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최근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감염증(RSV) 발생 증가 지속
◇ 6세 이하 영유아에서 발생이 높으므로 예방 수칙 준수
   - 올바른 손씻기, 다중이용시설 가지 않기, 영유아 용품 소독하기 등
◇ 산후조리원, 보육시설 등 집단시설의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 철저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감염증 입원환자가 최근 0~6세 영유아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등 영유아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 2017년 47주(11.19.~11.25.) 기준 RSV는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의 원인 바이러스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0~6세의 영유아가 RSV 감염증 환자의 대부분(96.2%)**을 차지하였다.
   *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RSV 감염증 입원환자 수 ’17년 44주(10.29.∼11.4.) 581명 → 45주(11.5.∼11.11.) 784명 → 46주(11.12.∼11.18.) 882명 → 47주(11.19.∼11.25.) 1,089명으로 4주간 증가 지속
  ** 2017년 47주차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입원환자 1,089명 중 0∼6세는 1,048명

 ○ RSV는 2세 미만의 소아에서 감기처럼 시작하여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주로 발생하며 유행시기마다 재감염될 수 있어 철저한 호흡기감염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산후조리원 RSV 감염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지난 8월 산후조리원 감염병 관리지침을 배포했고, 이후 산후조리원용 예방 홍보 포스터를 개발하여 배포(’17.12.6.)하였다.

 ○ 이에, 산후조리원 등에서는 지침 및 홍보물을 활용하여 RSV 예방 관리 활동을 강화하고, RSV 감염증이 발생한 경우 환자격리 및 치료를 실시하는 등 RSV 감염증 예방·관리 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예방·관리수칙 ▶

 

 
 □ 일반 예방·관리수칙
  •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환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등
  • 기침예절 실천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자기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 영유아가 있는 가정이나 시설의 예방·관리수칙
  • 영유아를 만지기 전에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하기
  • 감기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영유아가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하기
  • 영유아가 백화점, 놀이 시설 등 사람이 많은 장소에 가지 않도록 하기
  • 영유아 장난감, 이불, 환경표면 등을 자주 세척·소독하기
  • 유아용 젖꼭지, 식기, 칫솔, 수건 등 개인 물품을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기

 □ 산후조리원 예방·관리수칙
   • 신생아를 접촉 전․후로 올바른 손씻기(분유 준비 전․후, 먹이기 전․후, 기저귀 교환 전․후 등)
   •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 근무 제한
   • 호흡기 증상자 출입 제한
   • 호흡기 증상이 있는 신생아는 다른 별도 공간에서 격리하여 돌보기
 


[ 보건복지부 2017-12-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33 유해물질 함유된 키스(KISS) 인조손톱 세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0.04.13
3032 유해물질 함유된 Tina Davies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0.04.13
3031 유해물질 함유된 KELY 푸쉬업 운동기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0.04.13
3030 유해물질 함유된 IKEA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3.18
3029 유해물질 함유된 Bloodlin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2.17
3028 유해물질 함유되어 발암 위험 있는 Clear Essence 바디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0.04.13
3027 유해물질 함유되어 발암 위험 있는 BECO 수영장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20.05.21
3026 유해물질 기준을 초과한 무선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5.07
3025 유해물질 기준을 위반한 USB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9.18
3024 유해물질 기준 초과 검출된 Intenz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0.04.13
3023 유해물질 과다 함유된 반려동물용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16
3022 유해물질 검출된 Sportmix 개사료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1.02.26
3021 유해물질 검출된 Sportmix 개사료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1.02.26
3020 유해물질 검출된 SCARPA 암벽화 리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0.04.13
3019 유해물질 검출된 HoldPeak 디지털 전압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0.05.21
3018 유해물질 검출된 '셀라인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69 2016.10.21
3017 유해물질 검출된 '골든로즈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15 2016.10.21
3016 유해물질 검출된 '갤럭시 프로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17 2016.10.21
3015 유해 성분 함유된 Flytrap 해충퇴치제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08
3014 유해 성분 과다 함유한 HuPop 유아용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13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