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한국소비자원·국토교통부·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 공동 캠페인 시행 -

자동차 보급이 확대되고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교통사고 외에도 차량 이용 중 다양한 안전사고(이하 ‘비충돌사고’, non-crash incidents)*가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비충돌사고의 발생 현황이나 사고의 위험성 및 예방방안 등 안전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 (비충돌사고) 주행 중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제외한 문·창문·트렁크 등에 끼이거나 부딪히는 사고, 승하차시 낙상사고, 차량 내 열사병 사고 등 차량 이용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 6개월간(2014. 1.~2017. 6.)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자동차 비충돌사고는 총 3,223건*으로 연간 1,000여건 가까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4년) 900건 → (’15년) 961건 → (’16년) 823건 → (’17년 6월) 539건

전체 비충돌사고의 90% 이상이 문·트렁크·창문에서 발생

비충돌사고가 다발하는 차량구조를 살펴보면, ‘문’으로 인한 사고가 80.2%(2,585건)로 가장 많았고, ‘트렁크’ 7.6%(244건), ‘창문’ 2.3%(75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의 세 장치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비충돌사고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차량구조별 사고 유형은 ‘문‘과 ’창문‘의 경우 손가락 등이 끼이거나 눌리는 사고가 각 72.3%(1,868건), 77.3%(58건)로 가장 많았으며, ’트렁크‘의 경우 머리 등을 부딪치는 사고가 71.3%(174건)로 가장 많았다.

손상증상은 타박상이나 열상(찢어짐)이 가장 많았지만, ‘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손가락 등 골절 사고(206건) 및 절단 사고(15건) 발생도 적지 않아 주의가 요구된다.

 비충돌사고의 절반 가량 어린이에게 발생

비충돌사고의 약 절반(49.9%, 1,608건)은 만14세 이하 어린이에게 발생했으며, 승용차의 주 운행 계층인 ‘30대~50대’도 34.0%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의 경우, ‘문’(83.3%, 1,340건), ‘트렁크’(3.5%, 56건), ‘좌석’(3.1%, 49건) 순으로 비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에 비해 좌석에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안전사고가 빈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밖에도 ‘시거잭’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창문’ 틈에 목이 끼어 의식을 잃는 등 심각한 위해를 입는 경우도 있어 보호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자동차 취급설명서의 비충돌사고 주의·경고 표시 개선 예정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 차량 5종의 취급설명서상 비충돌사고 관련 주의·경고 표시실태를 살펴본 결과, 주의사항이 전혀 없거나, 있더라도 글씨가 작아 가독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기아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 한국지엠㈜, 현대자동차㈜)는 한국소비자원의 권고에 따라, 내년에 출시되는 신차의 취급설명서에 비충돌사고 경고 문구를 삽입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하기로 하였다.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 구성 및 비충돌사고 예방 캠페인 시행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및 위 5개 제작사는 자동차 이용 소비자의 안전확보 등을 위한 상시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12월 4일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를 발족했다. 정례협의체 발족식에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센터 소장을 비롯한 자동차 제작사 각사의 임원이 참석해, 자동차 비충돌사고와 같은 자동차 시장의 위해요소 선제적 발굴 및 소비자 안전을 위한 공동 노력을 강화하는데 뜻을 모았다.

아울러 한국소비자원은 국토교통부,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와 함께 자동차 비충돌사고 예방 캠페인을 시행한다. 12월 4일부터 한 달간 교통안전공단 전국 자동차검사소 59개소 및 위 5개 제작사의 영업점, 서비스센터 등 3,716개소에 사고 위험성 및 예방방안 등을 담은 포스터를 부착하여 소비자의 안전인식 제고에 힘쓰기로 했다.

향후 한국소비자원은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를 통해 자동차 시장의 자율적인 안전 확보 노력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며, 아울러 국토교통부 등 유관기관과 함께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공동 노력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7-12-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34 전기매트류 화재사고 소비자 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1.07
4033 납 과다 함유하여 위해 우려 있는 헤드램프(유도 전조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1.20
4032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Esapharma 피부치료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1.20
4031 고정장치 고정 미흡으로 부상 위험 있는 Maxi-cosi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1.22
4030 공동주택 전기차 화재 시 안전한 대응요령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2.08
4029 ‘㈜한국은거래소 이용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2.08
4028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ION 비강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2.19
4027 영유아의 질식 위험 가능성 있는 수유쿠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2.21
4026 땜납부에 납이 과다하게 함유되어 있는 Flawlbss 얼굴용 제모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1.04
4025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한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1.05
4024 불법 채권추심 관련 3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1.30
4023 피해다발업체-캐쉬메이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2.14
4022 홈쇼핑업체 온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2.14
4021 케이블 마모되어 화상 및 감전 위험이 있는 Ikea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2.15
4020 식약처, 냉이·쑥 등 봄나물 안심하고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12
4019 온라인쇼핑몰 ASTERZON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14
4018 '재택근무로 손쉽게 고수익'… 온라인몰 부업 사기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14
4017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NBY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18
4016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Apex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27
4015 야외활동 많은 나들이 철...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0.13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