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한국소비자원·국토교통부·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 공동 캠페인 시행 -

자동차 보급이 확대되고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교통사고 외에도 차량 이용 중 다양한 안전사고(이하 ‘비충돌사고’, non-crash incidents)*가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비충돌사고의 발생 현황이나 사고의 위험성 및 예방방안 등 안전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 (비충돌사고) 주행 중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제외한 문·창문·트렁크 등에 끼이거나 부딪히는 사고, 승하차시 낙상사고, 차량 내 열사병 사고 등 차량 이용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 6개월간(2014. 1.~2017. 6.)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자동차 비충돌사고는 총 3,223건*으로 연간 1,000여건 가까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4년) 900건 → (’15년) 961건 → (’16년) 823건 → (’17년 6월) 539건

전체 비충돌사고의 90% 이상이 문·트렁크·창문에서 발생

비충돌사고가 다발하는 차량구조를 살펴보면, ‘문’으로 인한 사고가 80.2%(2,585건)로 가장 많았고, ‘트렁크’ 7.6%(244건), ‘창문’ 2.3%(75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의 세 장치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비충돌사고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차량구조별 사고 유형은 ‘문‘과 ’창문‘의 경우 손가락 등이 끼이거나 눌리는 사고가 각 72.3%(1,868건), 77.3%(58건)로 가장 많았으며, ’트렁크‘의 경우 머리 등을 부딪치는 사고가 71.3%(174건)로 가장 많았다.

손상증상은 타박상이나 열상(찢어짐)이 가장 많았지만, ‘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손가락 등 골절 사고(206건) 및 절단 사고(15건) 발생도 적지 않아 주의가 요구된다.

 비충돌사고의 절반 가량 어린이에게 발생

비충돌사고의 약 절반(49.9%, 1,608건)은 만14세 이하 어린이에게 발생했으며, 승용차의 주 운행 계층인 ‘30대~50대’도 34.0%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의 경우, ‘문’(83.3%, 1,340건), ‘트렁크’(3.5%, 56건), ‘좌석’(3.1%, 49건) 순으로 비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에 비해 좌석에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안전사고가 빈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밖에도 ‘시거잭’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창문’ 틈에 목이 끼어 의식을 잃는 등 심각한 위해를 입는 경우도 있어 보호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자동차 취급설명서의 비충돌사고 주의·경고 표시 개선 예정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 차량 5종의 취급설명서상 비충돌사고 관련 주의·경고 표시실태를 살펴본 결과, 주의사항이 전혀 없거나, 있더라도 글씨가 작아 가독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기아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 한국지엠㈜, 현대자동차㈜)는 한국소비자원의 권고에 따라, 내년에 출시되는 신차의 취급설명서에 비충돌사고 경고 문구를 삽입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하기로 하였다.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 구성 및 비충돌사고 예방 캠페인 시행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및 위 5개 제작사는 자동차 이용 소비자의 안전확보 등을 위한 상시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12월 4일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를 발족했다. 정례협의체 발족식에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센터 소장을 비롯한 자동차 제작사 각사의 임원이 참석해, 자동차 비충돌사고와 같은 자동차 시장의 위해요소 선제적 발굴 및 소비자 안전을 위한 공동 노력을 강화하는데 뜻을 모았다.

아울러 한국소비자원은 국토교통부,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와 함께 자동차 비충돌사고 예방 캠페인을 시행한다. 12월 4일부터 한 달간 교통안전공단 전국 자동차검사소 59개소 및 위 5개 제작사의 영업점, 서비스센터 등 3,716개소에 사고 위험성 및 예방방안 등을 담은 포스터를 부착하여 소비자의 안전인식 제고에 힘쓰기로 했다.

향후 한국소비자원은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를 통해 자동차 시장의 자율적인 안전 확보 노력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며, 아울러 국토교통부 등 유관기관과 함께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공동 노력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7-12-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13 납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물놀이 고래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8.16
3712 KC인증을 받지 않은 스케이트보드 회수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08.16
3711 라디언스㈜ 온열매트 리콜정보 재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3.08.16
3710 코로나19 여름철 확산세 둔화 중이나 방역수칙 준수 지속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8.16
3709 11번가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8.16
3708 폭염 피한 물놀이, 안전수칙 준수 철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8.14
3707 네오디뮴 구슬자석 영유아 삼킴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3.08.14
3706 생활가전 브랜드 VOAR 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3.08.11
3705 글로벌 숙박 플랫폼, 가격 표시에 숨은‘다크패턴’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8.10
3704 화장품,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 확인 후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3.08.10
3703 뉴퍼마켓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3.08.10
3702 이런 ‘58개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3.08.09
3701 코로나19 여름철 확산 대응 방역수칙 준수 지속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8.09
3700 여름철 복통과 설사 등을 일으키는 장관감염증 증가, 예방수칙 알고 계신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8.08
3699 엠폭스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백신 2회 접종과 방역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8.08
3698 신세계몰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3.08.08
3697 롯데온 및 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8.08
3696 모기에서 말라리아 원충 확인, 말라리아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04
3695 쇼핑몰 부업 사기피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3.08.04
3694 이런 ‘58개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8.03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