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1회용컵 보증금제도(이하 '컵보증금제') 도입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9.9%가 제도 도입에 동의(찬성 71.4%, 수용 18.5%)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한국리서치를 통해 10월부터 11월까지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2,00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환경부의 1회용품 종합대책 마련에 앞서, 1회용컵 감량 및 재활용 활성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1회용컵 사용 증가에 대해 응답자 78.6%가 심각하다고 답했고, 심각하지 않다는 대답은 3.7%에 그쳐, 1회용컵 문제에 대해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컵보증금제 도입 시 예상되는 효과로는 '1회용컵 사용감소'(45.5%), '자원의 재활용'(41.5%), '길거리투기 방지'(12.2%) 등을 꼽았다.

컵보증금제가 시행될 경우, 응답자의 61.8%가 다회용컵을 더 많이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하여, 제도 도입이 1회용컵 사용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응답자의 69.2%는 구입한 1회용컵을 반납하겠다고 답해, 컵보증금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용된다면 1회용컵의 회수·재활용 활성화, 길거리 투기 방지 등에 크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었다.

최근 시민단체 등에서도 컵보증금제 도입에 대한 국민 찬반 여부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번 조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난 바 있다.

올해 7월, 한국자원경제연구소가 커피전문점 이용객 210명을 대상으로 대면 조사한 결과 85.7%가 컵보증금제 도입에 찬성하였다.

같은 해 9월, 여성환경연대에서 전국 1,0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결과에서도 응답자의 81.9%가 컵보증금제가 시행되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13년 국민 인식조사시보다 컵보증금제 도입 찬성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당시에는 1,000명 중 56%가 컵보증금제 도입에 찬성했다. 최근 급증하는 1회용컵 문제에 대한 관심이 과거에 비해 높아진 것이 주요인으로 보인다.

한편, 응답자의 10%는 컵보증금제 도입에 반대하였다. 이에 대한 이유로 '제품가격 상승 우려'(42.6%), '낮은 회수·재활용률로 인한 실효성 부족'(41.1%)을 꼽았다.

이에 따라, 컵보증금제를 도입할 경우에도 물가 상승 방지, 사용한 1회용컵의 반환 독려 및 회수·재활용 인프라 구축 등의 대책 마련을 중요하게 고려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현재 1회용품의 사용 감량 및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며, 업계·시민단체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연말까지 종합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신선경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커피산업의 성장, 소비형태의 변화 등으로 1회용컵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라며, "미래세대를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사회를 만들기 위해, 조금 불편하더라도 1회용품의 사용을 최소화하려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17-12-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30 6일부터 화물차·건설기계 과태료 납부기한 3개월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6 8
5129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18일부터 20년 2차 입주자 모집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6 15
5128 ’19년 귀속 양도소득세 확정신고, 홈택스로 편리하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6 5
5127 이사를 계획하고 계신다면, 원하는 동네에서 장기간 이사 걱정없는 ‘등록임대주택’ 을 먼저 검색해 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7 8
5126 동생 출산해 아동이 유치원 결석해도 유아학비 지원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7 11
5125 2020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7 4
5124 공공시설 이용요금, 서류 제출 없이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감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7 6
5123 쇳조각 혼입 누룽지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7 9
5122 60대 이상 고령소비자의 금융, 패션, 가전, 건강 품목군 상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1 8
5121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세대주가 아니더라도 이의신청으로 지급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1 10
5120 「긴급재난지원금」조회 서비스 요일제 폐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1 25
5119 정부「긴급재난지원금」신용・체크카드 신청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1 10
5118 놓치기 쉬운 세무일정, 홈택스「나의 세무알리미」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1 4
5117 공익침해행위 대상법률 ‘284개→467개’로 확대...개정된 ‘공익신고자 보호법’ 공포 예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2 11
5116 전년 주택임대 수입금액 2천만 원 이하자도 올해 소득세 신고대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2 9
Board Pagination Prev 1 ...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 919 Next
/ 9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