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겨울철 노로바이러스감염증 발생 증가로 개인위생 및 환경소독 등 예방수칙 준수 당부
 - (평상시) 손씻기, 음식 익혀먹기, 물 끓여 마시기 등 예방수칙 준수
 - (발생시) 염소계 소독제를 이용한 환자사용 물품 및 장소 소독 실시
  ․ 환자가 조리종사자인 경우, 식품을 다루거나 조리하지 않기
  ․ 환자는 공동생활하지 않기


<노로바이러스감염증 예방수칙>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노로바이러스감염증의 신고건수 및 검출률이 증가함에 따라, 적극적인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 우리나라에서 노로바이러스감염증은 겨울철에서 초봄(11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주로 발생하는데, 현재 전국 192개 표본감시기관의 환자 감시 현황에 따르면, 47주(2017.11.19.~11.25.)에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환자 수는 총 133명으로 전 주(89명) 대비 49.4% 증가하였다.
   * 44주(10.29.~11.4.) 61명, 45주(11.5.~11.11.) 70명, 46주(11.12.~11.18.) 89명
 ○ 또한, 급성설사질환 원인바이러스 실험실 감시 결과, 최근 4주간(43주~46주) 노로바이러스 검출률이 증가하였다.
   * 43주(10.22.~10.28.) 10.5%, 44주(10.29.~11.4) 10.7%, 45주(11.5.~11.11.) 15.7%, 46주(11.12.~11.18.) 29.6%

□ 노로바이러스감염증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과 물을 섭취하였거나, 환자 접촉을 통한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한 감염병이다.

 ○ 또한, 노로바이러스감염증 환자가 손을 씻지 않고 만진 수도꼭지, 문고리 등을 다른 사람이 손으로 만진 후 오염된 손으로 입을 만지거나 음식물 섭취 시에도 감염될 수 있다.

 ○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1~2일 안에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그 외 복통, 오한, 발열이 나타나기도 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노로바이러스감염증 감염예방 및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수칙을 발표하고 이를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노로바이러스감염증 예방수칙은 다음과 같다. (붙임3 참조)


< 노로바이러스감염증 예방수칙>


일반인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자주 씻습니다.
  - 특히, 화장실 사용 후, 기저귀 교체 후, 식품 섭취 또는 조리 전
◇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습니다(특히, 굴, 조개류 등).
◇ 물은 끓여 마십니다.

환자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자주 씻습니다.
◇ 환자가 어린이집, 학교 학생일 경우 적어도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없어진 후 2일까지 공동생활을 하지 않습니다.
◇ 식품을 다루거나 조리를 하지 않습니다.

환자의 가족 및 동거인
◇ 환자가 사용한 화장실을 소독하십시오.
◇ 환자가 만졌거나 구토물에 오염된 식품은 폐기하고, 문고리나 물품은 소독하십시오.
◇ 식기는 온수와 세제로 씻고 빨래는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기로 세탁하십시오.
◇ 환자가 발생한 가정은 다른 사람들이 방문을 자제하도록 하고 완쾌한 후 청소와 소독 후 3일 후에 방문하도록 하십시오.
◇ 환자는 다른 가족과 떨어져 다른 방에서 혼자 지내게 하는 것을 권장하며 손 닦는 수건은 각자 따로 사용하십시오.

 ○ 노로바이러스감염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올바른 손씻기, 환경소독, 세탁물관리 등을 실시하고, 환자 구토물에 오염된 물품 또는 접촉한 환경 및 화장실 등에 대한 염소소독을 올바른 절차로 시행해야 한다. (붙임4 참조)

 ○ 또한, 환자가 보육시설 및 학교 등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증상이 없어진 후 최소 2일까지 등원 및 등교 등을 하지 않도록 권고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7-12-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13 추락, 부상의 위험이 있는 로프등반장비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1 2017.04.07
3712 최저가 명품구매대행 '에스디컬렉션' 배송·환급 지연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3.04.14
3711 최근‘기관사칭형’전화금융사기 수법 급증, 피해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1.12.13
3710 최근 일부 보험상품 불완전판매 우려 및 절판마케팅 등 과당경쟁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4.03.18
3709 최근 4주간 쯔쯔가무시증 환자 5배 이상 증가, 야외활동 시 진드기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1.15
3708 최근 4주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환자 2배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1.17
3707 총전이량 기준 초과한 ELITE 스포츠물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1.27
3706 초여름 더위에 식중독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9.05.23
3705 초미세먼지 전국적 ‘나쁨’, 기저질환자 건강 관리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12.10
3704 초가을 꽃가루 알레르기 주의…9월에도 꽃가루 농도 높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7.08.30
3703 초가을 9월에는 야외활동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08.29
3702 체증형 종신보험 가입시 유의하세요!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8.25
3701 체인핀 품질 결함으로 파손 위험있는 DAHON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4.04
3700 체외용인슐린주입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25
3699 체결풀림으로 인한 낙상 우려 있는 Black Diamond 무상 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36 2016.06.13
3698 체결 불량으로 조난자 수색 불가 시 조난자 질식 우려 있는 탐침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24 2016.08.09
3697 청소년, 고카페인 음료 과다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4.03
3696 청소년 울리는 고금리 사채, 대리입금 거래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07.09
3695 청소년 여름철 당류 과다 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1.07.14
3694 청력 손상 및 질식 위험 있는 유아용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5.03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