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최근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감염증(RSV) 발생 증가 지속
◇ 6세 이하 영유아에서 발생이 높으므로 예방 수칙 준수
   - 올바른 손씻기, 다중이용시설 가지 않기, 영유아 용품 소독하기 등
◇ 산후조리원, 보육시설 등 집단시설의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 철저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감염증 입원환자가 최근 0~6세 영유아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등 영유아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 2017년 47주(11.19.~11.25.) 기준 RSV는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의 원인 바이러스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0~6세의 영유아가 RSV 감염증 환자의 대부분(96.2%)**을 차지하였다.
   *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RSV 감염증 입원환자 수 ’17년 44주(10.29.∼11.4.) 581명 → 45주(11.5.∼11.11.) 784명 → 46주(11.12.∼11.18.) 882명 → 47주(11.19.∼11.25.) 1,089명으로 4주간 증가 지속
  ** 2017년 47주차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입원환자 1,089명 중 0∼6세는 1,048명

 ○ RSV는 2세 미만의 소아에서 감기처럼 시작하여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주로 발생하며 유행시기마다 재감염될 수 있어 철저한 호흡기감염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산후조리원 RSV 감염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지난 8월 산후조리원 감염병 관리지침을 배포했고, 이후 산후조리원용 예방 홍보 포스터를 개발하여 배포(’17.12.6.)하였다.

 ○ 이에, 산후조리원 등에서는 지침 및 홍보물을 활용하여 RSV 예방 관리 활동을 강화하고, RSV 감염증이 발생한 경우 환자격리 및 치료를 실시하는 등 RSV 감염증 예방·관리 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예방·관리수칙 ▶

 

 
 □ 일반 예방·관리수칙
  •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환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등
  • 기침예절 실천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자기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 영유아가 있는 가정이나 시설의 예방·관리수칙
  • 영유아를 만지기 전에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하기
  • 감기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영유아가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하기
  • 영유아가 백화점, 놀이 시설 등 사람이 많은 장소에 가지 않도록 하기
  • 영유아 장난감, 이불, 환경표면 등을 자주 세척·소독하기
  • 유아용 젖꼭지, 식기, 칫솔, 수건 등 개인 물품을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기

 □ 산후조리원 예방·관리수칙
   • 신생아를 접촉 전․후로 올바른 손씻기(분유 준비 전․후, 먹이기 전․후, 기저귀 교환 전․후 등)
   •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 근무 제한
   • 호흡기 증상자 출입 제한
   • 호흡기 증상이 있는 신생아는 다른 별도 공간에서 격리하여 돌보기
 


[ 보건복지부 2017-12-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1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된 M.Asam 파운데이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1.14
3150 성분 오표기된 CAC 아이라이너 펜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11.14
3149 성분 오표기된 CAC 아이브로우 펜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1.14
3148 성분 오표기된 CAC 블러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14
3147 전자몰 / JEONJAMALL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2.11.11
3146 해외 브랜드 노트북 A/S 관련 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0
3145 동남아 방문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11.01
3144 가을철 야외작업자 “진드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10.31
3143 건설하도급거래 분쟁 및 피해 예방을 위한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2.10.31
3142 소비자원-가스안전공사, 헬륨가스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10.28
3141 가을 수확철,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26
3140 ATOR / 아또르 옵티칼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2.10.26
3139 가을철 야외활동 시, 쯔쯔가무시증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0.21
3138 으뜸전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0.20
3137 샴푸 제조·판매 사업자에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 (알레르기 유발물질) 사용 중지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9 2022.10.18
3136 후방 디스크 브레이크 구멍에 손가락 부상 위험 있는 UPPAbaby 유모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10.18
3135 일차방향족 아민 용출된 Quttin 국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0.18
3134 붕소 과다 검출된 유니콘 슬라임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10.18
3133 알러지 및 접촉성 피부염 유발 성분 함유된 Jack Hope 향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10.18
3132 알러지 및 접촉성 피부염 유발 성분 함유된 Al Haramain 향수(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0.18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