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7년 12월 중국 윈난성에서 AI(H7N9) 환자 1명 발생 보고(홍콩보건부) - 지난 11월에는 중국 광시좡족자치구에서 AI(H5N6) 환자 1명 발생

중국 여행 시 가금류 접촉 주의 및 생가금류 시장 방문 자제하고 입국 시 건강상태질문서 제출, 가금류 접촉 후 10일 이내 발열 및 호흡기 증상 발현시 보건소 또는 ☏1339(질병관리본부 콜센터) 연락

AI(H5N6)은 국내에서도 가금농장과 야생조류에서 발견된 바 있으므로 축산농가ㆍ철새도래지 방문 자제, 손씻기 등 개인위생 철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중국 광시좡족자치구와 윈난성 에서 AI 인체감염 환자가 연이어 보고됨에 따라 중국 여행객은 현지 여행 시 생가금류 시장 방문 및 가금류와의 접촉을 피하고, 손씻기 등 예방수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홍콩보건부 건강보호센터(Centre for Health Protection) 발표 자료에 따르면 중국 광시좡족자치구 구이강(Guigang)에서 지난 11월 7일 AI(H5N6) 인체감염 환자(33세 남성) 1명이 발생하였고, 윈난성에서는 11월 21일 AI(H7N9) 인체감염 환자(64세 남성) 1명이 발생하였다.

AI(H5N6) 인체감염 사례는 2014년 중국에서 최초 발생 보고된 이래로 2016년 11월까지 17명 발생(사망 10명)하였고, 이후 추가 환자 발생이 없었다가 이번 신규 환자 발생으로 현재까지 총 18명 발생하였다(모두 중국에서 발생, 사망 10명).

AI(H7N9) 인체감염 사례는 2013년 중국에서 최초 발생한 이후 매년 10월에서 그 다음해 4월까지 계절적으로 유행하고 있으며, 지난 ’16~’17절기에는 766명이 발생하였다(사망 288명).

* ’13년 이후 ’17년 9월까지 중국 등에서 총 1,622명 발생(사망 619명)

AI 인체감염은 대부분 중국의 생가금류 시장에서 감염된 조류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이번에 발생한 환자도 가금류와 접촉한 것이 확인되었다.

질병관리본부는 외교부와 협조하여 중국 여행객 대상으로 출국 시 AI 인체감염 예방 및 주의 안내 SMS 문자 홍보를 시행하고 있으며, 중국 AI 오염지역 입국자는 입국장게이트 발열감시 및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중국으로 여행하는 국민은 인천공항 3층 출국장 내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에서 중국 내 AI 인체감염증 발생 지역 및 감염예방수칙 안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출국 전 방문하여 건강한 해외여행이 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입국 시 중국 오염지역 방문력이 있는 여행객은 건강상태질문서를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해 줄 것과 입국 시 관련 증상이 있는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검역법 41조에 따라 오염지역 방문 후 건강상태 질문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700만원의 과태료 처분이 적용될 수 있음

입국 후에는 오염지역에서 가금류 접촉 후 10일 이내 발열과 기침, 인후통 등이 발생할 경우 즉시 보건소 또는 ☏1339(24시간 질병관리본부 콜센터)로 신고토록 당부하였다.

또한 질병관리본부는 AI(H5N6)가 지난 ’16~’17절기에 이어 이번 절기에도 국내 가금농장 및 야생조류에서 검출*되었고, AI(H7N9)의 경우 국내 가금농가에서 발생한 적은 없지만 과거 야생조류에서 검출된 사례가 있는 만큼, 인체감염 예방을 위해 축산농가 또는 철새도래지 방문을 자제하고, 30초 이상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할 것을 재차 강조하였다.

* 전북 고창군 육용오리 농장 및 전남 순천시ㆍ제주 제주시 야생조류 분변(’17년 11월)



[ 보건복지부 2017-12-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33 단추형 전지 삼킴 위험 있는 Everything Glows LED 불가사리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12.09
3232 납 및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Leonardo 유리컵 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2.12.09
3231 돌출된 손잡이로 인해 부상 위험 있는 Kidoozie 영유아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12.09
3230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Kidoozie 유아용 놀이 텐트(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2.09
3229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Kidoozie 유아용 놀이 텐트(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2.09
3228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Kidoozie 유아용 놀이 텐트(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2.12.09
3227 부상 및 사망 위험있는 Meguiar 자동차 자가 수리 용품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2.09
3226 사고 및 익사 위험이 있는 Dometic Seastar 선박 케이블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09
3225 발연 및 점화 가능성이 있는 Cuact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기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2.08
3224 감전 및 부상 위험이 있는 Tristar 전기밥솥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12.08
3223 발화 위험이 있는 PACATTO 충전식 연필깎이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2.08
3222 포장 비닐로 인한 질식 위험이 있는 Aiditong 리틀 월드 장난감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08
3221 2-클로로에탄올 존재 가능성 있어 리콜된 Seitenbacher 피트니스 바(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12.08
3220 [소비자경보 2022-17호] 대학입시 및 연말정산 등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8
3219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화이트닝 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12.07
3218 토양 균류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된 Rose de Marrakech 바디미스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2.07
3217 항산화제 TBHQ 함유 가능성 있어 리콜된 Regent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2.12.07
3216 통과한 빛에 화재 위험 있어 리콜된 Birds Choice 새 물통(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2.07
3215 통과한 빛에 화재 위험 있어 리콜된 Birds Choice 새 물통(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2.12.07
3214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화장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12.07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