색·뇌졸중 조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도움 요청
   * (심근경색) 갑작스런 가슴 통증, 호흡곤란, 식은땀, 구토, 현기증, 통증 확산
   * (뇌졸중) 한쪽 마비, 갑작스런 언어장애, 시야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소개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겨울철 심근경색 및 뇌졸중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연락하여 신속하게 응급실에 가기를 당부하였다.

 ○ 요즘처럼 추운 날씨엔 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심뇌혈관질환 중 특히 심근경색과 뇌졸중이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 심근경색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혈전(피떡)에 의해 갑자기 막혀서 심장근육이 죽어 사망에 이르는 질환
    ※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져서(뇌출혈) 사망에 이르거나 뇌 손상으로 인한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

 ○ 지난 10년간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겨울철과 일교차가 큰 3월이 여름철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림1. <2007년~2016년 허혈성 심장질환 월별 사망자수>
그림2. <2007년~2016년 뇌혈관질환 월별 사망자수>

[자료원]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

□심근경색과 뇌졸중은 주요한 사망원인으로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나,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사망과 장애를 막을 수 있다.

 ○ 일상생활 시, 갑작스런 가슴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되거나 호홉곤란, 식은땀, 구토, 현기증 등이 나타날 때 심근경색을 의심해야 한다.

 ○ 또한 한쪽 마비, 갑작스런 언어 및 시각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등은 뇌졸중의 조기 증상이다.


그림3. 심근경색 및 뇌졸중의 조기증상

□ 심근경색과 뇌졸중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연락하여, 가장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

 ○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치료는 증상 발생 후 빨리 시작해야 결과가 좋으며, 적정한 치료를 위한 골든타임은 심근경색 2시간 이내, 뇌졸중 3시간 이내이다.

 ○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증상을 조기에 인지하고, 적정한 치료를 받은 경우, 장애 없이 치료된 실제 사례는 많이 있다. (붙임4 참조)


그림4. 심근경색 및 뇌졸중 발생 시 대처요령


□또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평소 정기적인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확인과 9대 생활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흡연, 음주, 신체활동 부족 등 생활습관 요인과 선행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심근경색과 뇌졸중 같은 중증 심뇌혈관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 심뇌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한 9대 생활수칙은 다음과 같다.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1. 담배는 반드시 끊습니다.
2.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입니다.
3.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4. 가능한 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5.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6.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7.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합니다.
8.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9. 뇌졸중, 심근경색증의 응급 증상을 숙지하고 발생 즉시 병원에 갑니다.

 


[ 보건복지부 2017-12-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39 향료 HICC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화장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3.01.13
2738 ‘로타바이러스 백신’안전하게 접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1.19
2737 수두·유행성이하선염 증가 시기,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4.11
2736 여름의 끝 8월에는 어떤 재난에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7.27
2735 유행성각결막염 지속 증가, 예방수칙 철저히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8.27
2734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8.29
2733 일부 어린이 샌들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9.06
2732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시장·병원 주변에서 많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10.18
2731 닭고기 안전하게 섭취하려면 교차오염에 특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9.01.29
2730 유해물질 함유된 키스(KISS) 인조손톱 세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0.04.13
2729 어린이 안전용기 사용하지 않은 Rocky Mountain Oils 에센셜오일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01.28
2728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TY.UK.LTD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02.01
2727 종합마트 GJMAR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04.22
272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 (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04.28
2725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긴팔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05.03
2724 과도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A艾美特 전기 히터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11.04
2723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04.11
2722 인체 접촉성 합성수지·합성가죽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04.13
2721 본격적인 영농기,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04.14
2720 화재, 화상 위험 있는 Sinbo 토스트(샌드위치) 메이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10.17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