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 발령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전체 모기 밀도의 50% 이상

모기에 물리지 않게 주의, 어린이는 예방접종 완료 당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 양병국)는 올해 처음으로 부산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의 하루 평균 개체수 중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모기의 50%이상 분류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8.6일)하였다.

※ 전국 38개 지역에서 ‘일본뇌염 유행예측사업’ 진행 중 (’15년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4.8일)

이번에 채집된 모기는 부산지역에서 7월 28일 채집된 모기로, 총 채집 모기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모기의 80.0%를 차지하였으며, 현재 바이러스 검사가 진행 중이다.

모든 모기가 일본뇌염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렸을 경우 일부 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물린 사람의 95%는 무증상이나, 일부에서 뇌염으로 진행해 고열, 두통, 복통 및 경련, 혼수, 의식장애 등의 신경과적 증상이 나타남

질병관리본부는 부산 이외 29개 조사지역에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밀도가 아직 50% 미만이며, 시도보건환경연구원, 보건소 및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등 30개 조사지역에서 공동으로 ‘일본뇌염 유행예측사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하절기 일본뇌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모기 활동이 활발한 8~10월 하순까지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 야간에는 모기가 많은 지역의 야외활동을 가능한 자제하며, 불가피한 야외활동 시에는 긴소매, 긴바지 옷을 입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이 되는 생후 12개월~만 12세 어린이는 표준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할 것을 권고했다.

국가예방접종 무료시행에 따라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보건소 및 전국 7천여 지정의료기관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이 가능하다.

<일본뇌염 예방접종 기준>

<일본뇌염 예방접종 기준>
구 분 접종 권장 기준
사백신1) Mouse Brain 유래 총 5회 접종 ‧생후 12~23개월에 7~30일 간격으로 2회 접종, 2차 접종 6~12개월 후에 3차 접종 ‧4차(만6세), 5차(만12세)
Vero cell 유래
생백신2) 총 2회 접종
생후 12~23개월에 1차, 1차 접종 12개월 후에 2차 접종

1) 사백신(불활성화백신):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열이나 화학 약품으로 죽이거나 활동을 둔화시켜 생산한 백신

2) 생백신(약독화 생백신):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독성을 약화시켜 생산한 백신

* 생백신과 사백신, 사백신 간 교차접종은 유효성에 대한 연구결과가 없어 권장하지 않으며, 한가지 백신으로 접종완료 할 것을 권장

* 접종이 지연된 소아청소년의 경우 사백신으로 접종 시 연령에 따라 권장 접종 횟수가 다르므로 의사와 상담 후 접종

19세 이상 일반 성인은 일본뇌염 예방접종 권장 대상이 아니지만, 논 또는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지역 거주자 및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에 대해서는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성인의 경우 의료기관을 이용해 유료접종 가능(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 일본뇌염 유행국가: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네팔, 파키스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미얀마 등 아시아 국가 지역

 

[보건복지부 2015-08-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5 2023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5 22
1114 캡슐커피머신 구매 시, 제품별 주요 품질 차이 꼼꼼히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5 26
1113 비사업용 경·소형 화물차 배출가스 첫 정밀검사 시기, 차 출고 후 3년에서 4년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5 15
1112 ’23년 상반기 전국 지가 0.06%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5 16
1111 범정부 전세사기 특별단속 기간 연말까지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5 16
1110 신도시와 비수도권의 불편·부담을 해소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20
1109 항공위성서비스(KASS)로위치정보서비스 정확성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16
1108 잠자고 있는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 사전지정운용제도를 활용해 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25
1107 복잡한 모바일뱅킹 고령자모드를 이용해 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20
1106 여름철 주요 교통사고를 분석하고, 유용한 자동차보험 정보를 안내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20
1105 신규 상장 스팩(SPAC)의 상장일 주가 급등 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18
1104 최면진정제.마취제, 안전하고 적정한 사용기준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30
1103 여름철, 온라인 부당광고.불법유통 주의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17
1102 올해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 건수 1위는? 자외선차단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16
1101 여름철 모기기피제.제모제, 올바르게 사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30
Board Pagination Prev 1 ... 847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 85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