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한국소비자원·국토교통부·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 공동 캠페인 시행 -

자동차 보급이 확대되고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교통사고 외에도 차량 이용 중 다양한 안전사고(이하 ‘비충돌사고’, non-crash incidents)*가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비충돌사고의 발생 현황이나 사고의 위험성 및 예방방안 등 안전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 (비충돌사고) 주행 중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제외한 문·창문·트렁크 등에 끼이거나 부딪히는 사고, 승하차시 낙상사고, 차량 내 열사병 사고 등 차량 이용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 6개월간(2014. 1.~2017. 6.)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자동차 비충돌사고는 총 3,223건*으로 연간 1,000여건 가까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4년) 900건 → (’15년) 961건 → (’16년) 823건 → (’17년 6월) 539건

전체 비충돌사고의 90% 이상이 문·트렁크·창문에서 발생

비충돌사고가 다발하는 차량구조를 살펴보면, ‘문’으로 인한 사고가 80.2%(2,585건)로 가장 많았고, ‘트렁크’ 7.6%(244건), ‘창문’ 2.3%(75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의 세 장치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비충돌사고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차량구조별 사고 유형은 ‘문‘과 ’창문‘의 경우 손가락 등이 끼이거나 눌리는 사고가 각 72.3%(1,868건), 77.3%(58건)로 가장 많았으며, ’트렁크‘의 경우 머리 등을 부딪치는 사고가 71.3%(174건)로 가장 많았다.

손상증상은 타박상이나 열상(찢어짐)이 가장 많았지만, ‘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손가락 등 골절 사고(206건) 및 절단 사고(15건) 발생도 적지 않아 주의가 요구된다.

 비충돌사고의 절반 가량 어린이에게 발생

비충돌사고의 약 절반(49.9%, 1,608건)은 만14세 이하 어린이에게 발생했으며, 승용차의 주 운행 계층인 ‘30대~50대’도 34.0%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의 경우, ‘문’(83.3%, 1,340건), ‘트렁크’(3.5%, 56건), ‘좌석’(3.1%, 49건) 순으로 비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에 비해 좌석에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안전사고가 빈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밖에도 ‘시거잭’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창문’ 틈에 목이 끼어 의식을 잃는 등 심각한 위해를 입는 경우도 있어 보호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자동차 취급설명서의 비충돌사고 주의·경고 표시 개선 예정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 차량 5종의 취급설명서상 비충돌사고 관련 주의·경고 표시실태를 살펴본 결과, 주의사항이 전혀 없거나, 있더라도 글씨가 작아 가독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기아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 한국지엠㈜, 현대자동차㈜)는 한국소비자원의 권고에 따라, 내년에 출시되는 신차의 취급설명서에 비충돌사고 경고 문구를 삽입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하기로 하였다.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 구성 및 비충돌사고 예방 캠페인 시행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및 위 5개 제작사는 자동차 이용 소비자의 안전확보 등을 위한 상시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12월 4일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를 발족했다. 정례협의체 발족식에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센터 소장을 비롯한 자동차 제작사 각사의 임원이 참석해, 자동차 비충돌사고와 같은 자동차 시장의 위해요소 선제적 발굴 및 소비자 안전을 위한 공동 노력을 강화하는데 뜻을 모았다.

아울러 한국소비자원은 국토교통부,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와 함께 자동차 비충돌사고 예방 캠페인을 시행한다. 12월 4일부터 한 달간 교통안전공단 전국 자동차검사소 59개소 및 위 5개 제작사의 영업점, 서비스센터 등 3,716개소에 사고 위험성 및 예방방안 등을 담은 포스터를 부착하여 소비자의 안전인식 제고에 힘쓰기로 했다.

향후 한국소비자원은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를 통해 자동차 시장의 자율적인 안전 확보 노력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며, 아울러 국토교통부 등 유관기관과 함께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공동 노력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7-12-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32 Arnott's 비스켓, 알레르기 유발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2.07
1631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7.08
1630 낙뢰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8.01
1629 고수익 재테크를 빙자한 유사금융플랫폼 사기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0.07.23
1628 렌터카, 차량 사고 시 수리비 등 과다 청구로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1.06.22
1627 재난지원금 및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 정부의 자금지원을 빙자한 대출사기 문자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1.08.06
1626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LABORATORIES SCIENCE ET EQUILIBRE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1.09.13
162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2.06.08
1624 이물질 혼입된 오타야 제과 솜사탕 모양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3.04.05
1623 어린이들은 신맛캔디 한 번에 많이 섭취하면 안돼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09.20
1622 수두·유행성이하선염 증가, 함께 대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10.17
1621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된“즉석섭취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10.25
1620 P2P대출 투자시 이런 업체를 주의하세요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8.01.08
1619 Kimberly Clark 보호복(Kleenguard), 품질 결함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8.04.12
1618 Little Tikes 스퀴시 완구, 작은 조각 삼킴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9.03.12
1617 설 연휴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0.01.14
1616 8월, 폭염ㆍ물놀이ㆍ태풍ㆍ호우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0.07.29
1615 가정용 정수기의 선택 및 위생관리 가이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0.10.20
1614 에틸렌옥사이드 과다 함유된 Al’Fez 참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1.02.01
1613 표시사항 기준에 부적합한 Char-Broil 그릴세척제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1.10.07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