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최근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감염증(RSV) 발생 증가 지속
◇ 6세 이하 영유아에서 발생이 높으므로 예방 수칙 준수
   - 올바른 손씻기, 다중이용시설 가지 않기, 영유아 용품 소독하기 등
◇ 산후조리원, 보육시설 등 집단시설의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 철저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감염증 입원환자가 최근 0~6세 영유아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등 영유아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 2017년 47주(11.19.~11.25.) 기준 RSV는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의 원인 바이러스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0~6세의 영유아가 RSV 감염증 환자의 대부분(96.2%)**을 차지하였다.
   *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RSV 감염증 입원환자 수 ’17년 44주(10.29.∼11.4.) 581명 → 45주(11.5.∼11.11.) 784명 → 46주(11.12.∼11.18.) 882명 → 47주(11.19.∼11.25.) 1,089명으로 4주간 증가 지속
  ** 2017년 47주차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입원환자 1,089명 중 0∼6세는 1,048명

 ○ RSV는 2세 미만의 소아에서 감기처럼 시작하여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주로 발생하며 유행시기마다 재감염될 수 있어 철저한 호흡기감염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산후조리원 RSV 감염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지난 8월 산후조리원 감염병 관리지침을 배포했고, 이후 산후조리원용 예방 홍보 포스터를 개발하여 배포(’17.12.6.)하였다.

 ○ 이에, 산후조리원 등에서는 지침 및 홍보물을 활용하여 RSV 예방 관리 활동을 강화하고, RSV 감염증이 발생한 경우 환자격리 및 치료를 실시하는 등 RSV 감염증 예방·관리 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예방·관리수칙 ▶

 

 
 □ 일반 예방·관리수칙
  •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환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등
  • 기침예절 실천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자기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 영유아가 있는 가정이나 시설의 예방·관리수칙
  • 영유아를 만지기 전에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하기
  • 감기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영유아가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하기
  • 영유아가 백화점, 놀이 시설 등 사람이 많은 장소에 가지 않도록 하기
  • 영유아 장난감, 이불, 환경표면 등을 자주 세척·소독하기
  • 유아용 젖꼭지, 식기, 칫솔, 수건 등 개인 물품을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기

 □ 산후조리원 예방·관리수칙
   • 신생아를 접촉 전․후로 올바른 손씻기(분유 준비 전․후, 먹이기 전․후, 기저귀 교환 전․후 등)
   •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 근무 제한
   • 호흡기 증상자 출입 제한
   • 호흡기 증상이 있는 신생아는 다른 별도 공간에서 격리하여 돌보기
 


[ 보건복지부 2017-12-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311 Collegiate 말안장, 사용자 낙상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2 2019.06.14
1310 삼성전자 빌트인 셰프컬렉션 냉장고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1 2019.06.14
1309 여름철 무더위 냉방기 화재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6.12
1308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9.06.07
1307 식중독의 계절, 안전하고 건강하게 여름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9.06.05
1306 살구씨 식품 섭취 시 시안화중독 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06.04
1305 국세청 사칭, 이메일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6.03
1304 초여름 더위에 식중독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9.05.23
1303 내가 사는 아파트 피난시설,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19.05.23
1302 허용외 타르색소 검출 태국산 수입 과실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5 2019.05.23
1301 0∼1세 영아, 고데기 화상 사고 빈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1 2019.05.22
1300 봄철 독나물 식중독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9.05.17
1299 Nutiva 코코넛 오일, 기준치 초과하는 벤조피렌 성분 검출 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19.05.16
1298 Lee’s Tea 찻잎,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9.05.16
1297 Envirokidz 시리얼, 밀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0 2019.05.16
1296 URIAGE 기저귀 크림(Bebe 1er Change/1st Change cream), 살균보조제 성분 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76 2019.05.16
1295 Remedy 피부크림 제품, 곰팡이 오염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9.05.16
1294 Stacker2 식품보조제에 카페인 과다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5.16
1293 비타민D 과량 함유된 Hill’s Pet Nutrition 애완견 사료 이상증상 유발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19.05.16
1292 Wowmax 봉제인형, 질식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9.05.16
Board Pagination Prev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