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저체온증 및 동상을 예방하여 건강한 겨울나기를 해보세요.

작년 겨울 크리스마스를 맞이하여 어린자녀(8세, 여)와 함께 눈썰매장을 찾았던 김씨는(40세, 남) 한달간 아이를 데리고 병원치료를 받아야 했다. 겨울방학을 맞아 아이를 데리고 눈썰매장을 다녀온 후 아이가 춥고, 손이 차갑다는 말에 마음이 급해진 김씨는 뜨거운 물에 아이의 손ㆍ발을 씻겼다. 그날 저녁 아이의 손은 얼룩덜룩해지며 부어오르고, 간지럽고 아프다며 잠을 못 이루는 바람에 결국 늦은 밤 찾아간 병원 응급실에서 2도 동상으로 진단받았다. 두꺼운 외투 속에서 젖은 몸이 찬바람과 만나 동상으로 진행됐고, 뜨거운 물에 의한 화상이 동상 증상을 악화시켰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정기혜)은 올 겨울 들어 한파가 일찍 찾아오면서 저체온증이나 동상과 같은 한랭질환자가 잇달아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법 및 응급처지 방법을 안내하였다.

우리 몸은 차가운 환경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체온을 잃어버려 저체온증이나 동상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즉각적인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의식손상 및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어 증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예방을 위한 자기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최근 5년간 저체온증 환자 수가 약 40% 증가하였고,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붙임1(우리나라 저체온증 및 동상 질환 현황) 참조

저체온증과 동상은 추운날씨와 관련이 깊은 질환인 만큼, 시기적으로 겨울철(12~2월), 기온이 낮을수록 환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 기온과 사망과의 관계를 연구한 국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기온이 1℃ 낮아질 때마다 일 총 사망자수는 1.35% 증가하고, 심혈관계 질환 사망자수는 1.72%, 호흡기계 질환 사망자수는 3.30%, 뇌혈관계질환 사망자수는 1.25% 증가 Ryti, N. R.. I., Guo, Y., & Jaakkola, J. J. K. (2016) Global association of cold spells and adverse health effec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24(1), pp12-22 한다고 보고되었다.

겨울철 기온 하강으로 인한 저체온증ㆍ동상 질환은 영유아, 만성질환자, 노인에게 더 위험이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체지방이 적고, 대사율이 떨어져 열을 잘 만들어내지 못하는 노인과 체표면적이 넓고 피하지방이 부족하여 열손실이 쉽게 발생하는 영유아는 저체온증에 쉽게 걸릴 수 있다.

또한, 혈관의 수축과 팽창에 의한 체온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자(고혈압, 당뇨병, 말초혈관질환자등) 역시 저체온증에 취약한 집단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저체온증 및 동상질환의 외래환자수 분포를 보면, 저체온증의 경우 영유아와 노인의 환자수가 높다.

노인의 한랭질환 응급의료 발생률 또한, 인구 10만명 당 65세 이상이 2.38명, 심지어 80세 이상은 4.40명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하여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겨울철 일상생활에서 저체온증과 동상 예방을 위하여 염두에 둘 것은 ‘방한과 체온유지’이다.

<어린이가 야외 활동을 할 경우>

눈썰매장 등 겨울 활동 시 방한의류와 방수부츠 착용은 필수이며, 노출에 의한 동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방한모자, 마스크, 스카프 등으로 얼굴을 충분히 감싸주도록 한다.

또한 방수 소재의 손목에 밴드 처리된 패딩 벙어리장갑을 착용하도록 한다.

<산행, 산책 등 외출하는 경우>

활동성 있는 보온 내복과 방풍 기능이 있는 보온용 외투를 착용하며, 미끄럼 방지기능이 있는 신발을 착용하도록 한다.

또한 산행의 경우 비상식량 및 식수를 넣을 수 있는 배낭과 등산용 스틱을 준비하여야한다. 또한, 찬바람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한모자, 마스크, 스카프 등을 착용하여야 한다.

<연말 송년회와 신년모임에서 음주할 경우>

음주에 의한 알콜 분해과정에서 우리 몸은 일시적으로 체온이 오르고 다시 체온이 떨어지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 음주로 인한 뇌 인지기능 저하 및 중추신경계 둔화 등으로 체온조절 능력이 떨어져 추위를 느끼지 못하고 저체온증에 걸리고 만다.

술을 마신 후에는 몸을 더욱 따뜻하게 하거나 따뜻한 음식을 먹도록 한다.

저체온증과 동상 질환이 의심되면 다음과 같이 응급처치를 하고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도록 한다.

저체온증의 증상과 징후는 서서히 천천히 일어난다. 초기에는 온몸 특히 팔다리의 심한 떨림 증상이 발생하며 더 진행되면 언어이상, 근육운동 무력화에서 심할 경우 착란이나 사망까지 불러올 수 있다.

동상은 통증이 수반되는 증상이지만, 장기간 추위에 노출되면 무감각해 질수 있다. 피부색이 흰색 혹은 누런 회색으로 변했거나, 촉감이 비정상적으로 단단하거나 감각이 없으면 동상을 의심해야한다.

응급처치 방법은 ① 따뜻한 방이나 장소로 이동하여 ② 젓은 옷을 제거한 뒤, ③ 따뜻하고 마른 담요 등으로 몸 전체를 감싸야한다.

저체온증의 경우 중심체온을 올리기 위하여 겨드랑이, 배 등에 핫팩 등 더운 물통을 올려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동상의 경우에는 따듯한 물(38-42℃)에 20-40분간 담그되 급격한 온도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뜨거운 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심하게 비비거나 긁는 것도 조직 손상을 촉진시키는 행위이므로 삼가야 하며, 술, 담배는 혈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행위이므로 절대 삼가도록 한다.

인제대학교 백병원 가정의학과 강재헌 교수는 "지금처럼 아침기온이 영하를 밑돌고 한낮에도 매서운 추위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내복을 입어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겉옷을 여러 벌 겹쳐 입어 공기층에 의한 보온효과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이번에 안내하는 예방법 및 응급처치 요령이 저체온증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건강한 자기관리를 위한 유용한 건강정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7-12-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739 여름철 대비, 고위험군 예방접종 적극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7.10
738 롯데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7.12
737 리커머스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7.12
736 말라리아 매개모기 증가, 방역 강화와 신속한 진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7.12
735 CMIT·MIT 표시사항 누락된 Clementoni 다목적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7.12
734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 유해물질 과다 함유한 유아용 스마트워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7.12
733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 유해물질 과다 함유한 Music LED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7.12
732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 유해물질 과다 함유한 유아용 디지털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12
731 제조결함으로 인한 화재 우려로 리콜된 Kemey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12
730 석면을 함유한 부품이 포함되어 리콜된 Vevor 에센셜 오일 증류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7.12
729 파워보드 부품불량으로 화재 우려 있는 LG Electronics(호주법인) SMART TV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3.07.12
728 접지단자 불량으로 감전 우려 있는 Micarro 에어프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3.07.12
727 스테로이드 계열 의약품 성분이 포함된 Jamu Tea Black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7.12
726 중금속 잔류물질이 존재하는 직물로 포장된 ALBERT MENES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7.12
725 미승인 성분 포함으로 리콜된 Sante 안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3.07.12
724 유해 성분 과다 함유한 HuPop 유아용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13
723 과산화수소 과다 검출된 Crest 치아미백스트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7.13
722 카드뮴 과다 검출된 뱀 모양 반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3.07.13
721 화재 및 감전 위험있는 Tyzygmy 리튬 배터리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3.07.13
720 작동 불량으로 사고ㆍ부상 위험있는 BQQZHZ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13
Board Pagination Prev 1 ...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